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딥

23731442.2.jpg

Double Dip
더블딥

경기침체 이후 일시적으로 경기 회복이 되었다가 또다시 경기침체가 이루어지는 2중 경기침체를 뜻하는 단어. 다른 이름으로W자형 경제구조라고도 한다.

미국대공황(1929~1941)[1]과 2차 오일 쇼크기간(1979~1982)이 대표적인 더블딥이다. 그 이전에는 침체됐던 경기가 빠르게 반등되어서 성장하는 V자형이나 침체기가 지속되지만 서서히 경기가 회복되는 U자형이 일반적인 경기회복의 유형이라고 판단했었지만 위의 두 사건이후 W자형의 경기침체가 일어나자 이러한 현상을 더블딥이라고 부르게 된게 시초다.

경기침체는 경제가 2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는 경우를 뜻하는데 더블딥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던 경기가 잠깐 회복된듯한 모습을 보이다가 곧바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에 돌입하는 상황을 뜻한다.

원인은 다양하긴 하지만, 주로 아래와 같은 경우에 잘 일어난다. 경제적 상위 계층의 노블리스 오블리주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는 한 더블딥은 언제든지 터질 수 있고 얼마든지 반복될 수 있다는 소리.

  • 예상치 못한 사태가 연속되어 발생한 경우. 경기부양책으로 내놓은 것이 도리어 장기적으로 경제에 악영향을 끼친 경우가 대표적이다.
  • 경제의 투명성(=윤리성)이 보장되지 않아 경제 자체가 투기적인 성향을 띄는 경우. 높으신 분들에 따라 움직이는 군중심리도 여기에 속한다. 여기에서 악화되어 경제계의 총체적인 비리가 드러난 경우, 국가 자체가 부도하는 최악의 사태가 터질 수도 있다.
현재 미국그리스 등 선진국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더블딥인데, 이 더블딥에서 벗어날 듯 하다가 다시 침체를 보이면 트리플 딥(Triple Dip)이 된다.
  1. 미국대공황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으로 회복되었다는 설도 있다. 세계 대공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