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건담

초기 GAT-X 넘버
GAT-X102 듀얼GAT-X103 버스터GAT-X105 스트라이크GAT-X207 블리츠GAT-X303 이지스
파일:Attachment/duel gundam.jpg
GAT-X102 DUEL
파일:Attachment/duel gundam as.jpg
GAT-X102 DUEL Assault Shroud mode

GAT-X102 DUEL[1]

1 원작 유닛 스펙


어째 구도가 도망치는 꼴이다 혹은 추락하고 있거나
출현원작 : 기동전사 건담 SEED
모델넘버 : GAT-X102
코드네임 : 듀얼 건담
유닛타입 : 근접전용 시작형 MS
제작 : 모르겐레이테社
소속 : 지구연합 (대서양 연방), 자프트 (자유조약황도연맹)
최초배치 : CE. 71 1. 25.
조종 : 몸체 안의 표준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크기 : 두부고 17.5 m
무게 : 최대 69.1 t (노멀 모드), 103.47 톤 (강습 장갑 모드)
장갑재질 : 불명.(PS장갑 보유)
동력장치 : 초밀도 에너지 배터리, 출력 불명
기타장치 : 센서, 범위 불명
  페이즈 쉬프트(PS) 장갑
고정무장 : "이겔슈테른(Igelstern)" 75mm 다연장 CIWS X 2 (머리에 장착)
      빔 사벨 X 2 (어깨 뒤쪽에 장착)
      "시바 (Shiva)" 115mm 레일건 X 1 (강습 장갑 모드용, 오른쪽 어깨에 장착)
      220mm 5연장 미사일 포드 X 1 (강습 장갑 모드용, 왼쪽 어깨에 장착)
      쉴드 (왼팔에 장착)
옵션휴대무장 : 57mm 고에너지 빔 라이플 w/175mm 그레네이드 발사기 X 1
       "게이보르그" 350mm 레일 바주카
파일럿 : 이자크 줄, 무디 홀크로프트(재제조기)

2 유닛 소개

듀얼은 가장 최초로 만들어진 연합제 MS로, 후에 개발되는 지구 연합군 모빌슈트의 가장 기본이 되는 모델로서, 모빌 슈트의 기본적 성능과 기동성, 범용성을 두루 갖춘 컨셉으로 개발되었다.[2] 그 때문에 GAT-X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특징이 적은 기체지만, 기체 경량화에 의한 높은 운동성능및 빔 사벨과 빔라이플이라는 차세대 범용 무장을 기본으로 했기 때문에 차세대 범용기로서의 기본은 충분히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어썰트 슈라우드(Assault Shroud)는 극 초반에 크게 파손당한 듀얼을 위해 자프트가 독자적으로 추가한 무장파츠로 캐논과 스러스터가 함께 추가되어 모빌슈츠의 화력과 추진력, 방어력을 한번에 강화시키는 다목적 장갑이다. 덧붙여 슈라우드(Shroud)는 시체를 싸는 옷이나 수의를 말하며, 직역하면 강습용 수의라는 말이 되는데 파손된 듀얼(시체)에게 증가 장갑(수의)를 추가한다는, 다소 야유가 섞인 의미에서 이와 같은 명칭이 주어졌다는 설도 있다.

3 극중에서의 활약

헤리오폴리스에서 개발된 G병기의 1기로, 자프트의 크루제 부대에 강탈되어 이자크 쥴이 파일럿을 맡게 되었다. 이후 키라 야마토의 스트라이크 건담과의 전투중에 팔이 런처에 날아갔고, 이후에는 아머 슈나이더에 의해 복부를 긁혀서(동시에 이자크의 얼굴에 흉터를 남긴다) 결국 수복과 동시에 어설트 슈라우드가 추가장비되었다.

지상으로 내려온 뒤는 북아프리카(어절트 슈라우드의 장갑중량에 의해 사막에서 굴욕), 마샬 제도에서 전전(스트라이크에 의해 니콜을 잃은것에 대한 복수를 꾀하나 발린다)함으로서 거의 안습일보의 포지션이었다가,다시 우주로 올라간 뒤에는 신설된 쥴 부대의 대장기로서 제 2차 야킨 두에 공방전에 참가. 어설트 슈라우드의 퍼지를 이용해 포비든 건담을, 프로비던스에 중파된 버스터의 합체포를 빌려 레이더 건담을 저격(스페셜에디션에선 그냥 버스터에게 격추)하였으며 피스메이커 부대의 기함을 격추시키는 성과를 올린다. 마치 아군이 된 적 보정을 반대로 적용받은 경우. GAT-X 시리즈 중에서는 유일하게 격추되지 않은 상태로 종전을 맞이했다.[3]

전쟁 종료후 자프트가 연합에게 반납. 동형기가 하나 다시 만들어졌고 이것이 블루 듀얼로 개수되어서 팬텀 페인에게 운영된다. 그리고 작전 도중 파일럿과 함께 자프트군 MS들에게 다굴 맞고 끔살….

4 무장 설명

◇기본 무장

75mm 대공 자동 발칸 포탑 시스템 이겔슈테른 : 미사일의 요격이나 접근해 오는 적기의 위협과 견제 등에 주로 사용하는 근접 방어 요격 시스템(CIWS)으로, 머리 부분에 2문이 내장되어 있다.

57mm 고에너지 빔 라이플 w/175mm 그레네이드 발사기 : 듀얼의 핵심 주력 병기로, 기본 구조와 위력 등은 스트라이크의 빔 라이플과 비슷하지만, 총신 하부에 소형 멀티 건 런쳐를 장착하고 있다. 이 건 런쳐는 유탄이나 산탄 등의 확산형 범위 무기를 탑재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며, 주로 175mm 그레네이드 런쳐를 장착한다. 외전에서는 스트라이크 느와르 건담이 동형의 무장을 장비한 덕에 사용기체인 듀얼 본체보다배신 먼저 MG화된 주객전도를 보여주었다.

빔 사벨 : 백 팩의 좌우 마운트 홀더에 2개가 수납되며, 스트라이크의 빔 사벨과 같은 장비이다. 근접전을 상정하여 만들어졌으며 결투를 상징하는 듀얼의 개발사상 그 자체를 체현한 무장. 종종 2개의 빔 사벨을 동시에 사용하지만 그중 하나는 예비라서 에너지 소비 관계상 이도류에는 부적합하다는 뒷설정이 있다.

파일럿인 이자크의 성격상 근접전과 백병전을 즐겨하였기에 실상 제일 많이 사용하게 된 무기. 특히 앞의 에너지 소비 페널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2도류를 즐겨썼으며 결과적으로 우수한 전과를 거두었다. 특히 샤니 앤드라스가 탑승한 포비든 건담을 격파한 씬은 유명하다.

관련 게임에서도 이것을 반영하여 공격력이 높게 설정되어있으며, 슈퍼로봇대전 J에서는 시전시 발동하는 이자크의 전용 컷인으로 크루제 못지 않은 압박을 유저에게 선사했다. 이후 작품에서는 아쉽게도(!?) 이 압박적인 컷인이 나오지 않았다.

대빔 쉴드(안티 빔 쉴드) : 빔의 입자를 반사, 확산시키는 특성을 가진 특수 도료가 입혀진 쉴드다. 고출력의 대함 공격용 빔이나 전함의 대형 빔포를 막을 만한 방어력은 없지만, 버스터 이외의 G병기에 표준 장비된 빔 라이플이나 빔 사벨 정도라면 충분히 막아낼 수 있다.

숏 라이플/스나이퍼 라이플 :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에 발매되었던 반다이의 완성품 AMIA 듀얼 건담에 부속된 오리지널 무장. 범용기인 듀얼의 설정을 살린 보너스 파츠라 생각되며, 공식 설정상의 정식 장비는 아니다.

350mm 레일 바주카 '게이볼그' : 듀얼 건담용으로 제작된 레일건식 바주카로 어찌된 일인지 반출이 늦어져 원래 주인과는 한참 떨어져 있었다. 이것을 헬리오폴리스 붕괴전 건담 아스트레이 골드 프레임을 무사히 입수한 론도 기나 사하크가 탈출을 위해 집어들어 사용했다. 이때 골드 프레임은 충분한 시스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기에 게이볼그를 사용한 오른팔에 오버히트가 발생하였고 이것이 기체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불가피하게 오른팔을 떼어내야 했다. 이후 왼팔에 휴대한채 골드 프레임이 헬리오폴리스를 탈출함에 따라 본래 주인인 듀얼 건담은 한번도 사용하지 못했다. 게임 G 제네레이션 SEED에서는 왠일로 보통의 듀얼건담이 이걸 장비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 발매된 반다이의 완성품 AMIA 듀얼 건담에 부속되며 존재가 알려졌고 당초에는 정식 명칭이 없었기에 듀얼 건담 전용 바주카 등으로 불려오다 2009년 9월 무등급 1/100 스케일 레겐 듀얼 건담의 매뉴얼에서 게이볼그로 소개되어 정식 명칭으로 자리잡았다.

◇ 어설트 슈라우드(Assault Shroud) 무장

115mm 레일 건 시바 : 어절트 슈라우드의 오른쪽 어깨 장갑에 장착된 레일 건이다. 실탄이기 때문에 PS장갑에는 별 효과가 없지만, 통상의 장갑에는 인도의 파괴신의 이름에 걸맞는 엄청난 파괴력을 자랑한다.

220mm 5연장 미사일 포드 : 어절트 슈라우드의 왼쪽 어깨에 장착된 미사일 포드이다.

5 모형화

기존에 HG로 나온 건프라가 시드 리마스터링 기념으로 색상을 리마스터 버전으로 변경하여 재출시, 초회 이펙트 파츠로 미사일 클리어가 추가된다고. 하지만 금형은 재탕이다. 그리고 이펙트 파츠는 사실 홍콩 판매판 한정이였다는 함정이...속였구나 반다이

그리고 리마스터링 기념 GAT-X 시리즈 MG화의 첫 주자로 선발되었다. 완전 신금형으로 어설트 슈라우드 버전에 원래 듀얼이 장비해야 했던 무장도 전부 MG에 동봉된다. 듀얼 건담으로 만든 내부 프레임은 다른 GAT-X시리즈 MG화[4]에도 적용되어 버스터, 블리츠, 이지스, 에일 스트라이크, 스트라이크 루즈까지 나왔다. 그리고 나온 물건은...굉장하다! 과거 구판 1/100과 비교하는 것 자체를 거부할 정도로 잘 나왔다.무엇보다도 골드 프레임이나 레겐 듀얼에 들어있던 전용 바주카도 기본 동봉이라서 원작에선 불가능한 풀 장비를 재현 가능에 바주카때문에 다른 1/100을 살 필요도 없다.[5] 여담으로 MG 스트라이커 팩이 듀얼에도 장착된다. 그 외에도 느와르 팩이나 데스티니 팩도 장착 가능.

이후에 로봇혼으로 나온 바 있지만, 공교롭게도 먼저 나온 MG에 비교되어 그런저런 평가를 받은 바 있다.안습

애니메이션 연출상 빔사벨로 전투시 빔라이플을 오른쪽 스커트에 달아놓고 싸우지만 조립식 프라모델과 완성형 피규어를 포함한 모든 듀얼 건담 제품 중에서 이걸 재현해 놓은 제품은 없다.[6]

6 바리에이션

7 게임 건담 vs 시리즈 에서의 듀얼 건담

연합 vs 자프트(2 포함)와 건담 vs 건담 NEXT에서 참전.

연합 vs 자프트에서는 통상상태의 듀얼과 어설트 슈라우드 상태의 듀얼을 다른 기체로 취급하며 코스트부터 시작해서 무장 성능도 크게 틀리다. 대략 통상상태의 듀얼은 코스트가 420이라 560기체의 좋은 파트너가 되며, 결투라는 이름을 담은 듀얼의 이름에 걸맞게 격투성능도 의외로 우수. 다만 그레네이드 런처는 굉장히 성능이 나쁘다[7]. 어설트 슈라우드 상태는 코스트 450으로서 움직임은 둔하지만 차지 샷이 된 시바를 필두로한 순간적인 화력에 치중한 모빌슈트가 되어있다.

건담 vs 건담 NEXT에서는 이지스랑 함께 저코스트군인 1000기체로 등장. 코스트는 내려갔어도 연합 vs 자프트 시절과 똑같은 감각으로 사용 가능[8]하며, 초기에 어설트 슈라우드 상태로 시작해서, 특수사격으로 아머를 퍼지하면서 원작에서 포비든을 격추했던 공격을 시전한다. 아머 퍼지 후에는 전작에는 없던 발칸이 생기지만 무장이 대박으로 약체화되기에 건담 나드레 마냥 격추당하면 다시 어설트 슈라우드로 시작하는 사양을 생각하면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어시스트는 전작에서 이지스가 어시스트로 썼던 고정 파트너의 버스터 건담 이 되어있다. 이에 따라 이지스는 어시스트가 블릿츠로 변경되었다.

승리 포즈도 특이해서, 빔 사벨을 뽑았느냐 안 뽑았느냐에 따라, 어설트 슈라우드를 퍼지 했냐 안했냐에 따라 총 4종류의 승리포즈가 준비. 또한 퍼지어택 자체나 퍼지후의 특격으로 피니시했다면 이도류의 멋진 포즈를 볼 수 있다. 참고로 생듀얼은 횡격의 실드 어퍼후 빔라로 캔슬이 되는 연대자스러운 사양이 탑재되어있다(…)

8 기타

기동전사 건담 SEED HD REMASTER에선 11화 예고에서 어설트 슈라우드로 출격하는 장면에서 어설트슈라우드 부분도 페이즈시프트 다운이 되어있는 작화오류가 있었다가 다음화 본편에서는 수정됐다. 이에 관해 후쿠다 미츠오 감독은 AS장비가 PS다운되는 색지정이 나왔단것과 무크지만으론 설정을 알 수 없었기에 AS가 통상장갑 맞냐고 팬들에게 자문을 구했으며, 이 건에 대해 "의외로 이런건 팬들이 잘 꿰고 있구만" 이라는 한마디를 남겼다. 자기가 설정해놓고 자기가 까먹는거냐라고 신랄하게 까였다

건담 빌드 파이터즈에서는 붉은색과 검정색의 조합으로 도색된 채죠니 라이덴등장. 하지만 워낙에 빨리 죽은 터라 기억하지 못하는 팬들이 많다.

9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의 듀얼 건담

랭크: A
속성: 중거리형

■무장일람

1번 무장 - 빔 사벨

2번 무장 - 고 에너지 빔 라이플

3번 무장 - 이겔슈테른

■스킬 구성

베테랑 스킬 - 방어력업
에이스 스킬 - 페이즈 시프트

■유닛설명

1번 무기는 그냥 저냥 쓸만한 빔 사벨. 과거에는 동랭크 묵기와도 그럭저럭 선타싸움이 가능했으나, 거듭되는 파워인플레로 인해 호신용 무장으로나 쓸만하게 되었다. 하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동랭크 묵기체중 단검질이나, 주먹질하는 기체를 상대로는 여전히 선타싸움을 할만하다.

2번 무기는 빔 쏘는 감각이 손에 착착 감겨오는게 포인트로 데미지, 사거리, 딜레이 등 빠지는 곳이 없는 최고성능이다. 탄창도 넉넉한 편이지만 3번 무장인 이켈슈테른이 워낙 사거리가 짧고 약한 잉여인 탓에 잔탄관리에 신경써야 했다.
그런데 요즘은 조금만 쉬어도 꽤나 많이 채워져있다.그럼 뭐해, 안 쓰는데...

3번은 말이 필요없는 평범한 이겔슈테른. 괴수나 아이필드를 가진 놈들이 접근하면 바로 갈겨주며 후퇴하자. 다른 애들 기총이나 발칸에 이걸로 겨룰 생각은 접어라, 어디까지나 호신용이기 때문에 괜히 덤볐다가 피눈물난다. 다만 연사력 하나 만큼은 좋다....

필살기는 평범한 난무형. 연출은 꽤 멋지다.

위 영상의 1:10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입수 방법
셔틀 발사대 수호 Normal 퀘스트 보상.

캡슐머신 3호기

-조합식-
키유닛 : 시구 (커스텀1)
재료유닛 : 즈곡크 + 건캐논 + 건탱크 + 육전형 짐

10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의 듀얼 건담 어설트 슈라우드

랭크: AR
속성: 원거리형

■무장일람
1번 무장 - 빔 사벨

2번 무장 - 고 에너지 빔 라이플

3번 무장 - 시바(실탄형 스나이핑)

■스킬 구성

베테랑 스킬 - 정밀 저격
에이스 스킬 - 노련한 스나이퍼

■유닛설명

단순 저격성능만으로는 A랭크 저격기체중 단연코 탑을 달리는 기체.

캡슐머신 15호기에서 출현하는 AR랭크.

어깨에 미사일포드는 그냥 장식...(무장이 3개뿐이니 어쩔 수 없다.)

특징이라면 체력이 높고, 공격력은 B랭급과 비슷할 정도로 낮지만 그만큼의 스텟이 방어력에 치중되어서 굉장한 맷집을 자랑한다.[9] 동시에 빠기 주제에 굉장한 기동력과 민첩함을 자랑하기에 스나를 굉장히 잘하는 고수가 몰면 정말 무서운 기체이고 현재 암울한 저격기체의 희망이라 불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다만 AR랭인 만큼 오로지 뽑기로만 획득이 가능한지라 유저들의 포인트를 쪽쪽 빨아먹는 흉악한 기체다[10]
여담으로 클베시절 클라이언트 해킹으로 저격유닛이란게 밝혀졌는데 이때문에 풀아머 건담에 실망해 있던 많은 유저들이 2개의 희망으로 여겼으며(하나는 퍼펙트 건담) 듀썰을 조합하려고 키유닛으로 듀얼을 키워놨었으나 그 결과는 AR(...)

준비 자세가 멋지다. 몸을 약간 숙이면서 빔 라이플을 돌렸다가 앞으로 겨누는 모션.

■이 유닛을 구하는법

15호 캡슐, 36호 캡슐, 커스텀 캡슐에서 획득 가능.
  1. Dual이 아니라, 결투를 뜻하는 Duel이다(유희왕의 그 듀얼 맞다)
  2. GAT-X 시리즈 중 빠진 번호는 실제로는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3. 참고로 포비든에게 방패를 부숴먹어서, 최후반에는 듀얼 건담인 상태에서 아크엔젤로부터 지원받은 스트라이크 방패를 들고 나온다.
  4. 버스터와 블리츠, 스트라이크에 사용 가능. 스트라이크도 같은 프레임을 쓰기 때문에 HD 리마스터 버전의 PV에 슈퍼 스트라이크 건담으로 보이는 설정화가 있는데, 그것이 스트라이크 건담 버전업의 복선이었고 리마스터 버전이 나왔다. 다만, 이지스는 복잡한 변형 기믹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히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한다.
  5. 다만, MG 듀얼 건담에다 어설트 슈라우더를 장착할 시 안쪽 콕피트 부분 개방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긴 하다. 이건 먼저 열고서 장착시키면 해결. 또 어설트 슈라우더 앞부분 허리부분의 고정성이 과히 좋지는 않다는것도 흠.
  6. 1/100 듀얼 건담의 바리에이션인 레겐 듀얼 건담은 이걸 가능케 하는 파트를 동봉해줬다. 관심이 있다면 사서 써보는 것도 괜찮을지도...
  7. 발사모션이 공중에 뜨는게 시간차 회피로 쓰이기는 하는데, 탄이 없을때의 발사모션의 후딜이 그리 크지 않아서 일부러 비워놓고 써야하는..
  8. 다만 NEXT대시의 도입으로 문제점이었던 공격후의 빈틈을 어느정도 해소. 특히 미사일포트를 발사후 캔슬해서 1발씩 나눠서 쓰게 된게 가장 크다.
  9. 노련한 스나이퍼가 발동된 상태에서 B랭급찌기와 맞빔짤시 오히려 찌기체가 손해볼 정도였다. 지금은 너프 당했지만 아직도 괴랄한건 마찬가지..
  10. 이 녀석을 뽑았다는 이유로 초섭에 놀러온 소위에게 원한의 칼질을 당한 불쌍한 뉴비도 있었다.이거 양학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