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교통

1 개요

경기도 김포시의 교통 환경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인구 30만 명을 돌파하며 중형 도시로 성장한 김포시지만, 인구에 걸맞지 않게 교통 사정은 막장이다.

2 도로

2.1 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고촌읍을 경유하며, 일산대교 개통 이전에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김포대교고양시와의 유일한 연결 통로였다.

2.2 간선도로

김포시의 대표적인 간선도로로는 서울특별시강화군으로 이어지는 48번 국도가 있다. 과거에는 서울에서 강화도에 가는 유일한 길이었고, 김포시의 시가지는 이 도로의 김포시내 구간에 밀집되어 있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헬게이트가 열리곤 했다. 2006년 김포 우회도로가, 2011년 김포 한강로가 개통되면서 이러한 정체는 조금 완화되었으나, 2014년부터 헬게이트가 부활했다.

김포 한강로한강신도시의 교통 대책으로 건설된 김포시의 두 번째 간선도로이다. 김포 한강로는 48번 국도(김포대로)의 교통량을 분담하며 교통체증 완화에 큰 기여를 했으나,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큰 단점을 갖고 있다. 시에서는 영사정IC(가칭)를 만들어 외곽순환과 한강로를 직접 연결할 계획이나, 김포IC김포TG와 지나치게 가까워서 문제가 되는 듯하다.

2.3 지선도로

지선도로는 주로 인천광역시로 연결된다. 서구 불로동으로 이어지는 중봉로, 서구 원당동으로 이어지는 원당대로, 계양구로 이어지는 장제로 등이 있다.

3 철도

철도는 없다. 원래 고가 경전철을 세우려다가 백지화했고,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시키려고 했지만 재정 부족으로 좌절되었다. 이후 지하 경전철 계획을 세워서 착공했다. 김포 도시철도 문서 참조. 또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지선이 연장될 계획도 있다.

4 버스

시내버스 목록은 김포시 버스 목록 문서를 참조.
마을버스 목록은 김포시 버스 목록/마을버스 문서를 참조

4.1 시내버스

위에서 볼 수 있듯 김포시는 철도가 없고, 자가용을 이용하기에는 서울과의 먼 거리로 인한 유류비 부담과 교통체증 등이 만만치 않아서 그 어떤 수도권 도시보다 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도시이다.

김포시 시내버스를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선진네트웍스의 텃밭. 2000년대 초만 해도 강화운수가 시내 및 시외버스를 독점하다시피 했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선진네트웍스 계열의 김포운수선진버스가 강화운수의 몇몇 노선들을 인수하며 선전하기 시작하더니,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버스 노선 신설에 김포운수·선진버스만 참여하는 등 전세가 완전히 역전되었다. 2013년에는 강화운수가 선진네트웍스에 인수, 김포 면허 시내버스를 모두 선진네트웍스가 독점하게 되었다. 김포시에 진입하는 관외 업체의 노선들도 상당수가 선진네트웍스 계열사의 노선으로, 선진 계열사가 아닌 업체에서 운영하는 노선은 극소수이다.

김포시의 버스 환승거점은 크게 여섯 곳이 있다.

  • 풍년마을.김포고: 풍무동↔서울 노선들(1002번, 69번, 1004번)을 제외한 김포 원도심 경유 노선은 반드시 풍년마을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풍년마을은 김포 시내버스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 고촌: 간선도로가 2개에 불과한 김포시 도로 사정상, 김포 한강로 경유노선을 제외하면 김포↔서울 노선은 반드시 48번 국도를 경유해야 하며, 이에 따라 무조건 고촌에 정차하게 되어 있다.
  • 한강신도시
    • 복합환승센터.한가람.솔터마을: 한강신도시 교통 허브로 계획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한강신도시 B, C지구 경유 노선은 반드시 이 정류장에 정차하게 되어 있다. 김포 도시철도가 개통하면 구래역과 연계된다.
    • 장기상가: 한강신도시 시범택지지구였던 장기지구의 사실상 하나뿐인 광역버스 정류장으로서 장기동의 버스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김포 도시철도가 개통하면 장기역과 연계된다.
    • 풍경마을: 김포 한강로 경유 광역버스가 마지막[1]으로 정차하는 정류장으로, M6117번장기동 투어에 질린 C지구 주민들이 M6427번이나 6427번을 타고 풍경마을까지 이동해 M6117번으로 갈아타는 경우가 많다. 김포 도시철도가 개통하면 운양역과 연계된다.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고양 버스 97번이나 A지구 한정 22번으로 환승하는 환승거점이다.

4.2 시외버스

극히 일부 노선만 운행하는데, 김포 ~ 청주, 김포 ~ 광주, 김포 ~ 수원(시외버스 8426) 이렇게 딱 3개 노선만 운행하며, 운행횟수는 김포 ~ 수원 제외하고는 드물게 운행한다. 타는 곳은 북변동의 북변환승센터인데, 흔히 북변 구터미널(김포 구터미널)로 불린다. 정류장 이름 때문에 북변삼거리에 있는 공영주차장이 옛 터미널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원래 김포터미널은 지금 김포 5일장 부근에 있는 터미널 주차장 자리로, 주차장과 붙어있는 4층짜리 건물에 아직도 '종합정류장'이라고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로 강화 가는 시외버스들이 중간 정차하던 터미널이었는데 2002년에 터미널 운영주체인 김포개발과 강화운수간 사용료 협상이 결렬되면서 폐쇄크리를 맞이했다. 시에서 2006년부터 대체 터미널을 짓겠다고 했지만 현재는 그냥 감감무소식이다.관련기사 그 외에 양촌읍에도 양촌터미널이 있었으며 여기서 김포공항, 영등포 방면으로 가던 버스가 시외버스로 운행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 시외버스는 더이상 운행하지 않아 망했어요 시내버스만 정차하고 있다. 과거 터미널 자리는 택시 대기장소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 매표소로 사용되던 가건물이 아직도 남아있다.
  1. 광역급행버스만. 간선급행버스8601번은 추가로 하늘빛마을에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