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C


대표적인 그룹 C 머신 포르쉐 956


1987년, 메르세데스 벤츠의 르망 복귀 머신 Sauber Mercedes C9


일본 유일의 르망 우승 머신 Mazda 787B

인류가 광기에 빠졌던 시대, 기술자의 혼은 불타올랐다.

1 개요

1982년 FIA에 의해 만들어진 모터스포츠 카테고리. 당시 존재하고 있던 그룹5(하드탑 투어링 프로토타입, 실루엣 포뮬러)와 그룹6(오픈탑 2시트 프로토타입, 스포츠 프로토타입)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역사

2.1 모터스포츠 전설의 시작

1970년대 말, 오일 쇼크의 영향으로 모터스포츠 자체가 정체현상에 빠져있었다. FISA(국제자동차스포츠연맹, 당시 FIA의 하부조직)는 완성차 메이커들의 적극적인 참가를 노리고 규정을 대폭 개정하여 1982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규정을 적용했다. 그 중에서도 실루엣 포뮬러, 그룹5와 스포츠 프로토타입, 그룹6를 대체하는 신 규정이 바로 이 그룹 C다. 그룹 C규정이 생겨나면서 WEC(세계내구선수권, 1986년부터 WSPC, 세계스포츠프로토타입선수권)이 만들어지고 그룹C 머신은 WEC 레이스에서 전투를 치르게 된다.

그룹 C는 세태를 반영한 특이한 규정으로 만들어졌다. 82년 당시의 규정을 살펴보면

  • 자회사제라면 엔진형식 제한 없음, 배기량 제한 없음
  • 연료 사용제한, 연료탱크는 100L까지
  • 차체는 길이 4.8m, 폭 2.0m, 차고 1.1m 이하, 오픈카 불가, 하드탑만 허용
  • 운전석 밑에는 1.0mx0.8m의 평평한 면을 만들 것
  • 차체 중량은 800kg 이상

말 그대로 "엔진은 아무거나 써도 되고 차도 사이즈 규정 안이라면 디자인 맘대로 해도 좋다. 다만, 지정된 양 만큼의 연료만 써서 완주할 것."

이 규정은 이전에 없던 매우 자유로운 규정이었다. 이 규정의 영향으로 수 많은 메이커가 참가를 결정하게 되고 그 영향으로 그룹 C머신은 매우 다채롭고 풍부한 차량이 모이게 된다.

또한, 오일 쇼크의 경험과 기술 진보에 따라 저연비와 빠른 속도를 동시에 실현해야하니 메이커에게 있어서는 도전이었고 동시에 자사의 기술을 광고할 수 있는 좋은 무대였다. 포르쉐, 재규어, 메르세데스 벤츠, 닛산, 마쯔다등 대기업이 계속 참가하면서 WEC와 WSPC는 크게 번창하게 된다. 차체부터 엔진까지 만들어낼 여력이 없었던 약소팀이나 개인팀도 포르쉐가 자사의 머신을 판매하면서부터 1983년부터 저예산으로도 참가 가능한 그룹C 쥬니어(후에 C2로 개명)이 만들어지면서 더 많은 참가를 이끌었다.

WSPC 뿐만이 아니라 일본에서도 83년부터 전일본내구선수권, 즉 JSPC(전일본스포츠프로토타입카내구선수권)이 개최되면서부터 그룹C에 수 많은 일본 메이커가 참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연료규정이 있었지만 그룹 C머신의 속도는 말그대로 상상을 초월했다. 르망 24시간 레이스가 열리는 사르트 서킷의 뮬산느 스트레이트에서 82년에 이미 시속 360km/h를 돌파, 88년에는 시속 400km/h를 돌파하는 머신이 등장할 정도였다. 게다가 차체형상에 대한 규정이 매우 느슨했기 때문에 엄청난 효율의 공력성능을 재현할 수 있어서 당시 F1을 가볍게 뛰어넘는 2~4톤 가량의 다운포스를 가질 수 있었다. 심지어 페이스카가 서킷에 들어왔을 때에도 페이스카는 상대도 되지 않는 연비를 자랑하며 몇 시간이나 전력으로 주행할 수 있었다.

유려하고 개성적인 스타일의 레이스 머신이 각자 독특한 엔진음을 내뿜으며 엄청난 속도로 질주한다. 이것이 당시 그룹 C레이스가 폭넓게 사랑받았던 이유였다.

2.2 규정 변경과 그룹 C의 쇠퇴

1988년부터 1989년에 걸쳐 FISA는 기자회견을 통해 그룹 C의 차량규정을 1991년부터 대폭 변경하고 WSPC에서 SWC(스포츠카선수권)으로 개명하고 레이스 내용도 크게 바꾼다는 발표를 했다. 이 새로운 규정은

  • 터보 엔진 금지, 배기량은 자연흡기 3.5L로 제한
  • 연료 사용 제한 폐지
  • 내구 레이스에서 단거리 레이스로 변경
  • 차중은 750kg 이상

당시 F1에서도 터보 엔진이 폐지되고 자연흡기 엔진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3.5L라는 배기량은 F1과 같은 배기량으로 그룹 C와 F1의 엔진을 어느정도 공통화하여 그룹 C에 참가하는 팀을 F1에도 참가하게 만들기 위한 전략이었다. 내구 레이스에서 단거리 레이스로 바뀐 것은 TV방송이 시간을 맞추지 못하는 것도 있지만 이 역시 F1에의 참가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레이스 시간이 너무 길면 좀 곤란하니까 F1스러운 규정으로 바꿔봤습니다. 이러면 연비 경쟁이 의미가 없으니까 연료는 맘대로 쓰세요. 그리고 그룹 C에 참전하는 메이커는 F1에도 참전해주세요~."

그야말로 그룹 C의 뿌리부터 뒤흔드는 변화였다. 실제로 1991년 SWC의 신규정이 적용된 후 참전한 팀을 보면 재규어, 푸조, 토요타, 메르세데스 등 거의 대기업이었다. 워크스 활동을 중지한 포르쉐와 개발이 늦어져 참가하지 못한 닛산을 제외하고서라도 수많은 중소규모의 팀과 개인 팀이 사라진 것이다. 새로운 규정의 그룹 C머신은 규정의 변경폭이 너무 컸기 때문에 구 규정에 맞춰서 만들어진 머신을 개량해서 쓸 수가 없었다. 차체는 어떻게 한다해도 엔진은 새로 개발하던가 어디서 사오던가 해야하는 상황. 새로 만들자니 돈이 너무 들고 엔진을 사오자니 개인팀에서도 구매할 수 있는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메이커는 그 어디에도 없었다. 즉, 중소 규모의 팀과 개인 팀은 그룹 C에서 쫓겨난 것이나 다름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레이스에 참가하는 수는 90년의 WSPC부터 큰 폭으로 감소했다. 게다가 대기업들도 새로운 규정에 맞춘 머신을 시간내에 개발하지 못하여 레이스에 참가하지 못했기 때문에 FISA는 이대로는 경기를 치룰 수 없다고 판단, 1991년 단 한 해만 구 규정의 머신의 참가를 허용했다. 하지만 구 규정의 머신이 새 규정에 따라 만들어진 머신에게 이기면 곤란했기 때문에 모든 머신이 150kg의 중량 핸디캡을 받았다. 게다가 내구 레이스용으로 만들어진 머신이 조금 더 가볍게 만들어진 새 규정의 머신에게 속도로 이길 수가 없었다. 이 때무에 1991년에는 개인 팀도 어느정도 남아있었지만 대부분 1992년부터 참가를 포기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인기가 점점 떨어지고 1991년을 끝으로 메르세데스와 재규어가 참가를 포기, 1992년에는 실질적으로 토요타와 푸조만의 경기가 돼버렸다. 결국 1982년부터 모터스포츠계를 호령하던 그룹 C는 1992년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그 외

당시 머신에 사용되던 엔진은 상상을 초월했다. V8은 기본이요 V12도 심심찮게 보였고 트윈터보는 기본장비였고, 4로터 NA로 돌려버린 차량도 있었다. 배기량도 끝장이었는데 포르쉐의 L6 수평대향엔진 2.65L부터 시작하여 재규어의 V12엔진 7.4L까지 수많은 배기량이 존재했다. 특히 닛산은 VRH35Z라는 엔진을 1990년에 사용했는데 이 엔진은 3.5L V8 트윈터보 엔진으로 결승전에선 900마력, 예선에선 가볍게 1100마력까지 올려(...)사용했고 오버홀을 하지 않고도 레이스를 몇 번이나 뛸 수 있었다.

4 참전 메이커와 차량(일부)

메이커 명의 영어 알파벳 순으로 정리

4.1 재규어

머신참전년도클래스
XJR-61986C1
XJR-8LM1987C1
XJR-9LM1988C1
XJR-111990C1
XJR-121990C1
XJR-141991C1
XJR-171992C1

4.2 란치아

머신참전년도클래스
LC11983C
LC21984C1

4.3 마즈다

머신참전년도클래스
717C1983C Jr
7271984C2
7371985C2
7871990C2
787B1991C2
MXR-011992C1

4.4 메르세데스 벤츠

머신참전년도클래스
C111991C2
C2911991C2

4.5 닛산

머신참전년도클래스
Fairlady Z1985C1
R85V1985C1
R86V1986C1
R87E1987C1
R88C1988C1
R89C1989C1
R90CP1990C1
R90CK1990C1
R91CP1991C1
R92CP1992C1
P351992C1

4.6 푸조

머신참전년도클래스
9051991C1
905 Evo1992C1

4.7 포르쉐

머신참전년도클래스
9561982C1
936C1983C1
956B1984C1
962C1985C1
962 GTi1985C1
R962 CK61985C1

4.8 자우버

머신참전년도클래스
SHS C61982C2
C71983C1
C81985C1
C91987C1

4.9 토요타

머신참전년도클래스
87C1987C1
88C1988C1
89C-V1989C1
90C-V1990C1
92C-V1992C2
TS0101991C1
93C-V1993C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