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노봇(G1)

Dinobot

트랜스포머 G1 시리즈 중 오토봇에 소속하는 그림록을 리더로 하는 그룹.

1 멤버

- 트리케라톱스형 다이노봇으로 고온의 화염방사 기능을 보유한 강력한 전력이지만, 다이노봇들중에서도 너무 호전적이고 거친 성격탓에 팀내 협동성은 엉망이다. 공식적인 서브리더로 작중에서도 모종의 사유로 그림록이 부재중일때 다이노봇을 지휘하는 모습을 보였다.
- 아파토사우루스형 다이노봇. 습지 전문가(?)로 함정을 판다거나 머리를 쓰려는 노력은 하는데 자기함정에 자기가 빠지는 안습함이 있다(역시 다이노봇...).
- 스테고사우루스형 다이노봇. 태양 에너지로 출력 향상이 가능하나 반대로 해가 안뜨면 출력저하 크리를 겪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 힘은 좋은 편이다. 다만 성격이 투덜이 스머프
- 익룡형 다이노봇으로 다이노봇 중 유일하게 공룡형태에서도 비행할 수 있다. 다른 다이노봇보다는 전투력이 떨어지지만,(어디까지나 다이노봇들과의 비교해서이다. 일반적인 트랜스포머와 비교하면 전투력이 높다.) 지능이 높다(어디까지나 다이노봇들과의 비교해서이다.).

2 상세

2.1 애니메이션 세계관

트랜스포머 시리즈 최초의 비스트형 트랜스포머이자 시즌 3 이전에는 유일한 비스트형 트랜스포머 집단.

휠잭이 공룡 화석을 참조해 만든 인조 로봇. 멍청하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인격이 있는 엄연한 로봇 생명첸데 벡터 시그마도 없고 유니크론의 힘을 빌린 것도 아니면서 어떻게 뚝딱뚝딱 만들어낸건지는 불명.[1] 변신 시 비클 모드가 아니라 공룡형태로 변신한다. 다른 오토봇과는 다르게 난폭하며 싸움을 좋아하고 머리보다는 힘을 쓰는 타입의 로봇들이다. 그만큼 전투력은 절륜해서 처음 등장했을 때는 5마리도 아니고 3마리가 메가트론을 포함한 디셉티콘 전체를 관광보낸 바 있다. 이후에도 1:1로는 거의 지는 법이 없다. 합체전사급을 상대할 때는 5마리가 다 덤벼야 상대 가능한 듯.

특징으로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들과는 다르게 제대로 된 전투형태가 로봇형태가 아니고 공룡형태라는 것. 대신 로봇 모드에서는 하늘을 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처음엔 너무 멍청해서 자기들 힘을 통제못해 오토봇 기지를 박살내서 참다못한 옵티머스가 다시 땅속에 가두라고 했지만[3]나중에 위기의 순간에 스파이크와 휠잭이 다이노봇들을 풀어줘서 전세를 역전한뒤 오토봇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진다.

메가트론 왈 다이노봇의 약점은 그림록은 다혈질이고 슬래그는 오만, 슬러지는 바보(...)인 거라고 한다. 그리고 그 메가트론 옆에는 다혈질에 오만한 바보가 한명 나중에 메가트론의 말빨에 넘어가 자신들이 힘이 가장 세니 리더라고 옵티머스를 공격하지만, 다행히 다이노봇들의 머릿 속엔 안전장치가 들어있어서 옵티머스를 죽이지는 않는다. 디셉티콘들이 옵티머스를 죽이라고 하자 반발해서 다시 옵티머스와 화해한다.

더 무비에선 그림록이 공격받고 쓰러지는 등 좀 약화된것 같으면서도 어쨌든 핫로드과 동행하면서 훌륭하게 메인 멤버로서 활약하였고 무엇보다 유니크론에게 제대로 된 공격을 했다는것 만으로도[4] 그 위력을 볼수 있다. 여담이지만 이때 다이노봇들이 공격하는 부위는 다름아닌 유니크론의 엉덩이(...).

시즌 3에 들어서면 어째 리더 그림록을 제외하고는 그렇게 큰 활약이 없다. 다만 26화에서는 프레데콘, 테러콘 같은 동물형 사이버트로니안들과 함께 활약한다. 다만 여기서도 제일 큰 활약을 보이는 건 역시 그림록(...). 이때 싸우는 모습을 보면 프레데콘과 테러콘이 함께 덤비는데도 다이노봇 다섯에게 다 발렸다.

2.2 마블 코믹스 세계관

다이노봇들은 원래부터 사이버트론에 존재하던 오토봇 전사들이었다. 이들은 400만년 전 아크에 탑승했다가 지구에 추락하면서 활동정지하고 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쇼크웨이브가 추락한 아크를 조사하기 위해 지구로 오자, 아크의 컴퓨터는 지구에 있던 공룡들을 스캔한 뒤, 이들 다섯 명을 공룡의 모습으로 부활시켜 쇼크웨이브를 막게 한다. 다이노봇들은 쇼크웨이브와 싸우다가 타르 구덩이에 빠져 1980년대까지 지하에 묻혀있었다.

2.3 드림웨이브 코믹스 세계관

먼 옛날, 다이노봇들은 오토봇내의 특수 부대인 Lightning Strike Coalition의 일원들이었다. 그 후 그림록을 비롯한 다섯 명은 다이노봇(Dynobots)이라는 이름을 쓰며 활동했다.

2.4 IDW G1 코믹스 세계관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대전쟁이 일어나기 이전, 그림록과 다른 다이노봇들은 케이온 시에 있는 지하 검투장의 검투사들이었다.

다이노봇들은 옵티머스 프라임이 자유를 위해 디셉티콘들에 대항해 싸우자는 메시지를 보고, 오토봇에 가담해 디셉티콘들과 싸우기 시작한다.

많은 시간이 흘러, 다이노봇들은 앙숙인 쇼크웨이브가 지구로 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림록과 다이노봇들은 쇼크웨이브를 쫒아 지구로 가고, 거기서 공룡들의 모습을 스캔한 뒤, 쇼크웨이브를 공격한다. 그러나 논리 회로를 꺼버린 쇼크웨이브의 힘앞에 모든 다이노봇들은 쓰러진다. 그림록은 자신들이 쓰러질 경우를 대비해 설정해둔 궤도 포격을 실행하고, 쇼크웨이브와 다이노봇들은 땅 속에 파묻혀버린다. 나중에 현대가 되어 인간 고고학자들이 다이노봇들을 발견한다.

3 기타

멤버들의 공룡형 구성이 열혈최강 고자우라의 로봇 구성과 비슷하다.

용자 엑스카이저에 등장하는 악역인 우주해적 가이스터의 멤버는 다이노봇의 디자인을 조금 수정한 것이다.
  1. 그림록이 나중에 테크노봇을 만들어 낸 모습을 보면 오토봇들은 인조 스파크와 인공지능을 만들 기술도 있는 모양이다. 디셉티콘은 그 기술이 없어서 스턴티콘을 만들 때 벡터 시그마가 필요했던 듯. 다만 시즌 2까지의 시점에서 다이노봇의 인공지능을 보아 오토봇도 한계는 있는 것 같다.
  2. 오토봇 중 자체적인 능력으로 하늘을 날 수 있는 건 다이노봇과 에어리얼봇 뿐이다. 참고로 디셉티콘은 비행능력이 기본사양이다. 자동차로 변신하는 스턴티콘도 자유자재로 하늘을 날아다닌다.
  3. 일본판에선 아예 파괴해버리려고 한다. 이때의 명대사가 "그만 됐어! 더는 지긋지긋해! 다이노봇을 파괴한다!"
  4. 다른 트랜스포머들이 우주선 타고 돌격하지 않으면 제대로 데미지를 못입힌데 비해(그나마도 좀 약한 눈 부분이었다.) 다이노봇들은 유니크론의 피부를 뚫고 그 내부에 데미지를 주었다. 하지만 결국 "나 그림록은 새로운 전략 필요해"라면서 후퇴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