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응급증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진료과가정의학과, 내과, 산부인과(임신성 고혈압)
관련질병본태성 고혈압(일차성 고혈압),
속발성 고혈압(이차성 고혈압)[1],
임신성 고혈압, 고혈압 응급증,
고혈압 긴급증

Hypertensive Emergency

1 개요

수축기 혈압(systolic pressure)이 180 이상, 이완기 혈압이 120이상일 경우 고혈압긴급증(hypertensive urgency)라 하는데, 고혈압 응급증은 여기에 종말기관 손상(end organ damage)의 증상이 보일경우를 뜻한다. 종말기관 손상으로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날수 있는데, 주로 혈압이 급하게 올라갔을 경우 망막혈관에 손상이 나 유두부종(papilledema)이나 망막출혈 등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안저검사(funduscopy)가 필수이다. 그 외에 고혈압성 뇌증(hypertensive encephalopathy)으로 인한 의식 이상/두통[2], 급성 신부전혈뇨, 폐부종, 협심증, 심부전,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다.

드물게 고혈압응급증이 후두부 가역적 뇌병증(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원래 뇌는 평균혈압 60-120 mmHg 사이의 자동조절능력이 있어 필요한 만큼 혈관을 늘리거나 줄일수 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약 160-180 mmHg 사이의 혈압에 적응하여 자동조절을 하게 되는데, 뇌가 고혈압(180 mmHg 이상일 경우)에 의해 혈압에 대한 자동조절능력을 잃게되고 혈관들이 급속하게 늘어나 뇌압이 급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문에 뇌부종(edema)이 생기게 되여 두통, 의식 이상, 시력 이상, 발작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 경우 MRI를 통해 뇌를 검사하여 진단하며 혈압약을 투여하여 혈압을 낮추는게 급선무이다.

2 원인

3 치료

정맥주사를 통해 하이드랄라진(hydralazine), 에스몰올(esmolol), 니트로프루시드(nitroprusside)등을 투여하여 혈압을 낮춘다. 이때 혈압은 1-2시간에 25%정도 낮추는게 목표. 너무 급하게 혈압을 낮출경우 합병증이 생길수 있으므로 천천히 낮추어야 한다. 고혈압긴급증의 경우 경구항고혈압제를 통해 치료한다.
  1. 180/120 이상 일경우 일단 이쪽으로 의심하기도 한다.
  2. 혈압이 240/140 이상일 경우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