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신승)

신승의 등장인물.

목차

1 1부

소림에서 그나마 정각에게 잘 대해준 인물. 정각에게는 사숙조가 되고, 지객당주를 맡고 있다.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으나 무공보다는 불법에 더 뜻을 두어 소림사의 기초 내공심법인 금강선공을 꾸준히 익히고 있으며[1] 외적의 침공으로 인해 속세의 무공방파로 변질되어가는 소림을 걱정하는 소림에 남은 마지막 소림승.

소림에 마지막 남은 학승인 정각을 부려먹기는 그도 마찬가지였으나 그래도 사부 한번 잘못 따라왔다가 더럽게 꼬여버린 그의 인생을 불쌍히 여겨 그의 무공의 기초가 되는 금강선공을 가르쳐 주었다. 그러나 학승에게 무공을 가르쳐서는 안된다는 규율 때문에 가르쳐 주면서도 금강선공에서 발경의 과정을 빼고 가르쳐 주었다. 정각은 이후 한참동안 맞고 다니지만 황금신공을 얻을즈음에는 황금신공의 훌륭한 기초가 되어줬다. 그리고 나중에 무공을 가진 것이 발각되었을 때 변명거리가 되기도 했고.

이후 별 비중 없다가, 절세신마에 의해 9파1방 녹림 황궁 등등의 무림 각 세력들이 죄다(...) 쓸려버릴때 절대신마가 속세의 명예에 얽매인 승려들을 죄다 죽여버리고 소림의 봉문을 요청, 거기서 배분이 가장 높았던 무명이 소림방장이 되어 봉문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후 1부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2 2부

소림이 봉문중이라 별 비중이 없나 싶더니,소림 방장이 되어있었다. 금강선공의 요체를 깨달아 새로운 깨달음[2]을 얻었다. 1부에서부터 한 50년 익히면 뭔가 되지 않을까라고 정각에게 자신도 믿지 않는다며 우스갯소리로 말했었는데 정말로 이루어버렸다(...). 후반부에 기마대 5천을 손한번 들어 돌아가게 하고 절대고수 4명[3]의 싸울 의지를 빼앗아 돌려보내며 황제인 영락제와 담판을 지어 무림에 대한 간섭을 끝내게 하는등 초월적인 업적을 세워 신승이라 불리게 된다(남궁인이 자신의 투지가 사라지는 것을 보고 신승이라 축하의 인사를 건내었다).
  1. 다만 다른 사제들은 무명이 금강선공을 꾸준히 수련하고 있단 것을 몰랐다.
  2. 황제에게 천기를 읽을 수 있다고 구라쳤다. 그걸로 고수말살정책을 거두지 않는다면 명나라가 50년도 못가고 망할 수도 있다고 경고도 했다. 그러고 황제가 돌아간 후 들뜬 사제에게 그거 뻥이야 라고 말해서 뒤집어짐. 그런데 실제로 읽을 수는 있는 모양이다. 대략 50년 후에 벌어진 사건이 토목의 변인걸 보면.. 또 소천이 정각의 아들이란 걸 그냥 알았다.
  3. 2부 기준. 신주이십이성의 경지에 오른 사람은 한명도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2부 마지막 기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