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칸 시국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축구 연맹(FIFA)에 미가입된 주권국가
60px
나우루
(Nauru)
60px
마셜 제도
(Marshall Islands)
60px
모나코
(Monaco)
60px
미크로네시아 연방
(F.S. Micronesia)
40px
바티칸 시국
(Vatican City)
60px
영국[1]
(United Kingdom)
60px
키리바시
(Kiribati)
60px
투발루
(Tuvalu)
60px
팔라우
(Palau)
바티칸 시국 축구 국가대표팀
Selezione di calcio della Città del Vaticano
정식명칭Selezione di calcio della Città del Vaticano[2]
FIFA 코드없음
협회바티칸 시국 축구 연맹 (FVGC)
감독잔프란코 구아다뇰리 (Gianfranco Guadagnoli)
홈 구장페트리아나 스타디움 (Stadio Petriana)
비오 12세 경기장 (Stadio Pio XII)
첫 국제경기 출전VS 모나코 (0:0 무승부)[3], 이탈리아 로마 (2002년 11월 23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SV Vollmond (5:1 승)[4], 이탈리아 로마 (2006년)
최다 점수차 패배VS 모나코 (0:2 패)[5], 이탈리아 로마(2014년 5월 10일)
유니폼어웨이
상의노랑하양
하의하양노랑
양말노랑하양

1 개요

성부 하느님의 은총을 받은 바티칸 시국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 본국이 워낙 세계에서 제일 작은 나라라(...) 하는 수 없이 자국을 둘러싼 나라인 이탈리아의 구장을 홈구장으로 빌려쓰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항목에 처음 들어왔을 때 아마 '이런 나라도 축구 대표팀이 있어?!'라는 식으로 상당히 놀랐을 것이다(...) 보다시피 이래뵈도 축구 국가대표팀이 있는 나라이다.

다만 영토가 작고 인구 수도 워낙 적고해서 축구 실력은 그야말로 아오안. 공격수가 프란치스코 교황일 수도 있다!. 신학생이나 스위스 근위병 등 아마추어 선수로 구성된 아마추어 리그가 있다. 교황청이 프로화를 반대하기 때문에 UEFAFIFA 가입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나코팔레스타인 등 제한적인 국가와 친선 경기를 치렀다. FIFA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인 A매치로 인정되지 않는다.

2010년 조반니 트라파토니가 잠시 감독을 맡기도 하였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30 우루과이 월드컵비회원국
1934 이탈리아 월드컵비회원국
1938 프랑스 월드컵비회원국
1950 브라질 월드컵비회원국
1954 스위스 월드컵비회원국
1958 스웨덴 월드컵비회원국
1962 칠레 월드컵비회원국
1966 잉글랜드 월드컵비회원국
1970 멕시코 월드컵비회원국
1974 서독 월드컵비회원국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비회원국
1982 스페인 월드컵비회원국
1986 멕시코 월드컵비회원국
1990 이탈리아 월드컵비회원국
1994 미국 월드컵비회원국
1998 프랑스 월드컵비회원국
2002 한일 월드컵비회원국
2006 독일 월드컵비회원국
2010 남아공 월드컵비회원국
2014 브라질 월드컵비회원국
2018 러시아 월드컵????????
2022 카타르 월드컵????????
합계본선진출 없음0/20[6]

2.2 유로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프랑스 1960비회원국
스페인 1964비회원국
이탈리아 1968비회원국
벨기에 1972비회원국
유고슬라비아 1976비회원국
이탈리아 1980비회원국
프랑스 1984비회원국
서독 1988비회원국
스웨덴 1992비회원국
잉글랜드 1996비회원국
벨기에/네덜란드 2000비회원국
포르투갈 2004비회원국
오스트리아/스위스 2008비회원국
폴란드/우크라이나 2012비회원국
프랑스 2016????????
유로 2020????????
합계본선진출 없음0/14
  1. 올림픽 때 일시적으로 구성한 적은 있으나 영국이라는 국가단위로는 정식으로 가입하지 않았다. 대신 영국을 구성하는 4개 지역의 축구협회(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가 가입되어 있다.
  2. 이탈리아어
  3. 비공인 기록
  4. 비공인 기록
  5. 비공인 기록
  6.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