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용수

후연의 역대 군주
후연 건국1대 세조 성무제2대 열종 혜민제
모용위(전연)모용수모용보
생몰년도326년 ~ 396년 음4월(71세)[1]
재위기간384년 음1월 ~ 396년 음4월(13년)[2]
묘호세조(世祖)
시호성무황제(成武皇帝)
연호연원(燕元) 384.1~386.2
건흥(建興) 386.2~396.4
부모관계아버지: 모용황 / 어머니: 난씨

1 개요

오호십육국시대선비족이 세운 후연의 초대 군주. 후연은 전연을 계승했으므로 전연까지 포함하면 4대 군주이다. 전연 이전 모용부의 모용외부터 세면 5대 군주. 거듭되는 고난과 역경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황제의 자리에까지 오른 일세의 효웅인 동시에 오호십육국시대 배신의 아이콘.[3]

처음 이름은 패(覇)였지만 뒤에 수(垂)로 고쳤고, 자는 도명(道明), 시호는 성무(成武)이다.

전연을 세운 모용황의 5남으로 태어났다. 더욱이 그 유명한 모용황의 고구려 침공에 앞장서면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어려서부터 비범한 자질이 있어서 맏형 모용준의 견제를 받았지만, 모용준이 황제로 즉위한 뒤에는 중원으로 진출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여 전연이 화북의 절반[4]을 석권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모용준이 죽은 뒤 정권을 잡은 숙부 모용평이 자신을 모살하려 하자 달아나 전진으로 망명했고, 고국인 전연은 이내 전진에게 멸망당했다.

그러던 중 전진이 비수대전의 대패로 시망하자 이를 틈타 전연의 고토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황제로 즉위, 59세의 나이로 멸망한 지 14년 만에 연나라를 부활시키고 옛 전연의 영토를 모두 수복해버리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탁발부가 세운 북위가 후연에 협력하던 방침을 내버리고 독자노선을 걷자 태자 모용보를 보내서 북위를 공격했다가 참합피에서 대패했고, 이를 복수하기 위해 몸소 군대를 이끌고 북진하던 중 참합피 전투의 현장을 목격한 충격으로 숨지고 말았다.

2 일생

모용황의 5남으로, 전진부견비수대전에서 시망하자 부견을 돕는 척하며 몰래 빠저나와 384년에 전연을 재건하여 후연을 세웠다. 애초에 모두가 말리던 부견의 동진 정벌을 유일하게 편들던 사람이 모용수였다... 이를 전진의 부견이 망하게 하기 위한 책략으로 볼 수도 있지만, 사실 모용수는 부견의 전진군이 비수대전에서 산산조각이 났을 때 부대를 온존한 상태로 부견을 맞아들여 보호했을 뿐 아니라 흩어진 전진군을 그나마 수습한 것도 거의 모용수의 힘이었다. 그 후에 전연의 옛 지역으로 가서 후연을 세우기는 했지만 사실 부비 등의 전진 세력은 모용수를 계속 견제하고 제거하려고 노력하고 있었고 그 때까지는 모용수도 성실하게 전진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므로 전진에서 독립한 것도 정상 참작의 여지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 때문인지 부견은 후에 모용수가 자립할 때도 특별히 못되게 굴지 않았다. [5]

그는 단순히 전연의 이름만 빌린 게 아니라 말그대로 전연을 후연으로 부활시켰다. 실제로 영역이나 국력등 여러 면모가 전연과 유사하다.

세력을 파죽지세로 확장하여 구 전연의 영역이였던 요동,요서,하북은 물론 394년에는 산동까지 장악하고 순식간에 화북의 패자로 등극했다. 전연-전진-동진의 삼국정립은 다시 후연-후진-동진의 삼국으로 재정립되었다. 사실 강족요장이 다스린 후진은 전진의 잔존세력이나 서연, 서진(西秦), 후량, 남량, 북량, 서량, 남연 등을 진압해야했고, 신진세력인 북위와 갈등해야했다는 점에서 후연이 더 우세했다.[6]

그러나 늙으막에 그의 몰락이 시작된다.

386년 북위를 세운 탁발규를 초기에 지원했던게 화근이었다. 391년 탁발규의 동생 탁발고를 볼모로 삼고 군마를 요구했으나 어차피 부자승계할 생각이었던 탁발규는 요구를 거절했다. 결국 395년 북위를 토벌하기 위해 태자 모용보를 보냈으나, 탁발규는 모용보를 속여 모용수가 이미 죽은 것으로 착각하게 했다[7]. 모용보는 급히 회군했고, 참합피 전투에서 개발리고 만다.

하지만 급히 회군한 모용보가 만난건 아직 정정하게 살아있던 모용수... 모용수는 복수를 위해 노구를 이끌고 직접 출전해 방비가 허술한 평성을 쉽게 점령했으나[8], 참합피를 지나다가 참패한 후연 병사들의 시체가 산을 이룬 모습을 목격하고 울분에 피를 토하며 396년에 화병으로 사망했다.[9] 제위는 모용보가 계승했으나 탁발규는 이때를 놓치지 않고 후연의 영토를 유린했다.

모용수의 죽음과 함께 후연도 북위에게 밀려 쇠퇴하기 시작하더니 4대 황제 모용희 때 결국 고구려까지 덤벼드는 바람에 국력을 만회할 기회를 가지지 못한 채 결국 멸망했다.

아들들이 꽤 많다. 전처 단씨의 소생인 모용전(全)[10]·모용보·모용주(宙), 후처 단씨의 소생인 모용랑(朗)과 모용감(鑒), 그리고 여러 희첩들의 소생인 모용린(麟)·모용농(農)·모용륭(隆)·모용유(柔), 모용희가 있었다. 관련 가계도는 모용선비/왕사 항목을 참고.

모용농은 고국원왕이 빼앗은 요동, 현도군을 수개월만에 되찾은 인물이기도 하다. 하지만 후처소생이라 그런지 그게 다 일뿐더러, 지략이 없었는지 뒤에 보듯 단속골의 난과 난한의 난에 휩쓸려 다른 황제들처럼 죽임을 당했다. 그 처참한 내용은 모용보 항목 참조.

무협소설에 흔히 나오는 나라의 부활을 위해 암약하고 음모를 꾸미는 모용세가 당주의 원형격이다.

  1. 자치통감 기준, 진서의 향년을 적용.
  2. 자치통감 기준, 진서의 재위기간을 적용.
  3. 그래도 본문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모용수의 배신은 정상참작의 여지가 매우 많고, 그 자신도 되도록이면 의리를 지키려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 유비? 뭐 그만큼 오호십육국시대가 막장이었다는 뜻으로 받아들이자.(...)
  4. 화북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태행산맥의 동쪽으로 관동(關東)이라고도 하는데, 이 시기는 화남이 아직 개발되지 못하여 사실상 중원의 1/3에 해당하는 알짜배기 땅이었다. 나머지 2/3는 태행산맥 서쪽의 관중(關中)과 회하 남쪽의 강남(江南).
  5. 부견은 몰락 후 요장에게 살해되기 직전 훗날 서연에 의해서 모용씨를 핍박하긴 한다. (물론 서연은 모용수에게도 적대적이었지만) 이때 탈출한게 손자 모용성.
  6. 애초에 관동이 관중보다 인구가 많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세력에서 후진을 압도했다. 모용수 사후에 후연이 북위의 침공을 받고 몰락하고 후진이 주변을 정리하고 세력을 불리자 후진이 후연을 능가하게 된다.
  7. 모용수의 나이가 당시 일흔이었다.
  8. 탁발규도 모용수의 습격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평성 함락 소식이 전해지자 은신할 정도로 모용수의 공격은 노련했다.
  9. 모용수만 충격을 받은게 아니라 후연의 병사들도 함께 충격을 받아 대성통곡했고, 그 소리가 천지를 울렸다고 한다.
  10. 자치통감에는 모용령(令)이라고 되어 있다. 모용수가 전연에서 전진으로 망명하자 이를 따라갔다가, 왕맹의 계략에 속아 전연으로 돌아가서 유배되어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