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고닉 오버로드 디 엔드

카드파이트!! 뱅가드에 나오는 카드

1 효과

파일:Attachment/vgd today2.jpg

한글판 명칭드래고닉 오버로드 디 엔드
일본판 명칭ドラゴニック・オーバーロード ジ・エンド
노멀 유닛
그레이드파워실드 수치클랜종족크리티컬
311000x미스트(카게로우)플레임 드래곤1
영속【뱅가드 서클/리어가드 서클】: '미스트' 이외의 자신의 뱅가드나 리어가드가 있으면, 이 유닛의 파워-2000.
영속【뱅가드 서클】: 자신의 소울에 '드래고닉 오버로드'가 존재할 경우, 이 유닛의 파워+2000.
자동【뱅가드 서클】:【카운터 블래스트 2, 자신의 패에서 '드래고닉 오버로드 디 엔드'를 한장 선택하여 버린다】이 유닛의 어택이 히트했을 때, 코스트를 지불해도 좋다. 코스트를 지불했을 경우, 이 유닛을 스탠드 한다.
「모든 것을 끝내겠다. 도래하라, 이터널 아포칼립스!」(RRR)
「이것이 종말의 시작이다. 이터널 아포칼립스!」(SP)
끝없는 탐구의 끝에 도달한 최종진화, 날뛰는 혼을 승화시켜, 지금이야말로 진정한 모습을 보여라! 크로스 라이드(Cross Ride)! 드래고닉 오버로드 디 엔드!(57화 카이 토시키.)
이 녀석의 강함은 Never end! 이 몸의 천재성도 Never end! Never end 동지가 손을 잡으면, 다른 모든것은 종말로 향한다,드래고닉 오버로드 디 엔드에, 최강! 브레이크 라이드! (112화 모리카와 카츠미)

2 설명

5탄 쌍검각성에 나오는 카이 토시키의 새로운 에이스 카드로, 카게로우 클랜의 새로운 얼굴. 설정상 드래고닉 오버로드가 팬텀 블래스터 드래곤의 섀도우 팰러딘 군단과 유나이티드 생츄어리와의 전쟁을 위해서 자신의 생명력을 써가면서까지 자신을 강화시킨 형태. 팔 4개, 불타는 날개 4개, 총 2자루, 검 2자루로 완전 무장했다.

기존 미스트 클랜의 대세였던 오공섬멸이나 드래고닉 익스큐셔너, 드래고닉 워터폴을 이용한 비트다운 형식을 단숨에 밀어내고 메인 타입으로 자리잡았다. 드래고닉 오버로드와 같은 기본 11000 그레이드 3로, 그레이드 3라인을 싸그리 11000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게 충격과 공포.

또한 팬텀 블래스터 오버로드와 동일하게 진화 전 형태가 소울에 있으면 파워가 2000올라가 상시 13000(!!!)의 뱅가드가 된다. 공격 받을 때 22000 이하의 모든 공격을 10000가드로 간단히 막아버리는 먼치킨. 거기에 트리거라도 받는다면 18000 아래는 가드조차 필요없다.

카운터 블래스트 능력은 팬텀 블래스터 오버로드처럼 자기와 같은 카드를 한 장 버리는 것으로 발동한다.

우선 공격이 히트 했을 때 발동하기 때문에 진화 전 형태와는 달리 공격이 막혀도 카운터 블래스트나 패 소모가 없고 뱅가드를 공격해도 발동하며, 자기 효과로 스탠드 시에도 트윈 드라이브가 그대로 건재 하기때문에 첫 타 부터 트리거 성능을 제대로 뽑을 수 있다. 패가 늘어나는 것은 똑같이 3장이지만, 트윈이 아닌 쿼드 드라이브 체크가 된다는 얘기. 게다가 CB2이라는 우월한 코스트 덕분에 운이 좋다면 6중 드라이브 체크에 패 4장 늘리고 히트를 세 번 이상 할 수 있다.

그 덕에 라이벌격인 팬텀 블래스터 오버로드의 효과에 비해 훨씬 편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카드가 되었다. 다만 나이트메어 페인터나 드림 페인터 같은 보조카드가 없다는 점은 아쉬운 점. 어택 히트시 SC하는 플레임 엣지 드래곤이 있긴 하지만 랜덤성이 너무 짙다.

패에서 특정 카드를 버려야하는 점이 불안하다는 것을 염두해둬야한다. 팬텀블래스터 오버로드와 마찬가지로 그레이드 0의 서치카드인 둠 브링거 그리폰이 있지만 효율이 나쁘다.

오버로드 위에 올려서 13000을 만드는 것도 좋지만 그냥 첫턴에 통상 라이드를 해서 11000로 공격해도 딱히 문제는 없다. 상대가 오라클이나 섀도우 팔라딘일 경우엔 13000을 맞추는게 안전하지만 다른 듣보잡 클랜의 경우에는 그냥 11000 뱅가드로도 상대하기 무난하다. 라이드를 위해 한 턴과 패 한 장을 소모하기 보다 오히려 효율적일 수 있다.

거기에 더해 5탄에서 함께 발매된 오버로드 유닛 전용 1만 부스트 유닛인 약속의 불 에르모의 덕에 뱅가드에서 23000을 찍을 수 있게 되었다.

그 탓에 한 때는 8강 안에 미스트 외에는 다른게 없었을 정도였을 정도로 맹위를 떨쳤다. 당시 그나마 여기에 대항할 만한 카드는 몇 없고, 그마저도 대회에서는 구경하기 힘들 정도였다.

다만 극한돌파를 기점으로는 골드 팰러딘 등의 신규 클랜들이 파워카드가 많이 나온 탓에 상위권 입상 빈도수가 많이 줄었으며, 2013년 시즌에선 2013/01/01 개정된 파이터즈 룰에 의해 최대 2장밖에 덱에 투입할수 없게 되어[1] 페르소나 블래스트를 운이 좋아도 한 게임에 한번밖에 발동 못하게 된데다가 데미지 존으로 1장이라도 날아가면 바닐라가 돼버리는 탓에 상당히 약체화되었으나, 2013/05/11 부터 적용될 파이터즈 룰에서 제한이 해제되었다.

또한 크로스 라이드 대신 봉룡해방에서 나온 강력한 브레이크 라이드 유닛인 던틀리스드라이브 드래곤과 연계하는 것으로, 던틀리스의 브레라 스킬로 스탠드->히트하면 디엔드 페르소나 블래스트로 스탠드라는 전법도 있다.

여기에 무한전생에서 드래고닉 오버로드브레이크 라이드 스킬을 가진 같은 이름의 카드로 나와.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도 가능해졌다.

여담으로, 어딜보나 상위호환인 능력을 가진 이 카드 발매 후 슈테른 블라우 클뤼거를 사용하는 노바 그래플러 유저들은 배겟잇을 적셔야만 했다.(…)하지만 이제 크로스 라이드 유닛이 나온다면?

2013년 7월에 발매된 넨드로이드 카이에 디엔드 미니 피규어가 동봉되었다. 또한 파이터즈 컬렉션 2014에서 재록된다고 한다. 파이터즈 컬렉션의 재록 카드들 처럼 애니메이션의 대사가 금박으로 박혀서 나온다는데, 이 카드의 대사는 카이가 1기에서 페르소나 블래스트를 쓰면서 말한 대사인 "디 엔드는 끝나지 않는다!"디 엔드인데 안끝난다니 뭔 소리여

그리고, 오랜 세월의 침묵의 기간을 걸쳐...드디어 리바이벌 레기온의 일원으로 선정되어, 드래고닉 오버로드 더 크로스의 메이트 유닛이 되었다! 더 크로스에 디 엔드를 서치 가능한 스킬이 있는데다가, 더 크로스의 페르소나 블래스트와 함께라면 맞으면 디 엔드 페블로 뱅스탠 OR 안맞으면 더 크로스 페블로 리어 털기라는 희대의 막장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설정상 로열 팰러딘의 성기사와 나락용과 맞서 싸우기 위해 생명을 바쳐 힘을 얻는 금주법을 사용해 디 엔드가 됐지만, 나락용은 결국 내란 도중 블래스터 다크의 배신으로 인해 죽었기 때문에 자신의 손으로 해치우지 못했으며, 이후 금주법을 사용한 대가로 가사 상태에 빠졌다고 한다. 그리고 흑륜의 힘을 얻어 부활하다 가사상태에 빠지기도 했다가, 이윽고는 과거에서 초월이 나온 지금의 시대로 넘어오기도 했다고 한다.

전법:돈틀래스에 브래라->부스트 받고 리어가드 공격->어택 후 패 3장 버리고 스탠드->또다시 다른 리어가드 공격->같은 브래라 스킬로 또 스탠드->뱅가드 어택->히트하지 않으면 또다시 브래라 스킬 써서 스탠드->실드 거덜나면 최후의 일격 날려준다. 불가능한 전법. 던틀리스의 브레라는 [스탠드]하지 않았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런데 첫 스탠드 후 다시 스탠드한다고 서술한 이 전법은 불가능하다.

3 설정

기나긴 싸움에 결판을 내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촉매로 진화를 이룬 제국 최강의 용전사.

생명의 등불을 힘으로 바꾸는 금단의 사법(邪法), 한층 더 힘을 실어 육박해 성기사나락용을 전복하기 위하여, 그는 그 나름의 답변을 내놓은 것이다. 불타는 네 날개를 퍼덕이며, 막아선 적을 모두 쳐 쓰러트리고. 폭룡은 난다, 목표로 해야 할 적은 바로 그 곳에.

"내 소망은 단 하나, 그 녀석들과의 싸움 뿐, 이 생명은 지금, 이 순간을 위해 존재했던 것이다."

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쌍검각성BT05/005RRR일본세계 최초 수록
쌍검각성BT05/S05SP일본세계 최초 수록
쌍검각성BT05/005RRR한국한국 최초 수록
쌍검각성BT05/S05SP한국한국 최초 수록

5 애니메이션

사실 애니에서 과연 등장할지는 미지수였다. 카이가 "예선에서 난 도와준게 없으니 결승 토너먼트는 니들끼리 하삼"이라고 선언한 바람에 나올지가 의문이었던 참. 하지만 다행히 57화에서 카이가 푸 파이터 본부를 방문해 렌과 파이트하면서 등장.

58화에선 스킬 발동시 페르소나 블래스트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 능력으로 렌에게 일격을 먹이려했으나 실패. 그리고 렌의 팬텀 블래스터 오버로드의 공격에 의해 데미지 3을 맞고 패배하게 된다. 이때 팬텀 블래스터 오버로드의 공격을 맞은 뒤 울부짖으며 머리의 장갑이 깨지고 가루가 되어 서서히 사라지는게 안습하다. 게다가 얄궂게도 카이의 최후의 데미지 체크에서 나온 카드는 바로 이 카드였다.

이후 2기에선 드래고닉 오버로드는 물론 클랜인 미스트 자체가 봉인되었다는 설정이라 등장은 안하고, 3기 112화에서 오랜만에 등장 예정. 카이의 덱을 받아 모리카와 카츠미가 사용한다![2]

112화 본편에선 처음 G1시점에서 드라이브 체크로 패로 들어가는 것으로 살짝 등장. 이후 크로스 라이드는 아니지만 돈트리스 드라이브 드래곤이라는 막강한 브레라 유닛에 브레이크 라이드한 것으로, 파워 10000 펌핑과 동시에, 어택 종료 후 패 3장 버리고 히트 유무 안따지고 스탠드라는 무지막지한 스킬을 얻어버렸다.

아이치가 절대가드로 한번 막은뒤, 돈트리스의 브레라로 얻은 스킬로 패 3장을 버리고 스탠드, 그리고 다시 어택하는데 아이치가 노가드 선언. 그리고 그 드라이브 체크로 디엔드가 들어왔다![3] 덕분에 페블까지 발동하여 다시한번 스탠드해, 뱅가드 서클에서 총합 3회 스탠드라는 장관을 연출했다.디엔드의 이빨은 3번 번뜩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브레라 시점에서 아이치는 고작 3데미지였던지라 5데미지까지 가는데만 그쳤고, 다음 턴엔 가드가 딸려 갠스 위에 갠스를 브레이크 라이드한 아이치의 고결한 해방자 갠슬롯의 공격에 의해 패배한다. 그리고 카이에게 "이제 디 엔드로는 지금의 아이치에게 닿지 않는건가?" 라는 평을 들었다.

하지만 147화에서 카이와 파이트하는 미와가 디 엔드를 들고 나왔다. "예전의 네 동료."라고 말하며 돈트리스에 브레이크 라이드해 페르소나 블래스트까지 써 3회 스탠드 해 데미지 5까지 밀어붙이지만 막타가 절대방어에 막히고 스타베이더 카오스브레이커 드래곤에게 패배했다. 어째 이긴 적이 없다?

이렇게 현실과는 달리 안습신화만을 거듭해갈 뿐이였던 이 카드였으나, 다가오는 무한전생 수록 카드로서 드래고닉 오버로드 더 리버스가 공개되었다. 일러스트는 이 유닛이 흑륜을 등에 두른 듯한 모습.

또한 4기에서는 167화에서 카이가 미와에게 준 미스트 덱에도 투입되었는지 데미지 존으로 간 모습이 확인되었다. 다만 라이드되진 못했다.

기어스 크라이시스 6화에서도 등장. 다른 오버로드 시리즈와 함꼐 키바 시온을 관광 태운다.
  1. 더 골때리는 건 리저드 솔저 콘로와 이 카드의 합계가 2장을 넘어서는 안된다. 즉 콘로 빼고 디엔드를 2장 넣든가, 아님 콘로를 투입하는 대신 디엔드를 1장만 넣어야 했다.
  2. 여기에 퍼뱅이 콘로가 아닌 봉룡해방에서 새로이 나오는 레드펄스 드래고키드라, 디엔드를 최대 2장까진 넣을수 있게되어 페르소나 블래스트의 발동도 기대할수 있게 되었다! 본격 해방자 vs 디엔드
  3. 카이의 덱이 파이터즈 룰 적용으로 디엔드가 2장만 들어있다 가정할 경우, 모리카와는 디엔드 2장을 드라이브 체크만으로 죄다 잡아냈다는 소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