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거래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본시장법상 불법으로 규정된에 대해서는 내부자거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內部去來 / Internal transaction

1 의미

대기업집단에 소속된 계열 회사 간의 거래행위. 즉 한 재벌 그룹에 속하는 계열회사 간에 이루어지는 거래행위를 말한다. 계열사간에 주식 매입, 교환은 물론 물건을 사주거나 인력을 지원하고, 상호간에 임대료 등 비용을 내는 행위가 대표적인 경우.

2 목적

기업들이 내부거래를 하는 주된 이유는 수직적 계열화를 이뤄 경쟁력을 높여 궁극적으로 매출을 극대화 하기 위한 것이다. 여러 계열사가 R&D, 생산에서 조립, 홍보, 판매, 애프터서비스까지 하나의 라인처럼 제품을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수직계열화는 내부거래가 많을 수밖에 없다. 다만 한국은 재벌들이 사업확장을 수직적 계열화를 고려하며 하기보단 그냥 그때그때 오너취향따라 하다보니 대개 외부하청에 맡기는 지라 내부거래가 다른 기업집단보다 적은편이다.

다만 악용하기도 쉬운데, 사는 쪽이나 파는 쪽이나 다 이쪽사람이란 걸 이용해서 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리거나 내리는 방법으로 분식회계를 할 수 있기때문. 애플, 구글. 페이스북같은 IT기업들이 특히 이쪽으로 많이 써먹는데 상표 이용권이라거나 저작권료같은 적정가를 파악하기 어려운 명목으로 지사의 수익 대부분을 조세회피처로 이전한다.

3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