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충효188

20px 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급행간선지선마을
41951811871187-1첨단20
송정33운림35첨단40수완49지원52
문흥53금남55지원56금남57양산60
매월61상무62상무63상무64유덕65
송암68대촌69대촌70대촌71송암72
송암73송암74진월75봉선76진월77
진월78진월79문흥80두암81용봉83
용전84용전85용전86석곡87임곡89
임곡90임곡91첨단92송정93첨단94
송정96송정97송정99송정100선운101
지원151지원152대촌170진월177두암181
용전184충효187충효188첨단192첨단193
진곡196송정197대촌270임곡290송정296
†가 붙은 노선은 시계외 구간을 운행하며 시계외 요금을 징수합니다.
광주광역시의 지선 시계외버스
나주시대촌170진곡196
담양군용전84일곡180두암181용전184
충효187충효188
장성군첨단192첨단193송정197
화순군지원150지원151지원152진월177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충효188번
기점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효령노인복지타운)종점전라남도 담양군 남면(소쇄원)
종점행첫차07:30기점행첫차06:20
막차22:30막차20:30
배차간격120~180분
운수사명대창운수인가대수1대
노선효령노인복지타운 - 효령삼거리 - 단지삼거리 - 국립5.18민주묘지 - 석곡동사무소 - 청풍학생야영장 - 제4수원지 - 충장사 - 금곡 - 광주호호수생태원 - 한국가사문학관 - 유산교 - 평촌 - 소쇄원

2 개요

대창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계외노선.

3 역사

  • 석곡동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17년 2월 25일에 신설되었다.

4 특징

  • 노선을 보면 거의 석곡동 마을버스 수준. 기점인 효령노인복지타운(건국동 소속)과 종점인 가사문학관 일대(담양군 남면 소속)를 제외하면 석곡동만 다닌다. 사실 이 노선을 만든 이유도 석곡동 주민들(특히 충장사, 광주호 인근 주민들)이 석곡동주민센터를 가기 힘들어서이다[1]. 석곡동이 광주시의 행정동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어서 생긴 현상.
  • 문제는 석곡동의 인구가 3천명도 안 된다.[2] 오로지 석곡동 안에서만 운행하는 버스라 수요가 나올 일이 거의 없고, 그렇다고 환승을 하려니 이 버스와 만나는 노선이 ![3] 그나마도 효령노인복지타운 다 가서야[4] 만나고, 하나는 석곡파출소에서만 만난다. 그리고 모두 자주 다니는 버스들이 아니다.[5] 이러다보니, 일각에서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승객수 뒤에서 1위인 임곡290번보다도 사람이 안 타는 것 아닌가 하는 소리도 나온다. 사실 290번도 수요처가 될 법한 송정~하남, 광주송정역 구간이 있는 데 반해, 이 노선은 정말 사람 안 다니는 곳만 지나기 때문에...
  • 운림35번에서 차량 한대를 빼와서 신설했다.

4.1 시외 요금표

  • 가사문학관 ~ 소쇄원 = 성인 :1500원(1350원), 청소년 : 1100원(900원)[6]
  • 평촌구간은 시내구간이기 때문에 추가요금이 필요없다.

5 연계 철도역

없음.
  1. 이 노선 없이 충장사에서 석곡동주민센터를 가려면 충효187번을 타고 서방시장까지 나간 다음에 석곡87번을 타야 한다. 1시간이 넘게 걸린다. 반면에 이 노선은 4수원지에서 바로 청풍야영장 방향으로 직진해서 석곡동을 관통한다. 아니면 4수원지에서 내려서 청풍학생야영장까지 걸어가는 방법도 있다.
  2. 무등산 근처에 있고 온 땅이 그린벨트라 개발될 일도 없다.
  3. 광주시내에서 연계 가능한 버스가 제일 적은 노선이다.
  4. 15번과 84번은 태령~효령노인복지타운 구간에서도 만날 수 있다.
  5. 저 중에서 가장 자주 다니는 지원15번 버스가 평일배차 15~20분 간격으로 다닌다. 기점 부근이라서 배차가 벌어져서 버스가 늦게 올 일 없으니 안심하자.
  6. 괄호 안은 교통카드 요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