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포춘


액션 포트레이트.

Robo-Fortune / ロボ・フォーチュン
CV : 킴린 트랜 Kimlinh Tran / 하나자와 카나 花澤香菜 (일본판)[1]

Beep. Boop. Meow.

삡. 뿝. 야옹.

스컬걸즈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width=50width=50width=50
width=50width=50width=50
width=50width=50width=50
width=50width=50width=50
width=50width=50width=50
보스 캐릭터
width=50

1 프로필

성별없음 (여성으로 프로그래밍)
나이1세대
생일1월 31일
혈액형10W-30 합성 기름
168cm
몸무게200kg
쓰리사이즈32B-23-34 (조정 가능)
좋아하는 것꿀단지, 1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 에 관한 책, NAND 게이트, 0x5f3759df[2], 펼쳐진 반복 문자열, , 레베카퍼플[3], IEEE(C 이후는 빼고), 세트플레이
싫어하는 것무질서, 호환되지 않는 파일 확장자, DES, 소금기 없는 비밀번호[4](소금기가 있어야 맛있으니까), 피 흘리는 심장[5], 알기 힘들게 쓰인 언어, vi, O랑 0을 구분하기 힘든 글씨체, 설명 없는 체크인, 무아레 무늬
로보 포춘은 안티 스컬걸 0호 연구소의 초자연적 관리자인 브레인 드레인의 작품으로, 그녀의 정신 나간 제작자의 어울리지도 않는 자존심과 성마름을 입증하기 위해 서 있습니다. 충성심과 교활함을 보여주고 싶었지만, 로보 포춘은 이 두 가지 중 어느 것도 뚜렷하게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그녀는 스컬걸을 쓰러트리기 위해서, 쉽게 피할 수 있는 싸움에 임하기 위해 최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안티 스컬걸 프로젝트의 최신작은 궁극의 인공 병사일까요? 브레인 드레인의 기계적인 음모는 세상을 위험에 빠지게 할까요? 로보 포춘의 불완전한 프로그래밍은 버그보다 더 심각할까요? 과학이 너무 멀리 발전한 것일까요?

2 소개

스컬걸즈의 플레이어블 DLC 캐릭터.

2013년 인디고고 크라우드 펀딩에서 모금액이 72만 5천 달러를 넘어설 때의 특전이었던 캐릭터로, 2015년 7월 7일 PS4용 스컬걸즈 세컨드 앙코르 발매와 함께 출시되었다.

평소 다른 사람들을 본뜬 클론이나 로봇을 만들기 좋아하는 안티 스컬걸 0호 연구소의 박사 브레인 드레인미스 포춘을 본떠 만든 로봇으로, 원조 포춘이 몸이 토막난 이후 이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는 특징도 그대로 구현하였다. 몸 전체가 13조각 가량으로 분리되어 따로 따로 비행하며, 원하는 장소에서 합체할 수 있다.

그녀는 단순히 제작자가 부여한 임무에 따라 움직이도록 만든 로봇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인간 못지않은 고성능의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제작자가 부여한 자신의 일이 옳은지에 대해 스스로 의구심을 품거나,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가는 생물체들을 부러워하며 자유로움에 대한 갈망을 보이기도 한다.

본래 브레인 드레인이 그녀를 제작한 의도는 스컬걸을 제거하고 스컬 하트를 연구소로 가져오도록 하는 살생 병기였다. 그러나 막상 실제로 작동시켜보니 말장난을 입에 달고 다니는 원본 못지않게 개그와 밈을 사랑하는 허당 로봇이 되었다. 애초에 워낙 원본이 원본인 만큼 개그를 구사할 수는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의도한 것보다 그 정도가 훨씬 심해 제작자 본인조차 당혹스러워했을 정도. 이 때문에 제작자에게도 버리는 카드 취급을 받기도 했다.

역시 브레인 드레인이 제작한 푸쿠아와 마찬가지로 설정상 정전과는 관련 없는 비공식 캐릭터. 개그 캐릭터의 수준을 넘어 캐릭터의 경지에 이르렀다 할 수 있다.

3 플레이 스타일 및 기술

Please accept my friend request.

나의 친구요청을 수락해줘.

움직임
이동짧은 보폭으로 빠르게 이동
대쉬(전방)미친듯이 빠르게 지속적으로 달림 로보 포춘, 갑니다!
대쉬(후방)일정거리를 빠르게 달림
공중대쉬(전방)없음
공중대쉬(후방)없음
점프2단 점프
무게무거움

근본적인 설정 자체가 미스 포춘을 본떠 만든 로봇인 만큼 원조와 마찬가지로 온몸을 분리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그러나 실제 게임 내에서의 전투 스타일은 몸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점 보단 로봇이라는 점에 더욱 초점이 맞춰져있다. 레이저 및 미사일들을 난사한다거나, 몸에 흐르는 전기 스파크를 이용한다거나, 조그마한 몸에서 거대한 전기톱이나 포톤 캐논을 꺼내는 등 말 그대로 로봇다운 공격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겉모습과는 달리 게임 내 성능은 원조 포춘과는 정반대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판이하다. 빠른 스피드의 근접 공격형인 미스 포춘과는 달리 피콕보다 더 많은 원거리 공격을 가진 철저한 원거리 공격형 캐릭터로, 다양한 레이저 공격과 헤드론을 이용하여 원거리 견제를 펼치다가 틈이 보이면 달려들어 공격하는 것이 기본적인 운영 방식.

↓+강발을 이용하여 자신의 머리를 로켓처럼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머리는 '헤드론'이 되어 본체를 따라다니게 되는데, 이는 이후 헤드론을 조종하는 커맨드 기술을 이용하여 공격에 활용된다. 이 헤드론을 발사하는 ↓+강발 동작 자체로도 공격 판정이 있긴 하지만, 상대방이 머리 위를 스치는 상태가 아닌 이상 보통은 맞지 않으므로 공격 및 콤보로 활용되지는 않는다. 이는 장판깔기를 이용하여 공격 대신 텐션을 채우는 로보 카이와도 흡사한 점이다.

기존 캐릭터들에겐 전혀 없었던 특이한 조작이 가능한데, 바로 더블 점프를 이용하여 공격 캔슬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른 캐릭터들이 에어 대쉬를 이용하여 공중 캔슬을 하는 것을 더블 점프로 대신하는 것이다. 실제로 로보 포춘의 개발 초기에는 미스 포춘과 마찬가지로 더블 점프, 에어 대쉬 모두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내 에어 대쉬가 삭제되었었는데, 이를 대체할 더블 점프 캔슬이 추가됐었다. 이를 이용하여 로보 포춘만의 특이한 콤보 확장과 점프 중손, 점프 강발 등을 이용한 현란한 역가드 공격이 가능하다.

무적시간이 붙은 기술이 없다는 점은 약점으로 꼽힌다. 이는 곧 리버설로 지를만한 기술이 없다는 것이고, 상대가 근거리에서 압박해올 때 상황을 파훼하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필살기를 제외하곤 무적시간이 붙은 기술이 '위험!' 시리즈 중, 강 버전이 유이한데, 그나마도 완전무적이 아닌 잡기무적이므로 일반 타격에는 효과가 없다. 또한 초필살기의 경우에도 모두 완전무적이 붙어있긴 하지만, 카타스트로피 캐논은 발동속도가 엄청나게 느리고, 마그네틱 트랩은 공중 전용이며, 시스테믹 서킷 브레이커는 10초 후 자폭할 때까지 일체 공격판정이 없으므로 여러모로 애매하다. 어차피 로보 포춘 자체가 원거리에서 승부를 노리도록 만든 캐릭터이므로 이 정도는 감수할 수밖에 없다.

3.1 필살기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P.png테오나이트 빔 Theonite Beam공중에서 사용 가능

전방으로 레이저를 발사하는 기술.
로보 포춘의 간판 기술이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지상에서는 약 버전은 수그려 앉아 팔에서 발사하고, 중, 강 버전은 서서 눈에서 발사한다. 공중의 경우 약 버전은 눈에서 대각선 아래로 발사하고, 중, 강 버전은 가슴을 열고 하트 모양 코어에서 전방으로 발사한다.
지상/공중 통틀어 약, 중 버전은 단타, 강 버전은 최대 6타이다. 또한 일직선 일체 판정인 다른 버전들과 달리 강 버전의 경우 발사체 형식으로 타격판정이 날아가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거리에 따라 타격 횟수가 다르다.
화면의 끝까지 덮는 판정을 이용하여 극강의 원거리 견제가 가능하며, 강 버전을 제외하곤 발사체를 관통하는 성질이 있어 마구 발사체만 남발하는 피콕이나 푸쿠아 등을 능욕할 수도 있다.
지상 강 버전은 더블의 호넷 봄버 못지않게 사람들에게 짜증을 유발하는 고성능 어시스트 기술이기도 하다.

파일:W4SsQhu.png+파일:Attachment/Hk.png헤드론 발사 Launch Headrone

자신의 머리를 통째로 로켓처럼 발사하는 기술.
이 발사된 머리는 헤드론이 되어 본체 뒤에서 대기하며, 한 번에 최대 3개까지 대기시킬 수 있다.

(헤드론 보유 중)파일:Attachment/Qcb.png+파일:Attachment/Lk.png헤드론 램 Headrone RAM
헤드론 하나를 통째로 자폭 미사일 형태로 날리는 기술.
상/하 방향에 한해 유도 성능이 붙어있으므로 피하기 위해선 수퍼 점프를 해야한다.
(헤드론 보유 중)파일:Attachment/Qcb.png+파일:Attachment/Mk.png헤드론 임팩트 Headrone Impact
헤드론을 땅에 박아서 지뢰로 만드는 기술. 상대방이 이를 밟으면 터지면서 데미지를 준다.
이는 슈퍼아머가 붙어있는 기술마저 끊을 수 있으므로 공격을 무시하며 돌진해오는 세레벨라빅 밴드 등도 견제할 수 있다.[6] 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상대방의 발사체에 닿아도 폭발하며, 특히 파라소울의 네이팜 티어처럼 로보 포춘 자신이 피격당하면 즉시 모든 지뢰들이 파괴된다.
상대방의 접근을 견제하거나 시간을 벌기 위해 쓸 수 있는 기술.
(헤드론 보유 중)파일:Attachment/Qcb.png+파일:Attachment/Hk.png헤드론 샐보 Headrone Salvo
헤드론이 열리며 그 안에서 자그마한 귀여운 미사일들이 발사되어 상대방의 머리 위로 미사일 폭격을 가하는 기술.
사용할 당시의 헤드론의 개수에 따라 그 성능이 다른데, 헤드론이 많을 때 쓸수록 상대방을 조준하는 시간이 길어져 정확도가 높아진다. 헤드론이 하나일 경우 발사 직후까지만 조준하고, 2개일 경우 미사일이 화면 위로 사라질 때까지, 3개일 경우 미사일이 상대방의 머리 위에서 나타날 때까지 조준한다.
원거리에서 크나 큰 압박을 가할 수 있는 기술.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Lk.png위험! 머리 교환 동작! Danger! Head Swap Action!

어깨를 중심으로 머리를 위아래로 회전하는 기술.
회전하는 머리 부분에 피격 판정이 없어서 대공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대방의 발사체 공격을 홀랑 피해버릴 수도 있다.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Mk.png위험! 휘두르는 팔 주의! Danger! Flailing Arm Hazard!

팔을 펼친 채로 상체를 좌우로 회전하는 기술.
발동시 잡기 무적상태가 되므로 잡기 공격을 견제할 수 있는 기술이다.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Hk.png위험! 회전 요소 주의! Danger! Rotating Component Hazard!

골반을 중심으로 상체 전체를 위아래로 회전하는 기술.
발동이 느리고 데미지가 높으며, 마지막 타격이 지상 바운스를 유발하면서 상대에 긴 딜레이를 줄 수 있으므로 보통 콤보에 활용되며, 이후 카타스트로피 캐논 등 선딜이 긴 기술을 연계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Hp.png , 파일:Attachment/Lk.png , 파일:OV1JhVH.png , 파일:Attachment/Lp.png , 파일:Attachment/Lp.png진짜로 말하네! Really Talks!도발

로보 포춘의 도발 기술.
자신의 꼬리를 잡아 당긴 후 갖가지 대사를 한다. 줄을 당기면 말을 하는 장난감을 패러디했다. 로보 포춘님께서 말씀하셨다!
도발에 성공하면 이후 한 번 헤드론 샐보의 미사일 발사량이 두 배가 된다.

3.2 초필살기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P.png 파일:Attachment/P.png카타스트로피 캐논 Catastrophe Cannon

자신의 팔을 거대한 포톤 캐논으로 변형하여 굵은 레이저를 발사하는 초필살기.
다단 히트 필살기의 특성상 데미지가 높고, 긴 콤보를 넣은 이후 사용하면 효율이 증가하며, 가드 데미지도 상당한 편이다. 그러나 발동 속도가 매우 느려서 막 지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때문에 보통 기본 강발, '회전 요소 주의' 등 경직이 큰 기술 이후 연계하여 사용하지만, 가드 데미지가 큰 점을 노려 상대의 가드 여부와 상관없이 그냥 지르기도 한다.
발동 후 누르고 있는 키에 따라 형태가 다른데, 소모 기 게이지에 따라 3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SarcasticGrayJohndory.gif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P.png 파일:Attachment/P.png카타스트로피 캐논 알파 Catastrophe Cannon AlphaLv.1
두 개의 커다란 캐논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벨 1 버전. 30히트.

IllEveryAsianpiedstarling.gif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P.png 파일:Attachment/P.png 이후 파일:Attachment/Lp.png 또는 파일:Attachment/Mp.png 유지카타스트로피 캐논 감마 Catastrophe Cannon GammaLv.3
알파 버전에서 자그마한 캐논 4개가 추가되어 총 6개의 캐논으로 더욱 굵은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벨 3 버전. 45히트.

WiltedExhaustedArrowworm.gif

파일:Attachment/Qcf.png+파일:Attachment/P.png 파일:Attachment/P.png 이후 파일:Attachment/Hp.png 유지카타스트로피 캐논 오메가 Catastrophe Cannon OmegaLv.5
감마 버전에서 거대한 링이 추가되어 더욱더 굵은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벨 5 버전. 60히트.
화면의 약 70%를 덮는 크고 아름다운 엄청난 박력을 자랑한다.
다른 버전들과는 달리 타격시 상대를 밀어내는 특성이 있다.


TautDarkHanumanmonkey.gif

파일:Attachment/Qcb.png+파일:Attachment/K 1.png 파일:Attachment/K 1.png마그네틱 트랩 Magnetic TrapLv.1유지 가능

자신의 손을 거대한 자석으로 변형하여 상대방을 끌어들이는 레벨 1 초필살기.
아이언 테이거의 아토믹 콜라이더와 비슷한 기술로,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공중에 있는 상대에 한하여 화면 전체에 끌어들이기 판정을 보유한다.
상대가 자석 가까이에 왔을 때 버튼을 떼면 상대를 자석에 딱 잡게 되는데, 이후 T.호크의 멕시칸 타이푼처럼 상대를 빙빙 돌리며 바닥에 내리꽂는다. 이 잡기는 스컬걸즈의 다른 대공 타격잡기들과 마찬가지로 상대가 점프하여 올라가는 상태에 한해 가드 불능이다.
기본적으로 대공기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상대를 잡지 않고 끌어오기만 하여 다시 콤보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지상 기본잡기 이후로 상대를 끌어와 추가 콤보를 넣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자력이 아주 강한 편은 아니라서 상대가 자석을 향해 곧장 끌어지지 않아 궤도가 완만하고, 잡기판정이 은근히 좁아 잘못하면 놓치기 쉬우니 조심.
기량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


DimMadeupHarrierhawk.gif

파일:Attachment/Qcb.png+파일:Attachment/P.png 파일:Attachment/P.png시스테믹 서킷 브레이커 Systemic Circuit BreakerLv.3

자신의 가슴을 열고 그 안의 하트 모양 코어를 직접 잡아 뜯어 파괴하는 레벨 3 초필살기.
발동시 공격 판정은 없지만, 코어가 파괴된 직후 각성 상태에 돌입한다. 걷기와 대쉬 속도가 20% 증가하고, 헤드론 발사가 더욱 빨라지며, 테오나이트 빔 약, 중 버전에 녹다운 유발이 추가된다.
발동 후 약 10초가 지나면 강제적으로 자폭을 한다. 이를 이용하여 긴 콤보를 넣은 후에 추가 데미지를 넣거나, 폭발하는 도중 나타나는 새로운 기체를 이용하여 콤보를 이어나가거나, 피격당하는 도중 갑자기 상대와 공방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공격에 실패했다간 역습당하기 쉬워 위험도 큰 기술이다.
다만 잡기 공격에 잡힌 상태나 어시스트로 전환된 상태라면 폭발하지 않으며, 파라소울의 도발을 어시스트로 사용하면 폭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마그네틱 트랩과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기량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예외로 다른 초필살기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중인 기술을 멈추고 폭발한다. 카타스트로피 캐논이나 마그네틱 트랩이나 모으기만 하다가 바로 폭발해 기만 낭비할 수 있으니 조심.
이는 로보 카이한계 러버즈를 패러디한 기술로, 로보 포춘을 제작하기 전부터 반드시 집어넣겠다고 공언해왔던 기술이기도 하다.

4 작중행적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사실 스포일러를 당할만한 내용이랄게 없다

로보 포춘 스토리모드 번역

스컬 하트의 힘을 이용하여 세계를 지배하고자 하는 정신 나간 박사들의 전형적인 야망을 가진 안티 스컬걸 0호 연구소의 박사 브레인 드레인은 어느 날, 그의 조력자이자 스컬걸의 이중 첩자 노릇을 하고 있는 밸런타인이 보낸 편지를 받게 된다. 바로 스컬 하트가 지하의 거대한 구조물과 연결되었다는 내용. 밸런타인의 행동 자체에 의심을 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거대 구조물을 조종하느라 스컬 하트 자체의 힘은 약해졌을 것이라 확신한 브레인 드레인은 본격적으로 스컬걸을 공격할 준비를 하기로 한다. 그런데 밸런타인의 편지의 내용은 이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650px

알고 보면 소녀 감성을 숨기고 있다더라.

자신이 만났던 사지가 분리되는 고양이 수인을 연구하여 생체 무기를 만들자는 밸런타인의 최고의(?) 계획에 성질이 난 브레인 드레인은 편지를 갈기갈기 찢으며 그깟 고양이보다 훨씬 나은 걸 만들겠다는 일념 하에 미스 포춘을 본떠 로봇을 만들게 된다.

이렇게 탄생하게 된 로보 포춘은 그녀의 제작자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5가지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 스컬걸을 제거할 것.
  • 스컬 하트를 연구소로 가져올 것.
  • 배신자들을 연구소로 체포해올 것.
  • 스컬 하트를 찾는 다른 대상들을 저지할 것.
  • 개그를 할 타이밍을 마스터할 것(...).

그러나 5번째의 임무가 무색하게 로보 포춘은 자기소개를 하면서도 오류 발생음을 키보드로 치는가 하면, 원조 포춘도 하고 다니던 유명한 고양이 관련 치즈버거 드립을 구사하는 등 타이밍과는 무관하게 개그를 사랑하는 로봇이 되었다.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느낀 브레인 드레인은 어쨌든 만들어 놓긴 했으니 그녀를 출격시키긴 하는 한편,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다시 검토하기로 한다. 그 와중에도 로보 포춘은 열리지 않은 발사대 문에 박으며 박살나는 허당스런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전투가 이어진다. VS 베오울프 전 → VS 일라이자 전 → VS 페인휠 전 → VS 밸런타인 전이 연속으로 이어진다.

밸런타인 전이 끝나고 나면 밸런타인이 왜 같은 연구소에서 일하는 자신을 공격하냐며 의아함을 드러낸다. 로보 포춘은 자의가 아닌 제작자의 의도라며 그 멍청한 고양이 그림보다 더 나은 걸 보여주려고, 또한 밸런타인을 배신자라고 정의해놨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에 충격을 받은 밸런타인은 기껏 크리스마스를 구해주려 했더니만[7] 나에게 이럴 수가 있냐며 연구소를 나가겠다는 말과 함께 사라진다.

밸런타인이 떠나간 후, 로보 포춘은 이러한 갑작스런 상황으로 인한 미래에 벌어질 일들에 대해 혼란을 겪으며 자신의 제작자의 방식이 옳은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된다. 그런데 혼란스러워하는 그녀 앞에 느닷없이 이방인[8]이 나타난다.

650px

종교를 가지는게 답이랍니다! 트리니티교는 로봇들도 믿을 수 있답니다!

이러한 조언을 흔쾌히 받아들인 로보 포춘은 그녀의 말대로 기차를 타고 트리니티 대성당으로 향한다. 날아가면 될걸...

이후 로보 포춘의 홈 스테이지이기도 한 기차 스테이지에서 VS 필리아 전. 참고로 필리아는 이 스테이지의 배경에 등장하기도 한다.

트리니티 성당에 도착한 로보 포춘은 그곳에서 그녀의 원본인 미스 포춘과 마주하게 된다.

  • 미스 포춘 : ...!?
  • 로보 포춘 : !!!!

서로 흠칫 놀라기만 하며 별다른 말도 없이 바로 전투에 돌입한다. VS 미스 포춘 전.

이후 로보 포춘은 트리니티 성당의 내부에서 자신의 목표물인 스컬걸을 만나게 되지만, 대부분의 생물들은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가는 데에 반해 올바른 생각을 하는지조차 의심스러운 제작자의 명령에 속박된 자신에 대해 여전히 혼란스러워한다. 심지어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컬 하트에 소원을 빌까 하며 고민하기도 한다. 로봇인데도? 그러나 스컬걸인 마리 본인마저 스컬 하트는 소원을 이루어주는 것이 아닌 죽음을 퍼트리는 존재라며 이를 만류한다. 이에 자신은 무엇을 위해 싸우냐며 로보 포춘의 혼란은 극에 달한다.

  • 로보 포춘 : (느닷없이) 그건 그렇고, 혹시 그거 메인 스토리 누설한 거임?

650px

마리 : 걱정 마. 이런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정전이라 생각할 사람 아무도 없을 거야. 로보 포춘 스토리 모드 한 장 요약.jpg

심지어는 이런 불안한 마음들을 우리 장르대로 풀자며 다짜고짜 최종 보스전에 돌입한다. VS 마리 전. 본격 최종 보스조차 병맛에 동참하는 게임

마리를 처치하고 스컬 하트를 얻게 된 로보 포춘은 좀비 아포칼립스를 끝내고 로봇 아포칼립스를 진행 7년간의 악순환이 반복되지 않도록 스컬 하트를 파괴하려고 했으나, 고민 끝에 우선은 자신의 임무대로 스컬 하트를 연구소로 가져가기로 한다.

0호 연구소에 도착한 그녀는 브레인 드레인에게 스컬 하트를 건낸다. 그는 이에 화들짝 놀라는데, 자신도 설마 진짜로 성공하리라곤 예상하지 못하고 있었던 듯. 기존 이미지 박살 어쨌든 스컬 하트를 손에 넣게 된 브레인 드레인은 바로 다음 작전에 돌입한다.

650px

바람의 계곡 뉴 메리디안 진격의 포춘

브레인 드레인은 스컬 하트의 힘을 이용하여 초 거대 로봇 포춘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캐노피 왕국 전역을 공격하기에 이른다. 스컬걸은 없어졌지만 그보다 더 큰 위협이 왕국에 닥쳐오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애니, 스네이크 아담, 스탠리 등이 DLC 캐릭터로 뽑히지 못한 한을 담아 이들을 상대하는 장면을 끝으로 스토리 모드는 막을 내린다.

650px

애니 팬들은 이 장면을 보며 다시금 눈물을 흘렸다고. 다행히 차기작을 통해 눈물을 거둘 수 있게 되었다.

엔딩 크레딧이 끝나면 에필로그가 나오는데, 더블의 스토리 모드에서도 나오는 다른 세계의 두 여신 비너스에이온이 등장한다.

  • 비너스 : (브레인 드레인과 로보 포춘이 캐노피 왕국을 박살내는 모습을 보며) 쟤네들이 우리 일을 대신해주고 있는 건가?
  • 에이온 : 그런 것 같네.

650px

하이 파이브! 이게 여신들입니다 여신들.

이걸로 진짜 끝.

5 기타

로보 포춘은 푸쿠아와 비슷하게 스컬걸즈 발매 초에는 컨셉조차 없던 캐릭터였다. 처음 등장했던 건 2013년 인디고고 크라우드 펀딩의 특전이었는데, 그나마도 캐릭터가 아닌 미스 포춘의 또 다른 보이스 팩이었다. 펀딩 금액이 1차 목표액인 15만 달러에 조차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는 제작진들의 예상과는 달리 이의 4배 이상인 70만 달러를 넘어가자 이를 아예 신 캐릭터로 만들기로 한 것이다. 결국 모금액이 72만 5천 달러를 넘어서자 실제 5번째 DLC 캐릭터로 확정되었다.

로보 포춘을 제작하겠다고 밝힌 건 2013년 초이지만, 회사 사정상 제작 속도도 느린데다가 마지막 DLC였던 터라 2014년 7월이 되어서야 실제 모습과 디폴트 컬러가 공개되었다. 미스 포춘의 스팀 트레이딩 카드 아트에서의 모습이 실제와 다른 이유도 이 때문이다.

베타 버전에서 개발 중이던 시절, 일라이자, 베오울프에 이은 리드 프로그래머 마이크 자이몬트의 세 번째 역작이라 불리는 임시 로딩 스크린을 가지고 있었다.

로보 포춘 스토리 모드 한 장 요약 (2).jpg

여기서 '00100.00101.00001.10100.01000'은 알파벳으로 D.E.A.T.H를 의미하며, 트웰브의 대사를 패러디한 것이다.

메트로이드 수트를 패러디한 18번, 19번 팔레트를 선택할 경우 레벨 3 자폭 초필살기인 시스테믹 서킷 브레이커를 사용할 때 실제 메트로이드 게임 내의 무기 이펙트가 추가된다. 발동 시 배리어 수트 18번은 샤인 스파크, 그래비티 수트 19번은 하이퍼 빔 이펙트로 반짝거리며, 폭발 시 두 컬러 모두 파워 봄 이펙트와 함께 폭발한다.

로보 포춘의 홈 스테이지인 메리디안 고속철 스테이지에서는 파란색으로 빛나는 상대방이 회피한 인피니티 브레이커, 일명 Burst Bait가 발동되면 배경에 웬 큰 기차가 불쑥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50px

여기서는 하이프(Hype)보단 솔티(Salty)에 가깝다.

이는 하이프 트레인(Hype Train)이라 불리는 기차로, 스컬걸즈 제작을 물심양면 지원해줬던 존 아카이브에서 만든 플래시가 원작이다. 스컬걸즈 DLC 캐릭터 후보였던 캐릭터들이 타고 있는 기차로, 2013년 인디고고 크라우드 펀딩이 대성공을 거두자 이를 축하함과 함께 엑스트라에 불과했던 캐릭터들을 DLC 캐릭터로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을 담아 만든 플래시이다. 스컬걸즈 제작진도 이에 보답하고자 이 기차를 실제로 게임에 추가한 것. 그러나 정작 엄브렐러, 펭, 비너스는 DLC로 볼 수 없었다.
여담으로 존 아카이브는 제작사의 차기작에 대한 기대를 담은 버전인 하이프 미사일도 만들었다.

애초에 스컬걸즈 자체가 패러디한 것이 세기도 힘들 정도로 많은 게임이지만, 작정하고 성향이 강하게 만들었는지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패러디가 더욱 많은 편이다. 특히 설정 자체가 고양이 + 로봇인지라 온갖 고양이 및 다른 로봇 캐릭터들은 물론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련된 패러디까지 다양한 패러디가 가득 섞여있다.

  • 테오나이트 빔 지상 약 버전은 울트라맨을 패러디했다.
  • 태그 인 공격은 터미네이터를 패러디했으며, 태그 아웃은 록맨을 패러디했다. 이 두 동작 모두 이펙트에 고양이 귀가 추가로 그려져 있다.
  • 도발 대사인 "BITE MY SHINY METAL TALE."은 퓨처라마에서 나오는 로봇 벤더의 대사 패러디.
  • 일반 승리 대사 "This was a triumph."는 포탈엔딩곡을 패러디했다.
  • 미스 포춘과의 전투 시작 대사 "This is an inefficient use of cat.(이건 고양이의 비효율적인 사용이다.)"은 유닉스의 "Useless Use of cat(cat 명령어의 쓸모없는 사용)"의 패러디이며, 또한 미스 포춘과의 승리 대사 "You are nothing but a script kitty to me.(넌 내게 작성된 고양이일 뿐이다.)"는 풋내기 해커를 일컫는 은어 스크립트 키디의 말장난이다.

그 외에도 메탈 소닉, 다프트 펑크로봇은 전기 양 꿈을 꾸냐는 소설까지 거의 모든 대사가 패러디 및 말장난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패러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팔레트 역시 대부분이 로봇 및 로봇 수트를 패러디했다.
1P-디폴트
2P-페이 옌 더 나이트 (전뇌전기 버추얼 온 시리즈)
3P-코론 (평화의 전사 라이브맨)
4P-레이캐실 (판타지 스타 온라인)
5P-마리아 (메트로폴리스#s-2)
6P-벡터맨 (벡터맨 시리즈) 지구용사가 아닌 게임이라더라 안되겠어! 카타스트로피 캐논을 쏘자!
7P-스토리 모드의 거대 로봇 포춘
8P-터미네이터 (터미네이터 시리즈)
9P-몬순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 이 안 끊어져서 다른 게임에 나왔다
10P-아이기스 (페르소나 시리즈)
11P-드롯셀 (파이어볼)
12P-아이언 맨 (마블 코믹스)
13P-로보 카이 (길티기어 시리즈)
14P-RX-78-2 건담 (기동전사 건담)
15P-포르테 (록맨 클래식 시리즈)
16P-쿠사나기 모토코 (공각기동대)
17P-사라 디피티 (오리지널 캐릭터) (Indiegogo 후원자 컬러)
18P-사무스 아란 배리어 수트 (메트로이드)
19P-사무스 아란 그래비티 수트 (메트로이드)
20P-KOS-MOS (제노사가)
21P-Telos (제노사가)
22P-오리지널 (Indiegogo 후원자 컬러)
23P-키릭 (판타지 스타 온라인)
24P-R-DASH 5000[9] (마이 리틀 포니) (Indiegogo 후원자 컬러)

25P-스파이럴 (엑스맨)
  1. 유통사인 아크 시스템 웍스에서 만든 게임 페르소나 4 디 얼티맥스 울트라 수플렉스 홀드에서 마리를 맡았다.
  2. 이는 이른바 '매직 넘버(Magic Number)'라고 불리는 숫자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1/√x의 값을 구하는 Fast Inverse Square Root 함수의 변수로 쓰이는 수이다. 이 함수 내에서 특정 변수에 이 매직 넘버를 대입해 작동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 빠른 속도로 루트 값의 역수를 계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고속 역 제곱근 함수 내용 참조. #
  3. 이는 컴퓨터 상에서 #663399의 16진수 헤시태그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깔이다. 「Eric Meyer on CSS (에릭 마이어의 CSS 노하우)」의 저자이기도 한 CSS 분야의 최고 전문가라 불리는 미국의 웹 디자이너 에릭 마이어의 딸 레베카 마이어가 암으로 인해 일찍 세상을 떠나자, 그의 동료들이 그녀를 추모하자는 의미로 이 헤시태그의 색깔을 그녀의 이름을 따 레베카퍼플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4. 비밀번호를 암호화하는 기법 중에 '솔트(Salt)'라는 기법이 있다. 말 그대로 소금을 뿌리듯 비밀번호에 임의의 문자를 섞어 넣어 길게 만든 후에 암호화하는 기법으로, 소금기가 없다는 건 그만큼 알기 쉬운 비밀번호라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5. 이는 2014년 4월에 발견된 OpenSSL 암호화 라이브러리 내에 존재하는 버그의 별칭이다. 2013년 3월, OpenSSL의 Heartbeat(심장박동) 확장이 포함된 버전인 1.01버전이 배포되었었는데, 1년 후 이 확장에 치명적인 버그가 존재함이 보고되면서 이를 대중들에게 널리 설명할 목적으로 Heartbeat 확장의 이름을 가져와 Heartbleed(심장출혈)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자세한 내용은 Heartbleed 항목 참조. #
  6. 다만 일라이자의 세크메트는 막을 수 없다.
  7. 이 영상은 가필드 크리스마스 특별편의 패러디이다. 그런데 한편으론 스컬걸즈의 삭제된 스토리 모드 엔딩들에 따르면, 브레인 드레인은 밸런타인이 속해있던 특수조직인 '라스트 호프(Last Hope)'의 리더였던 크리스마스를 흠모하였던 듯 하고, 밸런타인이 그녀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고 생각하며 밸런타인을 증오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대사는 이 두 가지를 합친 말장난인 듯.
  8. 스퀴글리의 스토리 모드에 따르면 그 정체가 더블임을 알 수 있다.
  9. 마이 리틀 포니의 팬 시리즈인 .MOV 시리즈에 등장하는 레인보우 대쉬를 본떠 만든 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