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40

메시에 천체 목록
M39
고니자리의 산개성단
M40
큰곰자리의 이중성
M41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M40
관측 정보
형태광학적 이중성
적경12h 22m 12.5s
적위+58° 4' 59"
겉보기등급8.4등급
거리510광년
156파섹
별자리큰곰자리
명칭M40
WNC 4

1 개요

메시에 40(Messier 40, M40, WNC 4)은 큰곰자리에 있는 이중성이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였다.

2 역사

1764년 10월 24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17세기에 활동한 천문학자인 요한 헤벨리우스성운이 있다고 보고한 지역을 훑어 보다 성운은 찾지 못하고 이 별만 찾아 위치를 정확히 기록하였다. 문제는 메시에 천체 목록이 본디 혜성과 혼동할 만한 성운이나 성단을 기록한 것인데 뜬금없이 별이 기록되어 있는데다 그가 1764년 기록을 할 때에 바쁜 나머지 이전에 nebulae 즉, 성운이라고 적어놓은 것을 누락하여 그대로 책에 실리게 되었다. 그 때문에 샤를 메시에만은 이 에 대해 정확히 설명하고 위치를 기록했지만 이후에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을 비롯한 많은 천문학자들이 성운을 찾지 못하고 근 200년을 사라진 천체로 보낸다.
그 후 1863년 독일의 천문학자 Friedrich August Theodor Winnecke(프레드릭 아우구스 티오도어 비네케, 이하 비네케)가 독자적으로 같은 위치에서 발견하여 자신의 목록에 기록하였고 WNC 4(Winnecke #4)가 되었다.

m40.jpg
1966년 6월 13일 애리조나주 프레스콧에서 12.5인치 반사망원경으로 10분 노출하여 찍은 M40

그 후 1966년 미국의 천문학자 존 말라스가 WNC 4의 기록과 메시에 천체 목록의 기록을 분석하여 WNC 4가 M40이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이로써 약 200년만에 실종되었던 이 별은 다시 M40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헤벨리우스가 M40의 위치에서 봤다는 성운은 M40 근처에 있는 NGC 4290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은하는 겉보기등급이 12등급정도 되는데 그 당시에 망원경으로는 이것을 볼 만큼 좋지 않아 메시에가 놓쳤을 수도 있다.

3 특징

M40은 메시에 천체 목록에서 유일무이한 광학적 이중성[1]이자 근 200년간 사람들에게 빅엿을 먹인 천체 중 하나이다.[2]

두 별은 겉보기등급이 각각 9.6등급과 10.1등급이며 분광형은 각각 G0과 F8이다.

1991년에 히파르코스위성이 관측한 데이터와 예전 기록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두 별의 간격이 서서히 멀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1년 천문학자인 브라이언 스키프는 두 별이 물리적 이중성이 아닌 광학적 이중성이라고 밝혔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

M40_M97_M108_M109_Finder_Chart.jpg
M40은 우리가 흔히 북두칠성이라 부르는 국자모양에서 바가지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별이자 가장 어두운 별인 메그레즈의 북동쪽으로 약 2° 떨어져 있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M18 - M19 - M20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M61 - M62 -
M63 - M64 - M65 - M66 - M67 - M68 - M69 - M70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M78 - M79 - M80 -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M91 - M92 -
M93 - M94 - M95 - M96 - M97 - M98 - M99 - M100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M107 - M108 - M109 - M110
  1. 맨눈으로는 하나로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두 별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한다. 그 중 단순히 비슷한 시선에 있어서 둘로 보이는 광학적 이중성과 실제로 가까이 붙어 있는 물리적 이중성으로 나뉜다.
  2. 현재도 사람들에게 빅엿을 먹이는 메시에 목록에는 M102가 있다. 그 외의 메시에 목록은 오류가 정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