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민요

1 소개

Русская музыка[1]

러시아 민요는 넓은 의미에서부터는 본토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같은 슬라브 계열 민족의 민요에서 좁은 의미로는 러시아 내부의 민족민요를 뜻한다. 옛 슬라브 족계열의 루스 족 문화에서부터 나왔다.

특징은 발랄라이카와 같은 현악기로 이루어진 노래가 많고, 단조로 이루어진 노래나 우울한 노래가 많다는 것. 그리고 넓은 땅덩어리에 수많은 민족이 뒤엉켜 살다보니 민요 방식도 조금씩 다르다. 그리고 주요 레파토리는 영웅건국설화, 민족의 위기였으나 이후 19세기에 이르러서는 로맨스넘치는 민요도 등장한다.

러시아인의 모태가 되는 동슬라브인들은 옛부터 민요를 즐겨불렀다. 안그런 민족이 어딨겠냐만 그 이후 18~19세기 즉, 러시아의 계몽기가 시작되면서 유명한 러시아 민요들이 자츰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20세기 소련 시대를 거쳐 21세기에 이르러 세계인들을 매료시켰다.

특히 독소전쟁 당시 소련군의 합창단이 부른 민요들이 우리들에게 많이 알려져있다. 웅장하고 남성미넘치며 비장한 모습이 그려지지만 원곡을 들어본다면 아름다우면서 왠지 모르게 구슬프다. 거기에다 계속 반복되는 인상적인 후렴구가 특징인데, 한국 걸그룹들이 유행시킨 후크송과도 일맥상통하다 볼 수 있다.

러시아하면 민요라는 인식이 단단하게 박혀있어서 러시아의 가곡이나 군가나 가요 모두 민요취급을 받는다. 실제로 러시아의 국민악파들은 민요 음조를 대거 자신의 곡에 차용하였고, 소련-러시아군에서는 군가뿐만 아니라 민요도 많이 불려졌다. 국내에서는 1990년 . 수교 이전까지 러시아 문화가 거의 유입이 불가능한 상황이었고, 러시아 가요도 민요랑 군가랑 찰지게 엮여있어서 이런 오해를 사는 듯하다. 그런 영향으로 인해 한국에서 러덕 아닌 이상 사람들이랑 같이 러시아 음악 얘기를 하면 항상 나오는 레파토리는 차이콥스키림스키코르사코프 + 러시아 민요 + 러시아에도 가요가 있냐.

2 음악적인 특징

장조음보다는 단조음으로된 곡이 많은데, 이유는 러시아의 역사 또한 러시아가 동양권에 속하기 때문에 언뜻 듣다보면 라틴 음악과 엔카트로트 느낌이 많이 난다.

참고로 민요와 민요가 아닌 노래는 '작사가와 작곡가가 있는가'로 구분한다. 대개 원작자가 있으면 민중들이 만든 노래라는 '민요'의 정의와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카츄사의 경우는 거의 '민요'급이지만 이건 꽤나 특수한 경우라 할 수 있다.

3 목록

  • 가나다 순서대로 정렬할 것.

3.1 민요가 아닌 오해받는 곡

  1. 원음대로 읽는다면 '루스까야 무즤까' 정도가 되겠다.
  2. 칼린카 다음으로 유명한 노래.
  3. 팀 포트리스 2의 헤비가 부르는 그 노래이다.
  4. 국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등장한다. 까로부쉬카 (마차)로.
  5. 이건 우크라이나 노래다.
  6. 한국 한정으로 러시아 민요가 원곡이라고 알려졌지만, 1982년 '알라 푸가체바'라는 가수가 부른 대중가요가 원조다. 한국에 가수 심수봉이 번안하여 부르면서 러시아 민요로 잘못 알려진 것이다.
  7. '피부색이 까무잡잡한 여자'를 뜻하는 러시아어. 원곡 이름이 '몰도바의 까무잡잡한 여인 (스무글랸카 몰다반카)'로 민요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