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치아노의 성체 성혈 기적

이탈리아어 : Miracolo eucaristico di Lanciano

이탈리아 란치아노 성당에서 일어난 성변화의 기적을 일컫는다.

1 개요

8세기 경 어느 날 아침, 성 바실리오 수도회 소속의 한 수사 신부미사를 집전하던 중, '예수성체성사에 실제로 현존하심'에 대하여 의심을 품게 되었다. 그 수사 신부가 막 빵과 포도주의 '성변화를 위한 축성'을 끝낸 순간, 그는 갑자기 성체로 쓰인 제병이 살아있는 살로 변하며 포도주의 외양이 살아있는 피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 너무나 놀란 수사 신부는 이 사실을 숨길 수 없어서 미사에 참례한 이들에게 보여주었다. 그들은 곧 뛰쳐나가서 이 소식을 란치아노 시 전체와 인근 지방들에 알렸다.

1200년이 지난 뒤 살 모양으로 변한 성체는 불그스럼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래된 수정 성작 안에 담겨있는 성혈은 5개의 불규칙한 형태의 핏덩어리로 응고되어 있다. 전체 무게는 16.5g이다. 얼른 보면 빛이 바랜 것 같은데, 밝게 하여 보면 황토색 비슷한 자연적인 색을 볼 수 있다. 이 기적에 대한 소식은 널리 퍼져나갔으며, 1971년에는 과학적 검사에 이어 장엄한 공인이 있었다.

1574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서 관할 주교들에 의한 인정이 있었으나, 1970년과 1971년에 해부학, 병리 조직학, 화학, 및 임상 현미경학 교수이며 아레초(Arezzo) 병원의 수석 의사였던 오도아르도 리놀리(Odoardo Linoli)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당을 맡고 있던 프란치스코회 수사 신부들의 요청에 따라 기적의 성체와 성혈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검사는 2단계로 나뉘어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리놀리 교수가 기적의 성체와 성혈의 샘플을 채취하여[1] 아레초 병원의 실험실에서 검사하는 것이었다. 2번째는 리놀리 교수가 완료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과학적인 보고서를 준비하는 것이었다.

샘플이 채취된 것은 1970년 11월 18일로 란치아노의 페란토니 대주교가 참석하였다. 아브루치 지방의 꼰벤뚜알회 및 성 프란치스코 성당을 관리하는 수도회 전체가 페란토니 대주교의 관할 하에 있었다. 오전 10시 15분에 대주교는 그의 선임자였던 프란시스 페트라르카 주교에 의한 1886년의 봉합을 깨어 열었다. 교수는 성체로부터 20mg 정도의 아주 작은 2개의 샘플을 채취했으며, 성혈로부터는 318mg을 채취하였다. 리놀리 교수는 거의 3개월에 걸쳐서 그 샘플들을 조사하였다. 그는 검사 기간 동안 시에나 대학교의 인체 해부학 교수였던 유명한 로저 베르텔리 교수의 도움을 받았다.

1971년 3월 4일, 성체 기적이 일어났던 그 성당에 수많은 학자들이 모였으며, 그곳에서 리놀리 교수는 그의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의 구두 설명과 더불어 수많은 사진들과 문서들이 제시되었다. 그의 발표 내용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성체 기적의 피는 참으로 피이며, 살은 참으로 살이다.
2. 그 살은 심장 근육이다.
3. 그 살과 피는 인간의 살과 피이다.
4. 피와 살의 혈액형은 동일하다. 이것은 그 피와 살이 동일인으로부터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혈액형이 같은 두 사람으로부터 왔을 수도 있다.
5. 피 안에는 정상적인 피에서와 같은 정상적인 비율의 단백질들이 발견되었다.
6. 피에서는 또한 다음의 무기물들이 발견되었다. 염화물, 인, 마그네슘, 칼륨, 정상보다 약간 적은 양의 나트륨, 그리고 정상보다 많은 양의 칼슘. 베드로예수에게 하도 물고기만 대접해서 그런가?

교수는 다음의 설명을 덧붙였다.

* 이 살이 인간의 심장으로부터 해부적으로 잘라 온 것일 가능성은 전무하다.
* 그 살과 피를 보존하기 위하여 화학적인 방부조처를 취한 흔적은 없다.
* 그러므로, 그 살과 피 안의 단백질과 무기물들이 대기와 미생물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부패되지 않고 보존된 것은 절대적으로 예외적인 현상이다.

그 피의 혈액형AB형 이었다고 한다.

리놀리 교수의 과학적 조사는 여러 주요 의학 잡지들에 보도되었다. 그리하여 이탈리아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천주교 계통 과학자들 사이에 광범위한 지지를 계속하여 받고 있다.

1973년에 이탈리아의 의사이며 생물학자인 요셉 비온디니(Joseph Biondini) 교수는 그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던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리놀리 교수의 검사 결과를 제출하였다. 세계보건기구는 이 보고서의 특별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일곱 나라들로부터의 전문가들로 하여금 리놀리 교수의 분석 결과를 조사하도록 위임하였다. 그것은 리놀리 교수의 정직성이라든가 과학자로서의 능력을 의심해서가 아니라, 그의 결론이 과학에 대하여 가지는 극히 중요한 의미 때문이었다.

핵의학 등 최첨단의 기술이 동원되었던 15개월 간의 연구 끝에 그 국제적인 과학 위원회는 리놀리 교수의 결론들을 완전히 확인하였다. 그들의 보고서는 세계보건기구의 공식 출판물들에 실을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UN 산하의 그 과학자들은 란치아노의 성체 기적이 유래가 없는 케이스이며,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단정적으로 선언하였다.

아르헨티나의 성모 마리아 성당의 성체와도 관련있다고 한다. [1]

2 기적?

다만 여느 기적이 그렇듯 이 기적 역시 신빙성은 크지 않은 편이다. 일단 성작 안에 담겨 있었던 물체가 인간의 살과 혈액이었다는 점은 둘째로 놓고, 이 인간의 살과 혈액이 8세기경에는 빵과 포도주였다는 것이 기적의 핵심일 텐테, 중세 교회들의 기적 조작은 너무 많아서 일일히 다 적기에는 여백이 부족할 정도로 빈번하게 벌어진 일이었기 때문이다. 결과물이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그 변화 과정을 증명할 수 없으니 이것 역시 확실하게 과학적으로 증명된 기적은 아닌 셈이다.

신부 본인이 피와 살을 직접 구해왔을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부패 문제 역시 특이한 환경 내에서는 부패가 되지 않고 보존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작 과학계에서는 이 기적에 대해 큰 관심이 없다. 리놀리의 결과에 대해서 대서특필한 곳은 천주교인들의 자체 인용 말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비온디니와 WHO의 경우는 리놀리의 경우와 다르게 출판물은 커녕 제대로 된 인용조차 없는 완벽한 루머다. WHO에는 High Council 이라는 조직이 없다.[2] 검색해보면 모든 기사가 언어를 가리지않고 완벽히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3] 그들만의 리그에 가깝다는 셈.
  1. 이로 인해 원래 성체의 완전한 형태였던 것의 가운데 부분이 비게 되었다. 즉 그 공간이 바로 샘플을 채취한 흔적.
  2. 이탈리아어 기사엔 Consiglio Superiore della Organizzazione Mondiale della Sanità(OMS, 즉 WHO)로 되어있지만 이 역시 없는 조직이다.
  3. 위키피디아의 경우 WHO 부분은 저명성 부족으로 날려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