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파일:RchxwsI.png
교명광릉중학교
개교2008년 1월 7일
유형혁신학교
성별남녀공학[1]
운영형태공립
소재지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로 78-23
홈페이지

1 개요

광릉중학교는 2008년 1월 7일에 개교한 공립 중학교이다. 2011년에 예비 혁신학교 지정을 받았으며, 2012년 9월에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학급을 25명으로 줄이는 교과교실제를 시행한 학교중 하나이다. '지금, 여기서 최선을 다하자!'라는 교육 가치를 가지고 있다.

1.1 연혁

  • 2008.01.07 광릉중학교 설립인가
  • 2008.03.01 초대 김진환 교장 취임
  • 2008.03.03 제1회 입학식(120명)
  • 2008.07.15 개교기념식 거행
  • 2010.03.01 제2대 고재련 교장선생님 취임
  • 2011.02.10 제1회 졸업식(115명)
  • 2011.09.01 혁신학교 예비 지정
  • 2012.02.09 제2회 졸업식(112명)
  • 2012.03.01 제3대 송순자 교장선생님 취임
  • 2012.03.02 제5회 입학식(109명)
  • 2012.09.01 혁신학교 지정, 교과교실제 운영
  • 2013.02.14 제3회 졸업식(96명)
  • 2013.03.04 제6회 입학식(100명)
  • 2014.02.12 제4회 졸업식(97명)
  • 2014.03.03 제7회 입학식(101명)
  • 2014.09.01 제4대 박인선 교장선생님 취임

2 상징

2.1 교표

파일:ZcqimrH.png

2.2 교가

파일:IvKemDt.png

2.3 교목

파일:ArNEF46.png

2.4 교화

파일:MTLYKJ8.png

3 특징

최근 2015년 2학기부터는 1학년들을 상대로 자유학기제를 시행하고 있고, 한때는 현장체험학습을 수련회 같이 갔었으나, 2014년 이후로는 1학기, 2학기때 1번씩 당일치기로 많이 놀러가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자부심도 큰편이다.

4 학교 시설

운동장은 경기도 내 중학교 중 그럭저럭 큰편이며, 강당도 전교생 312명을 전부 수용이 가능할 정도로 크다. 식당과 도서관은 청결하며, 진로실, 상담실, 기술실, 가정실 말고도 많지만 기본 중학교에 있는 시설이라는 시설은 전부 다 있다. [2]

5 학교 생활

진접 시내에서 멀기는 하지만 급식도 맛있고,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으며, 학생 지원사업 같은 학생들이 주도하는 사업이라던지 건의 사항을 쉽게 받아주는 학교중 하나이다. 점심에는 방송부가 매주 월, 수, 금요일마다 방송부의 음악광장이라는 이름으로 라디오 방송을 하고있다. 한마디로 개방적인 평범한 혁신학교라고 볼수 있을듯.

5.1 주요 행사

꿈빛 축제 : 2년에 한번, 10월. 보통 체육대회가 끝나고 1년 뒤에 열며, 할로윈에는 할로윈의 특성에 맞게, 가을이면 가을의 특성에 맞게 학생회가 학교를 전부다 꾸미며, 생고생의 시작 학생들은 축제 전에 부스를 세우기 위해서 선생님들과 합동하여 교육적이고 도움을 주는 부스만 차릴수 있다. 그리고 오전 부스 시간이 끝나면 오후부터는 장기자랑 시간인데, 보통 초대가수도 오는 편이지만 거의 초보 트로트 가수가 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꿈빛 축제에서 GTA 광릉이 나왔다고 한다.

체육대회 : 2년에 한번, 10월. 보통 축제가 끝나고 1년 뒤에 열며, 공통 종목과 개별 종목이 있는것이 특징이다.

추가 바람

5.2 동아리

광릉중학교의 동아리
세로토닌 드럼클럽[3]밴드부댄스부방송부
문예부도서부보드게임부광릉숲 동아리

의외로 인터넷 뉴스에 나온 동아리가 두 곳이나 있을만큼 광릉중학교의 동아리는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다. 예를 들자면 이런 기사가 있을 수 있겠다. 광릉숲 동아리는 명동에서 플래시 몹을 하여 뉴스에도 나왔으나 뉴스 기록이 말소되어 찾을 수 없다.

더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1. 하지만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다!
  2. 단 보건실 빼고, 보건실은 2015년 새학기때 14학급 미만으로 경기도 교육청에서 보건 교사 지원을 중단하였다.
  3. 삼성생명의 지원을 받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