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필드 1/보병 장비/정찰병

배틀필드 1 멀티플레이어 관련 정보
병과정예 병과보병 장비탑승 장비
게임 모드훈장 및 약장패치 노트
배틀필드 1 보병 장비 둘러보기
돌격병의무병보급병정찰병
탑승 병과보조 무기

1 저격 소총

전작들과 크게 다르지 않게 이번 배틀필드 1에서도 정찰병은 저격소총을 주무기로 사용한다. 유일한 예외로 페더슨 장치를 적용한 반자동 무기인 스프링필드 M1903 Experimental이 있다.

Sweet Spot 이라는 개념이 생겨서 최대 대미지 100짜리의 총들은 특정 구간의 거리에서 헤드샷을 하지 않고 몸샷으로도 한방킬이 가능하다.

광학조준경이 달려 있지 않은 무기들은 전작의 스트레이트 풀 부착물과 같이 정조준 상태에서도 차탄 장전이 가능하다.

사족이지만 대다수의 정찰병 저격소총들이 가진 탄속들은 실제 총기와 동일하다.

1.1 SMLE Mk.III

대미지Sweet Spot장탄수연사력재장전 시간탄속
80-100-8040m ~ 75m1052 RPM740m/s

한 탄창에 10발이나 들어가면서 예비탄약이 40발이나 있는 독보적인 장탄수를 자랑하는 영국의 제식 소총. 여러모로 범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중거리 교전에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장거리 저격에는 여러모로 부적합.

1.2 Russian 1895

  • Russian 1895 Sniper
조준 명중률지향 명중률대미지Sweet Spot장탄수재장전(전술장전)시간연사력탄속탄낙가속도
정지:01.25
1
0.75
80-100-8060m ~ 100m5-(-)초56RPM820m/s12 m/s²
이동:14
3.5
3
  • Russian 1895 Infantry
조준 명중률지향 명중률대미지Sweet Spot장탄수재장전(전술장전)시간연사력탄속탄낙가속도
정지:01
2.5
2
80-100-8060m ~ 98m5-(-)초56RPM580m/s12 m/s²
이동:14
3.5
3
  • Russian 1895 Trench
조준 명중률지향 명중률대미지장탄수재장전(전술장전)시간연사력탄속탄낙가속도
정지:01.667
1.334
1.001
79-405-(-)초124RPM580m/s12 m/s²
이동:12.668
2.335
2.001

윈체스터 사의 미제 레버액션 소총인데 왜 러시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느냐 하면, 대전 초기에 러시아 제국군이 모신나강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한 관계로 이 총을 미국에서 수입해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신나강은 러시아 제국 DLC로 팔아야 하니까

1.3 Gewehr 98

대미지Sweet Spot장탄수연사력재장전 시간탄속
80-100-8080m ~ 125m550 RPM880m/s

독일군의 제식 소총. 게임 상에서의 데미지 모델은 장거리 저격용으로 디자인되었다. 또한 정찰병 주무기를 통틀어 탄속이 가장 빠르다.

1.4 Gewehr M.95

대미지장탄수연사력재장전 시간탄속
90-79566 RPM620m/s

오스트리아제 5발들이 스트레이트 풀 볼트액션 소총. 재장전 시 잔탄이 클립째로 튀어나오고 이어서 클립을 통째로 밀어넣기에 빠른 재장전이 가능하고, 연사력이 상당히 빠른 대신 Sweet Spot 개념이 없어 전작들의 저격소총 데미지 모델을 그대로 따라가며, 최대 피해량도 90이라 절대 몸샷 원킬이 불가능하다. 다른 소총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연사가 가능하므로 단독 저격보다는 중-근거리 분대단위 교전에서 유용한데, 아군에게 피해를 입은 적 플레이어들을 정밀사격으로 숨통을 끊는 식.

1.5 M1903

대미지Sweet Spot장탄수연사력재장전 시간탄속
80-100-80100m ~ 150m553 RPM820m/s
  • M1903 Experimental
대미지장탄수연사력재장전 시간탄속
23-13.540+1449 RPM3.0 (2.25)400m/s

미군의 제식 소총. 대미지 모델은 초장거리용이다.

이것의 바리에이션 중 하나로 M1903 Experimental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그 '페더슨 장비(Pederson Device)' 이다. 노리쇠를 교체해 권총탄을 반자동 사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M1903 항목에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용량이 무려 40발이나 되는 탄창을 사용한다. 다만 위력이 너무 낮아서 좋다고는 하기 힘들다.

1.6 Martini-Henry Infantry

대미지Sweet Spot장탄수연사력재장전 시간탄속
90-100-7030m ~ 80m1단발2.5440m/s

줄루 전쟁, 보어 전쟁 때 쓰던 단발 소총!

단발이라 매번 재장전해주어야 하며 스코프 장착이 불가능하다. 장점은 몸샷한방 스위트 스팟이 가장 단거리에 위치하므로 몸샷한방을 가장 띄우기 쉽다는 점이다. 플레이어들이 하나같이 입을 모아 손맛이 끝내준다고 평가하는 무기.

2 보조 장비

2.1 Flare gun

조명총. 쏘아 올리면 근처의 적이 미니맵에 표시된다. 또한 근처에 있는 적은 불이 붙어 틱당 2~3의 데미지를 입는다. 자기 자신도 불이 붙을 수 있으니 주의.

2.2 Flare gun - Flash

조명탄의 섬광탄 버전.
스팟기능은 없고 섬광탄으로만 사용된다. 섬광 효과가 그렇게 강하지도 않고 스팟도 안되서 거의 쓰지 않는다.

2.3 K Bullets

철갑탄. 공구 제작용 특수강으로 만든 탄환을 주무기에 장전한다. 때문에 장전 속도, 탄도 등은 주무장에 따라 달라지나, 무조건 한 발만 장전 가능하다. 지급량은 총 5발.

모든 차량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무장으로, 제대로 맞추면 고기동 차량을 두 발만에, 경장갑 차량을 다섯 발에 파괴할 수 있지만 전차류엔 위력이 급감해 중전차 상대로는 피해량이 4에 불과하다. 하지만 어쨌든 피해를 주기에 내부 수리를 방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항공기 상대로는 위협적인 추가 데미지가 들어가 항공기 자체를 격추해 버리는데도 쓸 수 있다.
보병 상대로는 주무장의 피해량 모델을 그대로 따라가지만, 정예 병과에게는 일반 탄환보다 더 큰 피해를 입힌다.
또한 탑승시 보병의 위치가 명확한 야포, 방탄판이 달린 거치 기관총 같은 장비들은 보병 위치에 발사하면 방탄판을 관통해 보병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베타 당시엔 주무기와 전환 시 그냥 소총을 다시 꺼내는 모습이었지만, 정식 빌드에선 제대로 철갑탄을 장전하도록 변했다. 이 상태에서 발사를 안 하고 일반 탄으로 변환 시 바로 볼트액션으로 탄을 빼내버리며, 다시 전환하면 새로 탄을 장전해 넣는다.

2.4 Trench Periscope

참호 잠망경. 사용자 본인은 엄폐한 채로 엄폐물 너머 멀리 있는 적들을 탐지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로, 굉장히 확대율이 높다. 이 망원경으로 탐지한 적은 붉은색의 외곽선으로 하이라이트되는데, 다른 아군들에게도 이 붉은색 하이라이트가 다 보이기 때문에 어그로를 집중시킬 수 있다.

2.5 Sniper Decoy

저격 미끼. 상당히 재미있는 메커니즘의 장비.
가짜 사람 머리가 달린 막대를 바닥에 꽂는다. 이 가짜 머리를 멀리서 보면 반사광이 보이는데, 이것으로 적에게 저격수인 것처럼 보이도록 속일 수 있다. 이 가짜 머리를 적군이 쏘아 맞추게 될 경우 맞춘 적은 자동으로 탐지된다.

2.6 Sniper Shield

저격 방패. 낮은 높이의 방패를 바닥에 설치한다. 방패 뒤에 엎드리면 몸이 전부 가려지는 정도의 크기이며, 방패의 전면부에는 작은 구멍이 나 있어서 이 구멍으로 총을 쏠 수가 있다. 물론 그 구멍을 통해 역저격을 맞을 수도 있다.
한가지 조심 해야 할 게 있는데 상대 정찰병이 K-Bullet을 장전하고 쏜다면 구멍에 쏠 필요 없이 방패가 관통되기 때문에 위험 할 수도 있다.

2.7 Tripwire Bomb

인계철선으로 폭발하는 대인 함정. 전작들의 클레이모어의 위치지만, 일반적인 고폭 버전에 추가로 독가스 버전과 소이탄 버전이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다.

베타에선 보급병의 장비였다가 정식 발매에서 정찰병에게 옮겨 왔다.

이걸로 적을 처치하는 중독성이 상당하지만 수류탄과 박격포에 쉽게 무력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배틀필드 1/보병 장비/탑승 병과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