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향교


파일:Daegu Hyanggyo 2851-06.jpg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12(지번주소 남산동 735-4)에 위치한 향교로 1398년(태조 7년)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원래는 교동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때 화재로 소실된 이후 몇차례 장소를 이전하여 현재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대성전은 1982년 3월 4일 대구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되었다.

2 역사

  • 1398년 : 조선시대 태조 7년 지금의 중구 교동에 창건
  • 1592년 : 임진왜란으로 소실
  • 1599년 : 현 달성공원 자리에 이전 재건
  • 1605년 : 불길한 징조가 있어 구지(舊址)인 교동으로 환건
  • 1625년 : 명륜당 복원
  • 1932년 : 현 위치에 재이건(대성전, 동서무, 명륜당)
  • 1974년 : 명륜당, 정삼문, 사무실 중건
  • 1990년 : 동서, 서재, 낙육재 복원
  • 1995년 : 유림회관 신축

3 시설

  • 대성전 :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곳으로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되었다.
  • 동무&서무 : 대성전의 부속건물로 과거에는 위패를 모셨으나 대성전으로 위패를 옮긴 후 현재는 서고와 전사청으로 활용하고 있다.
  • 내삼문 : 대성전과 양사재를 이어주는 문이다.
  • 동소문 : 대성전과 낙육제, 명륜당을 이어주는 작은문이다.
  • 명륜당 : 향교건물 중 대성전과 함께 기본건물로 유림들이 모여 학문과 동의를 강마하던 곳이다.
  • 동재&서재 : 명륜당의 부속건물로 유생들의 기숙사로 사용되었다.
  • 양사재 : 과거에는 기숙하던 유생들이 학문을 닦고 공부하는 장소이자 향시를 치룰 경우 시험장으로 쓰였으나 현재는 여성유도회, 여성예학연구원의 교육도장으로 사용중이다.
  • 낙육재 : 인재양셩과 목적으로 경상도내에 유능 선비들을 선발하여 기숙시켜가며 독서 및 학문연구에 이바지 하였다. 원래는 현재의 남산동 동산양말공업사 일대에 건립되었으나 갑오경장 이후 폐쇄되어 소장하고 있던 장서는 현재 대구시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고 있으며 1990년 10월 7일 대구향교내에 재건하였다.
  • 유림회관 :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향교발전과 유교진흥애 기여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유교 관련 교육과 각종 학슬회와 강연회, 전시회 등이 열리는 곳이다.
  • 외삼문

4 대중교통

5 주요행사

  • 석전대제 :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에서 지내는 큰 제사를 가리키며, 문묘대제 또는 석전제라고도 한다.
  • 전통성년관례 : 만 20세가 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년이 되었음을 축하하고 어른의 책무를 일깨워주는 행사로 5월의 셋째 월요일인 성년의 날에 진행된다.
  • 기로연 : 매년 향교에서 유교문화행사의 일환으로 관내 70세 이상의 원로 유림들을 위한 국악공연과 음식대접 등의 잔치를 베푸는 경노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전통혼례 : 전통 방식으로 혼례를 치룰 수 있도록 향교에서 장소 및 식 전반을 지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