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병원


▲ 개원식 당시 사진
홈페이지 링크 (신축 개원 이후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전화) 032)836-1731 / 팩스) 032)836-0118

1 개요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655-4번지에 위치한 인천광역시의료원 부속 병원이다. 서해5도의 유일한 2차 의료기관 종합병원급이다. 백병원과는 관계 없다. 섬마을 병원에 대한 항목이 이렇게 자세하게 쓰여있는 걸 보니 근무하는 공보의가 심심했던 게 분명하다.

2 규모와 병실

  • 지하1층 지상 2층 규모 30병상 규모의 병원이다.
  • 지상 1층은 원장실 각 진료과, 응급실이 있다.
  • 지상 2층은 입원실, 관리실 식당등 구성되었다.
  • 지하 1층은 장례식장, 영안실이 있다.
  • 운영중인 진료과는 아래와 같다.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치과를 제외한 진료과는 공중보건의 배치)
  • 국내서 2차병원은 여기밖에 없다. 면소재지의 병원치 곤 작지않다.

3 진료과목

육지의 3차 상급 종합병원과 대학종합병원, 대형병원과는 많이 다르다보니 소방119헬기로 이송한다. 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받거나, 육지 병원으로 가야 한다. 백령병원에서 치료할 수 없는 중환자 및 응급 수술이 필요한 환자 등은 여객선 또는 119 구조헬기를 불러 인천의 대학병원으로 후송된다.</ref>
전문의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가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여성 의사 보기가 힘든 곳이다. 육지보다 근무환경이 나쁘지만 공공병원의 특성상 페이닥터를 구하기 힘들어 근무 중인 의사의 대부분이 공보의이기 때문이다.</ref>

4 역사

1960년 5월 가톨릭대 의대 부속 김안드레아병원으로 출발해 1974년 대한적십자사가 운영하는 백령적십자병원으로 바뀌었다. 1995년부터 가천길재단이 맡아 백령길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2001년부터 인천의료원 산하 백령병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도서지역 특성상 적자 운영이 불가피하여 운영 주체가 자주 바뀌었다.

4.1 병원 신축 이전

2014년 신축 이전하기 전에 사용하던 건물이다.

이 건물을 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하는 '옛 백령병원 아트 프로젝트'가 추진되었으나 결국 무산되었고 결국 천주교 인천교구에서 인수하여 리모델링 후 청소년문화센터로 사용될 예정이다

4.2 병원 신축 이후

2012년부터 신축 공사를 시작, 2014년 초 완공되어 30병상 규모, 최신식 응급실을 갖춘 병원이 탄생하였다.뉴스 링크 도서 지역인 만큼, 의사 구하기도 힘든 점도 있다.뉴스 링크 개축 후 지역주민 뿐 아니라 백령도 주둔 군경들도 많이 온다. 아니, 위에선 지역 주민들이 여기 소견서 들고 해병의무대 간다며? 군인은 싸제병원, 민간인은 군 의료시설을 찾아가는 기현상 인근 대청도소청도의 경우 병원이 없기 때문에 더더욱 백령병원의 존재가 절실하다.

5 보유장비

  • 전자내시경시스템
  • 질식 초음파진단기
  • 골밀도측정기
  • 디지털X-RAY촬영
  • 자동 생화학분석기
  • 고가 CT
  • 물리 치료실

6 단점

1. 수술실은 있어도 외과의사 및 간호사 인력 부족으로 수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수술이 필요한 환자는 인천의 대학병원으로 가야한다.
2. B형간염 같은 예방백신 업무를 안본다. 보건소로 가야한다.
3. 특정 진료과 의사가 없거나 휴가 중일 경우 해당 과는 비슷한 계열의 진료과에서 진료한다.
4. MRI가 없다.
5. 치과 의 경우, 어느날은 환자가 많아서 정상적인 진료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병원 치과에 전화 문의후 가길 바란다.

7 관련 항목

  1. 가정의학과
  2. 정형외과
  3. 비뇨기과
  4. 정형외과 전문의는 거의 100% 군의관으로 차출되어 공보의로 배치되는 인원이 거의 없다. 백령병원도 수 년 간 정형외과 공보의를 배치받지 못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