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워븐 기계

1 개요

Dwarven Automaton

엘더스크롤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계. 드웨머들이 멸종하기 전에 그들의 도시를 지키기위해 만든 일종의 로봇들이다. 드웨머가 멸종한지 수천년이 지났지만 이들은 아직도 주인이 살아있는 것처럼 유적을 지키려고 플레이어를 위협한다.

2 종류

첫등장은 엘더스크롤시리즈 외전작인 레드가드 에서 처음 등장 그리고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 등장. 이들은 기계인 만큼 질병(결빙, Dragonborn에 추가된 석화 등), 소울 트랩, 흡수, 날려짐, 모든 독(마비, 느려짐 포함), 얼음마법에 면역이며 이들의 동력원은 소울젬을 특수하게 처리해 쓴다는 설정이 있어서 그런지 소울젬도 간혹 발견할 수 있다. 그 외에 보통 기계장치나 주괴로 녹일 수 있는 찌꺼기, 그리고 연금술 재료인 드웨머 기름을 주기도 한다.

2.1 드워프제 구체(Dwarven Sphere)

250px250px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에서의 모습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의 모습

모로윈드에서도 나왔던 그것. 평상시엔 구체 형태로 나뒹굴고 있지만 적이 다가오면 인간형 상반신이 불쑥 튀어나와 공격한다. 물리 공격력이 강력하고 팔에 달린 쇠뇌로 원거리 공격도 할 수 있으며 방어력도 상당하다. 물론, 스닉 크리에는 장사 없다. 팁으로 얘들이 구체에서 인간형으로 변형하는 도중에 공격을 당하면 다시 구체에서 인간형으로 변형하는 모션을 취한다. 벽에서 튀어나오는 상황에 자주 보이는 꼼수.
만일 던가드 팩션을 선택했다면 속성볼트를 쓸 게 아니라면 이 녀석들이 반가울 것이다. 던전 하나만 맘잡고 돌면 드웨머 볼트가 세 자리수는 쌓인다. 일반적으로 중급 소울젬을 떨구는데, 사실 상급 소울젬도 인챈팅에는 자주 안쓰는 편이고 아이템 충전에는 모으기 쉬운 하급/최하급이 널려있기 때문에 좀 계륵이다. 물론 소울트랩시 무기가 재충전되는 퍽을 찍고 소울트랩 인챈을 한 무기로 앵벌을 하기에는 적절하다.

2.2 드워프제 거미(Dwarven Spider)

250px250px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에서의 모습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의 모습

드워프제 구체와 마찬가지로 모로윈드에서 등장했었다. 당시에는 통상공격 이외에 가끔 독같은걸 끼얹기도 했는데 이게 상상 외로 데미지가 강한지라 저렙때 뒤집어쓰면 세이브 불러오는게 빠를 정도였다. 스카이림때는 그런거 없으니 상관없지만. 모로윈드때나 스카이림때나 밖에 나와 돌아다니는 경우가 많지만 드워프제 구체처럼 벽에 난 구멍에 잠복하고 있다가 튀어나와서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 실상은 구체보다 약한지라 드워프 계통의 잡몹 취급. 스카이림에선 전기를 쏘고 죽이면 자폭까지 하는 거미가 나오는데 이녀석의 이름은 드워프제 거미 가디언(Dwarven Spider Guardian). 전기가 체력보다는 매지카에 주로 타격을 주는 대 마법사용 공격이라서 전사에겐 간지러운 수준이지만 마법사에겐 상당히 성가신 녀석이다.

여담으로 암살자 캐릭터라면 재미있는 꼼수가 있다. 스닉상태로 돌아다니다가 이 녀석들이 들어있는 금속판을 때리면 스닉 성공 메시지가 뜨며 문이 한번 열린다. 하지만 드웨머 거미의 시체는 보이지 않는데, 잠시만 기다리면 문이 다시 닫혔다 열리며 거미 시체가 튀어나온다.[1] 꽤 높은 확률로 하급 소울젬을 들고있다.

2.3 드워프제 발리스타(Dwarven Ballista)

Dwarven_Ballista.png

DLC 드래곤본 설치시 등장하는 드워븐 기계. 한자리에 고정되어 스위치가 들어가면 발사되는 형식의 고정식 발리스타는 본편에서도 함정으로 곧잘 등장하곤 했지만, 이 쪽은 네개의 다리가 수납되어 있어 스스로 걸어다니며 적을 공격하는 이동식 발리스타로, 함정이 아닌 몬스터로 분류된다.

드워프제 발리스타의 가장 큰 특징은 갑옷을 관통하는 쇠뇌살. 설령 방패로 투사체를 막을 수 있는 화살 회피(Deflect Arrows) 퍽이 있다고 해도, 드워프제 발리스타의 쇠뇌살을 방어하려 하면 쇠뇌살이 방패를 관통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방어를 무시하는 대미지가 들어온다. 즉, 방패로 방어해도 소용없다! 맞으면 즉사하거나 즉사에 가까운 피해를 입는 폭발성 발리스타 함정보다는 공격력이 약한 편이지만 그래도 충분히 위협적. 드워프제 발리스타에게 공격받아 몸에 쇠뇌살이 박힌 NPC를 관찰해보면 쇠뇌살이 대략 어떻게 생겼는지 볼 수 있는데, 쇠뇌살이라기보다는 말뚝에 가까운 굵고 뭉뚝한 모양을 하고 있다.

드래곤본 메인 퀘스트 중에 넬로스가 느차닥에서 조수를 데려다가 이 녀석 한 대 데리고 오고 싶다고 타령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텔 미스린에 가면 기어이 해체해서 가져온 것을 볼 수 있다.

2.4 드워프제 백부장(Dwarven Centurion)

250px220px
기계 백부장드워프제 백부장

모로윈드의 기계 백부장(Steam Centurion)과는 무슨 관계인지는 불명. 기계 백부장과 마찬가지로 인간형 이족보행병기이며[2] 강력한 근접공격과 증기를 뿜는 공격[3]을 가하기 때문에, 쪼렙 근접 도바킨이라면 상대하기 힘들다. 죽이면 Grand급 소울 젬과 백부장 발전핵(Centurion dynamo core)을 주는데 이 발전핵은 일부 데이드릭 아이템을 만드는 데 쓴다. 플레이어의 레벨이 높다면 데이드릭제 화살도 드랍한다. 몇몇 드웨머 던전들의 보스몹으로 등장한다.

블랙 리치에도 몇몇 존재하는데, 근처에 있는 레버를 당기거나 때리면 깨어나는데, 본인 레벨이 적당하지 않으면 깨우지말자. 싸우려면 이리저리 돌면서 공격해야 하는데 그 근처에 팔머랑 카우러스까지 겹치면 까다롭다.

하지만 플레이어가 인식이 되지 않는 한 접근속도가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은신술과 궁술이 받쳐준다면 은신 상태로 지속적으로 피해를 줘서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다. 또한 공격 하나하나가 동작이 크고 선회력도 안좋으므로 근접캐라도 붙어서 주변을 돌면서 공격하면 쉽게 잡을 수 있다. 앞구르기 퍽을 찍을 정도가 되면 콕 찌르고 굴러서 멀어지길 반복하며 은신 수련에도 도움이 된다.

무게 때문인지 자이언트와 맞붙으면 자이언트에게 처치되었어도 하늘로 날아가지 않는다. 자이언트에게 죽을 때 하늘로 날아가는 것이 버그임을 감안해도 흥미로운 부분.

강화판이 존재하는데 이름하여 '드워프제 백부장 마스터(Dwarven Centurion Master)'. 살인적인 데미지를 자랑하지만 역시 주변을 돌면서 공격하면 쉽게 잡을 수 있다.

Forgemaster의 모습

그리고 DLC 던가드에 추가된 퀘스트인 'Lost to the Ages' 에서 'Forgemaster' 라는 불을 뿜어대는 유니크 형태의 백부장이 등장한다. 이녀석은 증기가 아닌 진짜 불꽃을 뿜어대는게 특징으로, 그것도 목표 지점에 화염 장벽을 남기기까지 하는 강력한 불길이다. 카트리아와 함께 아테리움 열쇠를 모두 모은 뒤 아테리움 대장간에 가면 뒤틀린 드웨머 거미와 뒤틀린 드웨머 구체들이 레이드를 오며, 이들을 모두 물리치면 용광로에서 위엄차게 걸어나오면서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다만 카트리아가 워낙 어그로를 잘 끌어주기 때문에 체감상의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으며, 여전히 둔하기 때문에 수증기 밸브가 있는 근방에서 스닉한채 화살을 날려대면 아무것도 모른채 끔살당한다.

3 여담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DLC 드래곤본에서 추가된 드웨머 유적 카그루메즈(Kagrumez)에서 첫번째, 두번째 퍼즐을 풀어내면 동물형 팔로워로 영입 가능한 튼튼한 드워프제 거미(Steadfast Dwarven Spider)와 튼튼한 드워프제 구체(Steadfast Dwarven Sphere)라는 유니크 드워프제 거미와 드워프제 구체를 만날 수 있다.
  1. 드웨머 구체의 경우는 위치가 높은데다가 좀 깊이 들어가있어서 화살이던 대검이던 스닉순살은 안된다.제길
  2. 다만 사이즈는 심각하게 차이가 난다. 기계 백부장이 그냥저냥 인간과 비슷한 크기인데 비해 드워프제 백부장은 어지간한 거인 사이즈라고 보면 된다
  3. 용의 브레스급으로 심각하게 아프다, 게다가 발동도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