감사합니다

혹시 하스스톤사제 영웅 안두인 린의 명대사인 감사합니다!를 찾아왔다면 사제(하스스톤)으로.
개그 콘서트의 코너는 감사합니다(개그 콘서트) 문서로.

안녕하세요 다음으로 우리말에서 자주 쓰이는 인사말.

동의어로는 고맙습니다가 있다. '고맙다' 보다 '감사하다'가 더 공손한 표현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나, '고맙다'는 남이 베풀어 준 호의나 도움 따위에 대하여 마음이 흐뭇하고 즐겁다는 뜻이며 '감사하다'는 '고마운 마음에 (선물 등으로)사례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주는 것 없이 말로만 '감사하다'고 한다면 인사치레에 불과한 것.[1] 후자를 더 많이 쓰는 것은 한자어를 더 좋은 표현으로 쳐 주는 인식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전자는 순우리말이고 후자는 한자어(感謝하다)이다. 뉴스 마무리에 앵커들이 늘 하는 인사가 "감사합니다."가 아니라 "고맙습니다."인 것도 위의 이유들로 인한 것이다.

회사 직원(주로 GM처럼 인터넷에서 답변을 해 주는 직종 종사자)은 인터넷에서 글을 남길 때 반드시 마지막에 감사합니다꼭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해고당할 수 있다.

이 글을 보는 위키니트는 대부분 아는 사실이겠지만, 영어로는 Thank You라고 쓴다. 인터넷 상에서는 ㄱㅅ라는 초성체가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인터넷 용어로 뻔히 보이는 속내를 비꼬거나, 보케츳코미를 넣을때 ~~감사라고 쓰기도 한다.
  1. 이걸 비꼬는 북한말로 "구두감사"란 게 있다. 당의 이름으로 실컷 뺑이를 돌려놓고 사례물은 안 주고 말로만 고맙다고 하면 그 높으신 분은 "구두감사"를 표했다고 민중들에게 열심히 씹힌다.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소개된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