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과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Attachment/666.jpg

마괘, 馬掛.

중국 만주족전통의상이였으나 청나라 때 널리 퍼져 중국 전통의상의 대표적인 옷이 되었다. 인민복 사실 보통 중화요리집의 마스코트가 입는 이런 모양 말고도 모양이 다양하다.

대충 한반도의 전통의상으로 비교해보자면 마고자와 그 용도가 비슷하다. 실제로 마고자의 원류이기도 하다.

청나라 초 남자들이 기마시 착용하던 보온용 단상의였으나, 북경 천도 이후에는 필기사병만 착용할 수 있었다.[1] 강희제(1661-1722) 시기에는 부유한 사람만 착용이 가능한 옷이었으나, 옹정제(1722-1735) 이후에는 일반 백성도 입을 수 있게 되었다.[2]
  1. 한족들에게 만주족의 의상을 강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한족들의 옷이 만주족과 100% 완전히 똑같아지면 한족을 피지배민족으로 차별하기가 상대적으로 곤란해질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인 듯하다.
  2. 옹정제가 만주 귀족이나 한족 지주 같은 기득권에게는 문자의 옥으로 엄히 다스리는 등 여러모로 무자비했으나, 일부 농민들에게 벼슬을 내리기도 하고 지방 백성들에게도 깊은 마음을 쓰는 등 백성들에게는 성군이었음을 감안하면 일종의 기득권 견제책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