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머스

리트머스 가루.리트머스 수용액.프랑스 국기가 아니고 학교 실험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
수용액을 종이에 적신 것이다.
pH < 4.5포도주색[1]
4.5 < pH < 8.3흑자색
8.3 < pH감색

Litmus Paper

사실 스티브 유대한민국의 리트머스 종이라 카더라
Roccella 계열의 이끼를 갈아서 정제한 흑자색의 고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가장 널리 쓰이는 지시약으로, 대한민국 교과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에서 등장한다. 일반적으로는 수용액을 종이에 적셔서 말린 검사지의 형태로 유통된다. 종이가 아닌 진짜 리트머스는 학부 과정에 가서야 볼 수 있다.

색이 변하는 pH의 범위가 의외로 좁은 편으로 약한 이나 염기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만 염기(8.3)에 비해 산(4.5)의 역치가 높은 편이라, 너무 약한 산은 감별이 힘들다. 예를 들자면 빗물. 자연 상태의 빗물은 pH가 5.6 정도인데[2], 이 부분은 그야말로 중간색이기 때문에 판별이 어려우며 산성비라 하더라도 마찬가지. 더 정확한 pH를 재고 싶다면 지시약보다는 pH 미터를 쓰는 것이 더 낫다.

지시약 중에서도 매우 대중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서 지시약이란 의미를 넘어 사회 현상을 판단하는 기준점이라는 관용어로 대신 쓰이기도 한다. '여론의 방향을 보여주는 리트머스시험지인 xx사건' 같은 표현이 그 예이다.
  1. 리트머스 종이의 경우 종이색 때문에 여기 나오는 색보다 옅은 색을 띤다.
  2. 산성비가 아닌 경우에도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빗물에 용해되어서 약산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