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페이

대한민국에서 정식 서비스 중인 간편 결제 서비스
width=80
삼성 페이
width=60
네이버페이
width=90
카카오페이
width=35
T페이
width=70
SSG 페이
width=70
십일페이
width=50
엘페이
width=60
페이코
width=70
PayPal
width=60
페이나우
30px
H-Wallet
width=35
LG 페이
뱅크월렛width=90
스마일페이

1 개요

라인의 자회사인 LINE Pay 주식회사에서 서비스하는 핀테크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2 JCB 제휴 라인페이 선불카드

네이버페이와 마찬가지로 라인페이 또한 JCB와 제휴를 맺어 오프라인 전용 선불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카드 이름은 라인페이 카드. 다만 해외결제[1] 수수료가 매우 흉악한 4%날강도네를 자랑하니 이걸 가지고 한국에서 결제하지는 않는 것을 추천한다. 포인트 적립률은 기본 2%이며, 이것으로 각종 기프트카드를 구매하거나 1,000 포인트부터 카드에 충전하는 방식으로 환급할 수 있어서 이벤트성으로 2%를 지급하고 포인트를 오프라인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없는 네이버페이에 비해 장점이 있다. 단 포인트는 네이버페이와 달리 월말에 한꺼번에 집어넣어준다.

전월실적이나 연회비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이라면 이게 당연하겠지만 일본의 경우 데빗카드[2] 또한 쓰레기같은 혜택에 폭탄같은 연회비를 청구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므로 라인페이 카드는 일본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물론 현금을 주로 사용하는 국가가 일본이라 한국의 네이버페이 체크카드같은 선풍적 인기는 아니라는 점은 고려해야 하겠지만.

계좌와 연동되는 네이버페이 체크카드와 달리, 라인페이 체크카드의 경우 라인 어플리케이션에 잔액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지원한다.[3] 결제내역 또한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확인하는 방식. 다소 신한카드에 종속적인 네이버페이 체크카드와 달리 전적으로 라인 어플리케이션 안에서 모든 것을 끝낼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다. 다만 네이버페이 체크카드와 달리 현금인출 기능은 존재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친구끼리 어플리케이션의 잔액을 송금하거나 자신의 통장으로 잔액을 환급하는 방식으로 계좌이체를 이용할 수 있다.

가입하기 위해서는 라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라인페이를 가입하면 된다. 설정 창에 LINE Pay가 존재하며 여기에서 시키는 대로 진행하면 되는 것. 일본의 이동통신 회선으로 문자인증만 하면 개인인증 없이 등록할 수 있고 기입한 주소지로 카드를 보내준다. 또한, 일본의 MVNO 중에서는 개인인증을 하지 않아도 유심 단독으로 회선을 발급받을 수 있는 곳이 존재하므로[4]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외국인도 가입할 수 있다! 또한 택배 배달원에게 본인확인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카드를 배대지로 보내도 문제없이 수령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에서 JCB 체크카드가 존재하지 않아서 이렇게 이용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충전이 번거롭지만 해외결제 수수료가 없고 환율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점은 보너스이다.

충전 방식으로는 은행계좌, 편의점 충전, 충전 전용 계좌, Pay-easy, 자동 충전이 존재하는데 재류카드 등으로 인증이 필요한 절차를 제외하고 외국인이 할 수 있는 것은 편의점 충전 뿐이다. 편의점 충전은 수수료가 전혀 없는 것도 모자라 1만엔 단위로 충전할 때마다 1엔을 라인에서 부담해주므로 상당히 유리하다. 오사이후 폰타와 같은 타사의 선불카드같은 경우 충전에 수수료를 받는 수준이니 얼마나 큰 이득인지 알 수 있다. 특히 로손 편의점의 경우 충전할 금액을 이야기하고 라인 페이 카드를 제시하면 직원이 알아서 충전해주므로 일본어가 서툰 사람도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결정적으로 신용카드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건당 해외수수료를 절감하거나 해외결제수수료보다 많은 포인트를 주는 신용카드를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환율이 낮을 때 이렇게 충전해두면 환율이 높을 때에도 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본인 확인을 하지 않은 경우 잔액 한도, 1회 결제 한도, 1개월 결제 한도가 모두 10만엔으로 제한된다. 본인인증을 마치는 경우 잔액 한도는 1,000만 엔, 결제 한도는 100만 엔, 1개월 결제 한도는 무제한으로 해금된다.

3 관련 문서

  1. 해외 결제는 본인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만 가능하다.
  2. 한국의 체크카드.
  3. 물론 일본에서 거주하는 경우 일본의 계좌도 사용할 수 있다.
  4. 소넷 0엔 유심, Freetel 유심과 같이 기간 한정 혹은 영구적으로 기본료 0엔으로 유심을 발급해주는 회사가 존재한다. 여담으로 일본에 1년에 3번 이상 가는 경우에는 유심을 발급받는 편이 포캣와이파이를 빌리는 것보다 오히려 저렴하기까지 하다. 단 JCB 신용카드가 필요한데 이건 한국에서 나오는 회사가 많아서 큰 문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