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교통

1 도로

1.1 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대관령구간은 4차선 확장 공사 이전에는 아흔아홉골이라는 별칭 답게 급경사와 급커브의 조화로 시속 40km를 넘기기 힘들었으며, 심한 멀미를 동반하기도 하였다. 내리막의 경우 풋 브레이크만 밟으면 파열될 우려가 있고 과속하면 낭떠러지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니 베테랑 운전자들도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될 지경. 왕복 2차선으로 제설 작업이 어렵기에 대관령에 눈이 내리면 4~5시간씩 지체되기 십상이었고 1m이상 폭설이 내리면 운전자들이 24시간 넘게 고립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러면 대관령 휴게소는 만원사태가 되었으며 정부에서는 헬기를 통해 조난자들에게 식료품을 공급해주기도 했었다. 차나 타던 버스를 버리고 강릉까지 걸어가는 사람이 많았다.

2001년 11월 28일 횡계~강릉 구간이 마지막으로 개통되며 협곡을 따라 내려가던 구절양장(九折羊腸)이 다리 33개와 터널 7개를 건설함에 따라 순식간에 쭉 뻗은 길로 변모하면서 동서울까지 3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으로 단축 되었다. 토지 보상비는 적게 들었지만 다리와 터널 구간이 많아 수도권과 비슷한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성산 2교는 90m로 국내에서 제일 높은 교량이며 [1] 바람이 많이 불어 도로에 방풍벽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칼바람 부는 한겨울에 달리면 자칫하다가는 뒤집어 지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2] 안개라는 불가항력적인 요소는 없어지지 않았으니 통행에 주의가 요망되는 구간. 14년 현재도 옛 구간(456번 지방도, 35번 국도)에는 간간히 차량이 통과하며 자전거 동호인들이 많이 보인다.

현재 강릉 시내를 우회하는 7번 국도 구간이 옛 동해고속도로 구간이며 왕복 2차로에 평면 교차로가 운용되는 등 옛 모습이 잘 남아있다.

1.2 국도

6번 국도, 7번 국도, 35번 국도가 있다.

2 철도

과거에는 동해북부선으로 양양군고성군과 연결되어있으나 전쟁 후 선로가 유실되었다.

영동선의 종점으로 동해, 삼척, 태백 권에 여객 수요가 있으나 청량리까지는 6시간 30분이나 소요되므로 평시에 단순한 왕래 목적으로 청량리와 강릉을 이동하는 사람은 없다. 때문에 서울-강릉간은 버스가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노선이 삼척까지 내려갔다가 태백산맥을 넘어 태백과 제천을 찍고 다시 원주로 올라가는 경로이고 태백선은 처음부터 여객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석탄 수송을 목적으로 깐 산업용 철도인 탓이다. 중앙선이 청량리에서 서원주까지 복선화되면서 선형을 개량하고, 영동선의 스위치백이 솔안터널로 대체되는 등으로 2014년 현재 5시간 30분 까지 단축되었지만 여름 휴가철과 정동진 해돋이를 제외하면 당연히수요가 없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로 서원주역-평창역-강릉역을 잇는 새로운 철도노선인 경강선의 건설이 확정되었고 재경부에서 복선을 단선으로 은근슬쩍 돌리려고 하다가 도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복선이 확정되었다. 2017년 완공되면 청량리역~강릉역은 기존 6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파격적으로 단축되며 한국의 새로운 횡축 철도 노선으로 자리매김할 예정.

14년 9월 강릉역이 반지하화 공사로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정동진역이 그 역할을 넘겨 받는다.

3 버스

3.1 시내버스

강릉시 시내버스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3.2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강릉고속버스터미널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강원도답게 동부익스프레스가 가장 많으며, 중앙고속과 번갈아 운행한다.

4 항공교통

과거에는 강릉공항이 있어서 민항기가 다녔었다. 서울-강릉, 강릉-부산, 강릉-광주 등의 노선이 있었지만 2002년 양양국제공항의 개항으로 폐항되어 현재는 공군 비행장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5 해상교통

강릉항에서 배를 타고 울릉도로 가는 여객선 노선이 있다.
  1. 광주대구고속도로의 야로대교가 현재 국내에서 제일 높은(115m) 교량이다.
  2. 실제로 바람을 제대로 맞으면 버스까지 지진이 난 것처럼 휘청거린다. 그래선지 티코가 대관령으로 다니면 휙 날아가버린다는 괴담까지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