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라이언트 로빈

탑기어에서 제레미 클락슨이 릴라이언트 로빈을 직접 운전해 보이는 모습.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수시로 전복사고를 일으킨다.


▲ 영국의 거리를 달리고 있는 릴라이언트 로빈 Mk2(1989~1998)의 모습. 일반적인 사륜차에 비해 폭이 좁은 것이 확연히 눈에 띈다.[1]

Reliant Robin

1 개요

1974.reliant.robin.arp.jpg
(사진은 1974년식 릴라이언트 로빈 Mk1.)

영국삼륜차 전문 제조 기업이었던 릴라이언트 사가 내놓은 삼륜 경차. 1973년 리갈[2]의 후속 모델로 처음 선보여 1981년에 릴라이언트 리알토를 출시하면서 잠시 단종되었다가 1989년부터 새로운 모습으로 재생산되었다. 차체가 철판이 아닌 FRP로 되어 있어 전복사고 발생시에도 성인 1~2명이 충분히 들어 세울 수 있을 정도로 가볍고, 영국 도로교통법상 대형 이륜차 면허로 운전이 가능하여 사륜차 면허가 없는 저소득층이나 광산 노동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2 역사

1973년 7월에 출시된 초기 모델(Mk1)은 4기통 750cc 알루미늄 블록 엔진을 채택하여 최고시속 55마일(약 90km/h)까지 낼 수 있었으며, 1975년부터 4기통 850cc 알루미늄 블록 엔진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최고시속 85마일(약 136.8km/h)까지 성능이 향상되었다. 차체 디자인은 릴라이언트가 만들던 릴라이언트 시미터본드 버그의 디자인을 맡았던 "오글 디자인(Ogle Design)"이 담당했고, 위에서 언급된 유리섬유 차체 덕분에 공인연비도 70mpg(약 29.8km/l)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업데이트 버전의 적절한 성능, 그리고 저렴한 가격 덕분에 석유파동 내내 인기몰이를 했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릴라이언트에서는 여러 한정판을 출시하기도 했으며 1974년부터 1978년 사이 그리스의 MEBEA사와 인도의 시파니(Sipani)사가 라이센스 생산을 하기도 했다.

KIF_0001_reg.JPG
(사진은 1994년식 릴라이언트 로빈 Mk2 SLX.)

1989년에 출시된 로빈 Mk2는 1980년대 후반의 디자인 흐름에 맞츤 새 유리섬유 해치백 차체를 얹고 출시되었다.[3]. 시간이 흐름에 따라 왜건과 승용밴이 라인업에 추가되었고, 새로운 12인치 휠과 미니에서 가져온 개선된 브레이크, 업데이트된 인테리어 등이 추가되는 형태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으며 라인업 구성도 LX, SLX, BRG, 로얄(Royale)의 4개 트림으로 늘어났다 . 또한 엔진의 업데이트도 이루어져 이제는 무연휘발유를 넣고 굴릴 수 있게 되었고, 은색이나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짙은 녹색), 로얄 블루(짙은 청색), 나이트파이어 레드(짙은 빨강) 등의 새로운 페인트 도색이 추가된 것은 물론 "재규어 커스텀" 시트커버와 "미니라이트(Minilite)" 알로이휠 등의 복고풍 외장 옵션들을 모든 로빈 라인업에서 고를 수도 있게 되었다.

Reliant_Robin_Green.jpg
1999년에 출시된 로빈 Mk3은 기존의 로빈의 외관을 완전히 뜯어고친 차로, 릴라이언트의 수석디자이너였던 앤디 플럼브(Andy Plumb)의 지휘 하에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오펠 코르사와 헤드램프를 공유했으며, 해치백 전용 라인업인 동시에 로빈 최초로 컴퓨터 장치가 들어간 세대라는 의의도 있었다. 본래는 전기차와 디젤, 픽업트럭 라인도 준비되었으나 양산으로 이어진 것은 승용밴 하나뿐이였다. 대기 리스트가 존재했을 정도로 나름 잘 팔렸다고 한다.

그러나 삼륜차의 구조적 특성상 전복사고가 잦고,[4] FRP 차체 특성상 사고시 복원이 어려운데다 주 고객층들이 저렴한 사륜 자동차로 넘어가면서 시장을 잃게 되자 2001년을 끝으로 릴라이언트 사가 삼륜차 제조를 중단하기로 발표하는 데 이르렀다. 2000년에 단종이 선언되었을 때는 금색 메탈릭 페인트 도장과 가죽 인테리어, 호두나무 장식, 빨간색 카펫, 라디오, 썬루프, 안개등, 크롬도금된 문 손잡이, 흰색 다이얼, 미니라이트 알로이 휠을 65대의 로빈에 한정 장착해 "로빈 65"라는 이름으로 당시 가격 1만 파운드에 한정 판매했으며 2001년까지 판매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로빈의 생산은 여기서 완전히 끝나지 않았었다.

그동안 릴라이언트 차의 유리섬유 차체를 제작했던 B&N Plastics에서 로빈의 생산 권리를 얻고 매년 250대의 로빈을 생산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인데, 판매하려고 했던 로빈은 "BN-1"과 "BN-2"로 라인업이 구성되었으며, 전자는 로빈 65 한정판을 베이스로 하되 완전히 새로 디자인한 인테리어과 새 대시보드를 비롯해 훨씬 현대적인 구성을 취했다. 후자는 더 고급스러운 모델로, 인테리어 마감이 더 고급스러운 것은 물론 커스텀 메탈릭 페인트 마감과 CDP 기능이 들어간 라디오, 앞창문에 들어가는 전동 윈도우 등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이는 비용과 생산 과정의 문제로 2002년 10월에 완성차 40대만을 남기고 단종되었다.

3 여담

탑기어에서는 이 차의 2세대 모델을 로켓으로 발사하는 이벤트도 진행했으며, 제레미 클락슨이 14마일(약 23km)의 거리를 운전하면서 수 차례 전복되었고, 마지막에는 정비소에서 보조 바퀴를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강에 빠지는 등 삼륜차의 구조적 불안정성을 직접 보여주었다.[5] 영국 내에서는 "릴라이언트 로빈"이 아니라 "로빈 릴라이언트"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1. 실제 크기는 1970~1980년대 당시의 평균적인 소형차들 및 지금의 유럽 및 한국의 경차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2. 미스터 빈에 자주 등장하면서 넘어지는 하늘색 삼륜차가 바로 이 모델이다.
  3. 반면, 로빈 Mk1의 후속이였던 리알토는 염가 라인업으로 병행생산되었다.
  4. 실제로 릴라이언트에서는 모든 고객들이 삼륜차만 찾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리갈을 베이스로 한 사륜차인 릴라이언트 레벨이나 로빈을 베이스로 한 릴라이언트 키튼을 같이 출시했다. 심지어 로빈 Mk3 시절에도 사륜차 버전의 개발을 고려했었다.
  5. 다만 TV 장면을 자세히 보았다는 몇몇 사람들에 의하면 탑기어에서 사용한 로빈의 바퀴가 짝짝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즉 삼륜차의 위험성을 뚜렷하게 보여주고자 일부러 손을 보았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