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데츠키 행진곡

상위 문서- 행진곡

Radetzky Marsch
1987년 빈 필하모닉 신년 음악회의 공연 장면으로 지휘자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개요

오스트리아작곡가요한 슈트라우스 1세가 작곡한 행진곡. 곡명의 라데츠키는 19세기 오스트리아 제국의 장군인 요제프 라데츠키(Joseph Radetzky)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하고는 관계없다 라데月 행진곡도 아니다 라데온과도 상관없다.

곡 자체의 내용과는 별개로, 이 곡은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정치적 성향이 잘 드러나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 본래 요한 슈트라우스 1세는 오스트리아 황실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당연히 보수 성향의 왕당파로 활동하였다. 1848년 메테르니히 체제를 무너뜨린 3월 혁명 당시에 정부군의 사기 양양을 위해 이 곡을 쓰기 시작하였고, 곡명을 '라데츠키'로 한 것도 요제프 라데츠키가 이탈리아 통일 전쟁 당시 오스트리아군을 이끌고 이탈리아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기림으로서 오스트리아에 대한 애국심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재미있는 점으로, 아들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당시 공화주의-자유주의 성향이 강해서[1] 이러한 아버지의 행동을 매우 싫어했다는 것.

이 곡이 초연을 연 것은 1848년 8월 31일. 이 곡이 처음 연주될때 황제가 너무나 감명받은 나머지 기립박수를 한것으로 유명하다. 3번이나 앙코르 요청을 받을 정도로 대성공을 이루었으며, 이후 정치적 성향을 떠나 대중들에게 인기있는 곡으로 자리잡았다. 현대에는 행진곡 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밝고 경쾌한 분위기 때문에 축하나 파티에 사용하기도 한다.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명물 공연인 신년음악회의 단골 앙코르 곡이기도 하다.

이 곡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관객들이 연주에 기립박수로서 참가한다는 것. 아마 초연때 황제가 기립박수를 한 것이 이어져 전통이 되지 않았나 싶은데, 기립하지 않더라도 박수만은 꼭 친다.[2] 이 때문에 지휘자가 악단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도 몸을 돌려서 지휘(?)하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한다. 위의 영상을 보면 지휘자가 어떻게 관객들을 지휘하는지 알 수 있다.

영화 배틀로얄에서 초반에 흘러나오기도 했다.

2012년 요제프 로트(Joseph Roth, 1894-1939)의 동명의 역사소설이 국내에 정발되기도 했다. 이쪽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를 관통하는 한 일가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다.
  1. 젊었을 때의 이야기. 이후 오스트리아 황실과 교류하면서 친황파로 성향이 바뀐다.
  2. 어째 영상을 찾아보면 앉아서 박수만 치는것이 많긴 하지만, 2016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신년음악회에선 기립박수를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