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부산광역시 동래구의 중학교
남일중학교동래중학교동신중학교동해중학교내성중학교사직여자중학교사직중학교
안락중학교여명중학교온천중학교유락여자중학교충렬중학교학산여자중학교혜화여자중학교
공사 이전 모습 깨알 롯데백화점
공사 이후 모습
290px
동래중학교 東萊中學校
Dongnae Middle School
dongnaems.jpg

교훈참되고 부지런하여 쓸모있는 사람이 되자
개교 1898년 9월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학교
운영 형태공립
교장 제 27대 이연호
교감김규하 ?
교목 소나무
교화 장미
관할 교육청부산광역시 동래교육지원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181번길 109
동래중학교 공식 홈페이지

알리미 코드) 학교알리미

[1]

1 개요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위치한 남자중학교.
동래구 내에서도 학군이 좋기로 유명하며 학업수준도 부산 시내에서 알아주는 만큼 평판 좋은 중학교로 손꼽힌다. 동래고등학교와 뿌리가 같은 학교로 1951년 이전 까지는 같은 학교로써 연혁을 공유하고 있으나, 1951년 학제 개정으로 동래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2 역사

2.1 19세기&20세기

1898년 9월 공립 동래부학교 개교 대한제국 시대
1951년 8월 31일 교육법 개정에 따라 동래고등학교와 분리
1951년 9월 1일 초대 배익우 교장 취임
1952년 4월 20일 명륜동 현 교사로 이전
1959년 4월 21일 본교 교사 신축 기공식
1988년 12월 26일 전국 체육교육활동 최우수교 표창(체육부 장관)
1994년 12월 15일 교육활동 유공학교 표창(교육부 장관)
1995년 9월 19일 제 39회 청룡기 쟁탈 축구 전국 우승
1999년 7월 23일 제26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축구대회 우승

2.2 21세기

2002년 5월 15일 과학교육 유공학교 표창(교육감)
2002년 12월 31일 교육방송운영 유공학교 표창(교육감)
2003년 7월 9일 제30회 대한배구협회장배 배구대회 우승
2003년 12월 31일 학교경영학교 우수학교 표창(교육감)
2004년 1월 4일 도서관 신축
2004년 12월 24일 학교체육교육 우수학교 표창(교육감)
2005년 7월 25일 제32회 대한배구협회장배 전국배구대회 우승
2006년 4월 21일 과학교육 유공학교 표창(교육감)
2006년 6월 20일 전국 소년 체전 테니스 단체부 준우승
2007년 11월 21일 교내자율장학 연구학교 운영 보고
2008년 3월 30일 제29회 전국남녀중고테니스대회 종합 우승
2008년 6월 3일 전국소년체전 테니스 은메달, 축구 동메달
2008년 10월 1일 현대화된 급식소 완성, 직영 급식 실시
2009년 10월 7일 체육관(송백관) 개축
2009년 10월 27일 보건정책연구학교 운영 보고
2010년 10월 30일 운동장 인조잔디 공사 완공
2011년 10월 14일 담장공사 및 조경공사 완공
2013년 12월 3일 교사개축공사 시공
2015년 10월 14일 교사 개축 기념식 및 교과 교실 완공식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및 교훈

3.2 학교 상징

3.2.1 교표

3.2.2 교가

다른 학교에 비해서 교가가 꽤 길다.

금정산 영봉 아래/ 우뚝 솟은 진리의 보금자리/ 갈려서 빛나는 금강석들아/ 학소대 저 송백의 지조를 품고/ 장산의 솔개보다 더욱 날래세/ 선배의 귀한 선혈 방울방울 어리어/ 서천물 붉혀서 담긴 듯이 흐른다/ 잊지 마라 숭고한 뜻 가슴에 새겨/ 전통의 동래중학 길이길이 빛내자.

3.2.3 교목

3.2.4 교화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2013년 12월 3일 새 학교 건물을 짓기전의 시설은 현대에 들어선 일부(TV, 엘레베이터, 종소리, 스피커등)를 제외하면 1962년 완공으로 상당히 노후화되었으며, 규모도 3층에 불과하였다. 복도는 다른 학교에 비해서 넓었으며(가로로 약 10명) 자전거 보관하는 장소도 있다.

완공후 전자칠판이라는 보기 힘든 물건이 생겼고 이전에 급식차를 끌고 와서 반에서 식사를 했던것과 달리 식당이 생겨서 급식차는 사라졌다.

6 학교 생활

6.1 학생회

6.2 주요 행사

6.3 동아리

6.4 운동부

  • 축구부
  • 테니스부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노선

동래중학교46,210번

9 여담

  • 의인 이수현이 졸업한 학교이다. 그는 2001년 도쿄 야마노테선 신오쿠보역에서 추락한 취객을 도우려다 사망한 청년인데 당시 그는 고려대학교를 휴학하고 아카몬카이 일본어 학교에 입학한 유학생이었다. 취객 뿐만이 아니라 그를 구하려고 선로에 내려온 사진작가 세키네 시로(關根史郞)와 함께 선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망하고 말았다.
  • 현재의 신축 교사 설계를 공모할 적에 거장 건축가 승효상으로 유명한 이로재의 디자인 안과#, 부산 지역 향토 업체의 디자인 안이 경합 하였는데 이로재 측의 디자인 안이 탈락하고 지역 중소 건축설계 업체의 디자인 안이 채택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부산시교육청에서 향토 업체를 밀어주기 위함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로재의 디자인 안이 요즘 학교 건축설계 치고는 상당히 독특하였기에 이로재의 디자인 안 탈락이 아쉽기도 하다.
  1. (학교 알리미에서 학교명을 검색 후 주소를 링크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