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서씨

達城徐氏

1 개요

한국의 성씨로 달성 서씨의 본관인 '달성(達城)'은 지금의 대구광역시다.[1]

대구(大邱)를 본관으로 한 서씨는 달성 서씨 말고도 대구(大丘) 서씨가 있다. 둘의 시조는 다르지만 대구 서씨와 달성 서씨는 근원이 같다고 추정된다. 하지만 분파된 시기와 계대를 확실히 고증하기는 어렵다.

시조 서진(徐晋)이며, 그의 출생년도는 대략 서기 1260년에서 1280년 사이로 추정된다. 그의 부인은 초계주(周)씨였다. 고려 때 봉익대부 판도판서 등을 역임하면서 공을 세워 달성군에 봉해지고 그곳에서 대대로 살게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이천 서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달성으로 하였다. 현재 그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문양역 인근에 있다.

달성 서씨는 2000년 기준 693,954명의 서씨 인구 중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429,353명이다.

지역 별 인구 분포를 봤을 때 달성 서씨는 본관따라 경상도에 매우 많이 분포해 있다. 특히 본관지인 대구광역시경상남도에 많이 산다. 반면 전라도, 특히 전라남도에서는 달성 서씨가 거의 살지 않는데[2] 이것은 서씨의 대종인 이천 서씨와는 매우 대비되는 분포이다.

2 집성촌

3 항렬표

19대 : ○재(在), 간(幹)○, 상(相)○
20대 : ○흠(欽), 병(炳)○, 광(光)○, ○열(烈), 병(丙)○
21대 : ○태(泰), 기(基)○, 정(廷)○, 재(載)○, ○곤(坤), ○규(奎)
22대 : ○화(和), ○석(錫), ○진(鎭)
23대 : ○수(洙), ○원(源), ○호(浩)
24대 : 동(東)○, 병(柄)○, 상(相)○, 정(正)○
25대 : ○교(敎)
26대 : 보(輔)○, 규(逵)○
27대 : ○덕(德)
28대 : 영(永)○

4 유명인

그 외 명단은 서(성씨) 문서 참조.

4.1 21대손

4.2 22대손

4.3 23대손

4.4 25대손

  1. '달성' 자체가 대구의 고호(古號)이다. 이를 따서 1914년 대구부의 외곽 지역을 분리하여 현재의 달성군이 설치되었다.
  2. 그나마 전남에서 달성 서씨들을 많이 볼 수 있는 곳은 순천시, 여수시 등 전남 동부권이다. 전남 서남부권은 정말 많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