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루 드 몰세르

lulu.jpg

6_uni9921158.jpg

1 소개

수호캐릭터에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1987년생. 혈액형은 A형. ルル・ド・モルセール.[1]
성우나고야 출신의 칸다 아케미. '재활용 성우'다. (1기 시절에 단역으로 나왔음) 한국판은 김새해. 한국판 이름은 '루루 드 모르셀'
캐캐체판 큐베 아니지 얘는 적어도 처음부터 악의가 보였잖아 큐베는 급이 다르다

호시나 우타우의 블랙 다이아몬드 계획과 X알을 에너지원으로 한 엠브리온 머신 계획이 실패하자 전무가 준비한 다음 작전의 메인 인물.그리고 10화만에 해고됐다 보유 캐릭터는 나나.

작중에서도 상당한 미소녀로 나온다. 첫 등장때 아무네 학교 아이들에게 퍼진 소문으로는 이웃 동네 학교에 전학온 아이가 미인에 스타일 좋은, 유명 셰프 아버지와 여배우 어머니를 둔 금발 미소녀라는 것. 그리고 실제로 프랑스+일본 혼혈이며 금발이고, 꽤나 미인이다. 수우가 루루를 본 감상이 "예쁜 사람이었어요!" 였으니...

아버지는 고급 프랑스 레스토랑인 '맥심 더 프랑스'의 오너셰프에 자작 작위를 가진 프랑스인 귀족[2]이며, 어머니는 세계적인 영화제에서 상까지 받은 유명한 영화배우 마유즈미 카오루[3]. 게다가 두 분의 사이도 좋고 딸에 대한 사랑도 넘친다. 그리고 루루의 집을 본 아무의 반응을 보아하니 동네에서도 손꼽히게 좋은 집인듯 보이며 집안의 재력도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모로 부족할 것 없이 자라왔지만...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 집착을 보이고 있는데, 그것 때문에 이스터 사에 협력하고 있으며, 엠브리오를 찾아 이스터사에 넘기는 게 아니라 어머니가 다시 빛나는 '그 시절'로 돌아가기를 원하고 있다. 위에 서술했다시피 어머니는 유명한 배우인데, 일본에 와서는 영화를 찍지 않고 버라이어티 방송이나 운동기구 광고에 나오는 등 여배우와는 거리가 있는 방송활동을 하자 루루는 이를 달갑지 않게 여긴다. 또한 크리스마스 파티때 루루를 재미있게 해주려고 루돌프 분장을 했으나 루루는 '그런 건 여배우가 할 일이 아니다'라고 혼자 화를 내버리는 바람에 오히려 역효과를 내버리고 만다. 이렇듯 어머니의 이미지에 대한 집착이 거의 강박증에 가깝다.

쥬얼리를 만드는데 소질이 있으며, 쥬얼리로 마음의 알을 수수께끼 알로 만들어 알을 강제로 각성시켜 알 보유자를 강제로 캐릭터 변신시킨 뒤 알이 X알화 시켜 알 자체를 크게 만든 뒤 그것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오는 엠브리오를 포획하려 한다. X알보다 매우 강한 듯.

성격 자체는 일견 오만한 듯 하지만, 히나모리 아무, 호시나 우타우처럼 솔직하지 못한 면모가 있다. 게다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일이 진행되길 바라고 자신도 꼼꼼한 완벽주의자. 그렇지만 자기 자신은 무언가를 하려고 해도 용기가 부족해 한 걸음을 내딛지 못하는 성격. 이런 성격 때문에 용기있게 일을 하게 하는 성격의 나나가 태어난 듯. 원래부터 완벽주의자는 아니였던게, 나나의 회상씬과 할머니의 회상씬에서 등장하는 어린 루루는 뭐든지 되고 싶어하고 자유분방한 아이였다. 그러나 점점 크면서 하고 싶은 것을 찾지도 못하고, 무엇이 되고 싶은지 모르게 되어버린 채 그저 완벽주의자가 되어버린 타입. 이렇게 된 데에는 귀족이자 완벽주의자인 할머니의 영향이 있었으나 할머니는 루루의 이런 모습을 안타깝게 여기고, 루루가 좀 더 자유로워지길 바라고 있는 듯 하다. 또한 루루의 부모님이 일본으로 오게 된 것도 루루를 위해서이다.

88화에서는 나나수수께끼 알에 대한 걸 발설하는 동시에 아무에게 여태까지 한 악행이 들통나자, 나나를 수수께끼 알로 만들어 드림 드림으로 캐릭터 변신을 해서 애뮬릿 하트캐릭터 변신한 아무에게 싸움을 걸었으나, 오히려 자신이 자신의 꿈을 엄마에게 강요하고 있다는 걸 알고 나서 그만뒀다. 승패 여부는 당연히 아무의 승리, 루루의 패배. 그리고 히나모리 아무에 의해 자신과 나나, 그리고 대량으로 제작된 수수깨끼 알들은 전부 다 정화된 후에는 가디언에게 다시는 수수깨끼 알을 만들지 않겠다는 동시에 자신의 잘못을 참회한다. 그리고 집에 돌아가는 길에 버라이어티 촬영중인 엄마와 마주치게 된다. 엄마와 솔직히 대화한 결과 엄마가 배우 일을 하지 않고 있는 건 가족을 위해서라는 걸 알게 되고, 결국 엄마가 파리에서의 배우 일을 받아들임에 따라 가족과 함께 프랑스로 돌아간다.

최종적으로는 악단 연주를 한 츠키요미 이쿠토와 그걸 구경하러 온 아마카와 츠카사가 이야기하고 있는 곳 근처에서 커피를 마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분명히 아무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으면서 '너같은걸 친구로 둔적 없어!' 고 말하는둥 상당한 중증 츤데레다.75화에선 우타우와 라면집에 간 아무를 스토킹(!)하기도 했다.

초등학생 주제에 여러모로 능력이 출중해서 이스터의 연구진 세명을 아주 손쉽게 제압하고 원래 얘들이 호구 이쿠토를 구해주기도 하고,같은화에서 길거리에서 요정옷을 입고 춤을추자 사람들에게 환호를 받기도 했다.별다른 노력 없이 한번 본걸 쉽게 따라하는 마인 부우? 능력도 있다.

작중 전무의 말에 따르면 초능력은 니카이도 유우, 호시나 우타우보다 강력한듯. 호시나 우타우와 여러면에서 캐릭터가 겹친다. 금발의 미소녀, 높은 프라이드, 강력한 초능력, 타인의 마음을 조종해서 타락시킴, 엠브리오를 찾는 이유가 자신을 위해서가 아닌 가족(우타우/이쿠토, 루루/어머니), 결국 아무에게 패배하고 갱생, 츤데레임 작중에서도 아무가 루루에게 우타우와 닮았다는 말을 한다. 물론 본인은 기분 나쁘다며 부정했지만...

의외로 나고야벤(나고야 사투리)을 사용할 줄 안다. 아마도 나고야 출신인 어머니의 영향인 듯. 자신 입장에선 컴플렉스였던 듯 하나 히나모리 아무가 귀엽다고 해서 약간은 거부반응이 줄어들었다. 캐릭터 체인지 시 말투 자체가 나고야벤으로 변하며, 평소보다 좀 더 솔직하고 괄괄한 성격이 된다. 한국판에선 거친 말투를 쓰는 것으로 변경.

근데, 나나 역의 유즈키 료카도 아이치현 출신이다. 이쪽은 재활용도가 더 심해서 테마리 역이었다. 아예 캐스팅 조건에 '나고야벤 구사'를 미리 설정해 놓고 캐스팅한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

말버릇은 '하고 싶은 일은 해버리면 좋당께!'.(한국판은 '하고 싶은 일은 뭐든지 해보라고!') 사실 나나가 태어난 것도 이런 마음에 의해서.

2 드림 드림

Dream_Dream.png

캐릭캐릭 체인지의 수수께끼 캐릭터 변신 중 마지막으로 등장한다. 루루와 나나가 변신한다.

헤어 스타일은 금발의 웨이브 헤어가 라임색으로 변하고 의상은 아라비안 나이트의 무희와 흡사한 의상. 그리고 ? 마크의 위치는 이전의 수수께끼 변신은 대부분[4]이 이마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면 이쪽은 정수리를 감싸고 있다. 또한 ?의 점 부분은 쥬얼리다.

첫 등장부터 변신하기 직전에 만들어놓은 대량의 수수께끼 알들과 다수의 쥬얼리를 소한해 가디언은 물론이고 애뮬릿 하트로 변신한 아무를 고전시켰지만 자기가 엄마한테 자기 꿈을 강요한다는 걸 깨닫고 정화된다. 물론 대량의 수수깨끼 알과 나나도.

그리고 지금까지 등장한 오리지널 캐릭터 중 사쿠라이 유아히이라기 릿카와 더불어 캐릭터 변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유일하게 캐릭터 변신을 한 사람은 히이라기 릿카뿐.[5]
  1. 극중에서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정확한 풀네임은 루루 드 모르세르 야마모토(ルル・ド・モルセール・山本,Lulu de Morcerf Yamamoto)라고 한다.
  2. 프랑스는 현재 귀족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고증오류.무엇보다 혁명이후 1848년 부터 안 쓰고 있는데 애들 만화라고 고증 개판으로 하는거 보소 이 이름의 유래는 아무래도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에 등장하는 악역 페르낭 드 모르세르 백작으로 추정된다.
  3. 예명이다. 본명은 노리코 드 모르세르 야마모토.
  4. 예외가 있다면 야마부키 사야가 변신한 히나모리 드림은 ?가 이마 정중앙이 아닌 머리핀에 위치해 있다.
  5. 유아는 게임 한정이고, 루루는 진정한 캐릭터 변신이 아닌 수수께끼 캐릭터 변신을 했기 때문에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