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버스 7-5

남양주시 시내버스
광역급행M2316,[광],M2323,[광],
간선급행800180028012
직행좌석111001000100111001200
16601670170020007007
일반좌석330-1330-2330-3
시내11-43-155-16
77-588-18-29, 9-1
1010-5[공]15[광]2330[광]30-15
5555-1566565-171
7374889192[구]93[구]
97112-1165166-1167167-1
168202707
공영마석순환공영버스통학맞춤
마을22-13333-16061
636465778082A/B
83858888-188-288-3
9999-199-2
[광] 경기광주 면허 노선이지만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며 수요처이므로 같이 기재함.
[공] 경기광주 면허, 남양주 면허 공동배차 노선.
[구] 구리 면허 노선이지만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며 수요처이므로 같이 기재함.(빙그레 출발 제외)
640px

선진상운에서 운행하던 시절(2006년 8월)의 모습. 당시에는 지금보다 훨씬 자주 왔고, 광릉내와 청량리를 오가는 노선이었다.



유성운수 시절. 광릉내 대신 양지리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출처

파일:7-5global.png
2016년 9월 촬영.

1 노선 정보

남양주시 일반시내버스 7-5번
기점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진벌리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현대코아)
종점행첫차05:20기점행첫차07:00
막차21:10막차22:45
평일배차출퇴근 15분/평시 25분주말배차30분
운수사명경기운수인가대수8대[1]
노선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엠타워.단우타워 - 양지아파트 - 휴먼시아16단지 - 반도유보라5단지 - 진접우체국 - 궁의문아파트입구 - 대대울 - 오남도서관 - 한양병원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용신초교 → 현암싸릿골 →) - 달음마을 - 비석거리 - 뱅이삼거리 - 퇴계원고 - 퇴계원농협 - 퇴계원사거리 - 주을래마을 - 갈매역 - 중랑경찰서후문 - 능산지하차도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한신아파트 → 홍릉사거리 → 현대코아 → 미주상가 → 시조사삼거리 → 이후 역순

2 개요

경기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진벌리와 청량리를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0년대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광릉내 - 양지리 - 장현 - 오남리 - 퇴계원 - 신내동 - 중랑교 - 청량리'였다.
  • 광릉내 - 장현 구간은 2007년 5월에 23번과 노선을 맞바꿔 '광릉내 - 장현' 구간 대신 양지리로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이 즈음에 업체도 유성운수로 변경되었다.
  • 유성운수가 KD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업체명이 경기운수로 바뀌었다.
  • 2010년 5월에 경기여객 1-5번이 폐선되면서 노선이 '진접택지지구(양지리) - 오남우회도로(어냄이마을) - 뱅이삼거리'로 변경되었다. 때문에 퇴계원역 앞으로는 가지 않게 되었고, 퇴계원과 갈매를 잇는 노선이 사라졌다.

4 특징

202번의 보조노선이다. 202번이 좌석버스로 있던 시절인 2004년 10월까지와 707번이 좌석이던 시절인 2007년 7월까지는 시내일반으로서 저렴하게[2] 그리고 오남ㆍ사능에서는 202번보단 약간 빠르게도 연계된다는 점에서 인기가 있었으나 모두 형간전환된 이후로는 비중이 낮아졌다.

23번과의 노선 맞교환 이전에는 배차간격이 10분 이내로 잘 오는 편이었으나 이후에는 그저 202번의 보조노선 역할 말고는 굳이 있어야 할 필요가 없기에 차를 많이 줄여서 15~20분, 이후 25~30분사실 40분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간격으로 갈수록 더욱 뜸하게 다니는데 위에 나온대로 이제는 오남우회도로 경유로 진접지구에서 202번보다 청량리까지 비교적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현재는 진벌리 차고지로 연장 되었으며 퇴계원 사거리까지는 구 1-5번을 사실상 대체하는 역할이 되었다. 차량구성도 현재는 중형차로 완전히 다운그레이드됐다.[3]

5 연계 철도역

  1. 실제로는 3대로만 운행한다.
  2. 특히 퇴계원역 - 청량리역 구간만큼은 707번과 경춘선 철도 보다 훨씬 저렴했다. 더불어 차급도 707번과 같았던지라 더 매리트가 컸다.
  3. 과거엔 일부 입석차량을 제외하면 707과 같이 시내좌석차량이었다. 물론 대형차량.
  4. 퇴계원극동아파트, 세란의원, 온누리병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