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집

19daa83d85265ae93177e72b31732b76154243.jpg

金晟集

1919년 1월 13일 ~ 2016년 2월 20일

1 개요

대한민국의 미스터 올림피언. 1948년 런던 올림픽 역도 종목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메달을 땄고,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한국선수단 단장을 두 차례 역임했고, 태릉선수촌 촌장을 18년이나 지냈다.

2 생애

1919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에서 아버지 김순정과 어머니 송석녀의 2남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청운초등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43년 보성전문학교 상과를 졸업하였다.

휘문고 2학년때 대한민국 "역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서상천 교사의 권유로 역도를 시작했다. 당시 역도를 통한 민족정신의 고취에 앞장서고 역도를 통해 항일을 실천하던 서상천이 설립한 중앙체육연구소에 들어가 역도훈련을 시작하였다.

휘문고 4학년 때에는 각종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하기 시작했고, 1936년 5월에 개최된 일본 역도 선수권 대회 및 베를린 올림픽 참가 선수선발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일본인이 아닌 조선인이 입문 1년만에 일본을 제패하고 여러 차례 비공인 세계신기록을 세우자 일본역도연맹은 아예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역도종목 출전을 포기해버렸다.

1938년에도 올림픽 후보선수 선발전과 전일본 역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였다. 그러나 1940년 예정된 올림픽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무산되었다. 이로써 올림픽 메달을 향한 그의 꿈은 멀어지는 듯했다.

그러다가 일제에서 해방이 되자 전성기를 지난 30세의 나이로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했다. 역도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였다.[1] 그 후 1952년 헬싱키 올림픽대회에서도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따내 대한민국 올림픽 출전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하여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는 기록을 남겼다.

1954년 마닐라에서 개최된 제2회 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고,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38세의 노장으로서 5위에 입상하였다.

4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한 후에는 대한 역도연맹 전무이사외 부회장, 대한체육회 이사, 사무총장, 아시아경기대회 및 올림픽경기대회 임원으로 활약했다. 1968년부터 1974년까지 8년간 체육회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어떤 청탁이나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원칙대로 일을 처리한 덕분에 '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72년 뮌헨 올림픽과 1984년 LA 올림픽에는 한국선수단 단장을 역임했고, 체육회 사무총장에서 물러난 후에는 1976년부터 1994년까지 무려 18년 동안이나 태릉선수촌 촌장으로 국가대표 선수들을 육성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선수촌장 시절 ‘호랑이’, ‘염라대왕’, ‘시아버지’ 등의 별명을 얻기도 했다. 선수촌 지옥훈련으로 악명 높은 불암산 크로스컨트리가 그의 작품이다. 영원한 ‘촌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모두 31개의 올림픽 금메달을 캐냈다.

2016년 2월 20일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98세.
  1. 영국 BBC방송 라디어전파를 빌려 하루 15분씩 한국에 경기결과를 전하던 서울중앙방송국(KBS 전신)의 아나운서 민재호는 방송 내내 흐느끼다시피 보도했다. 서울과 전국에서 난리가 났다. 3년전 광복을 재현한 듯한 감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