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제

bak1.gif

白麟濟

1898.01.28~??

잘생겼다

대한민국외과 의사으사양반. 1898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태어났다.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지만 3.1 운동에 참여한 죄로 바로 의사 면허를 받지 못하고 조선총독부 부속병원에서 외과 마취 조수를 했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외과 조수에 이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교수로 재직하던 중 사직하고 백병원을 설립했다.

1946년 12월 17일에 백병원은 한국 최초의 민립 공익법인 병원으로 탈바꿈하면서 다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채용된다. 이 백병원은 당시 한국에서 외과병원으로 이름을 날렸다. 원래 해방 전에는 일본인이 세운 병원이었는데 해방 후에 일본인 의사는 본국으로 돌아가고 백인제 박사가 공익 재단으로 설립했다. 이후 아쉽게도 6.25 전쟁 당시 피난을 못가서 납북되어 이 이후의 행적이 미상이다. 이 병원의 표어가 인술제세(仁術濟世), 인덕제세(仁德濟世) 였다. 인제대학교는 이것에서 따온 것.

자기 이름과 같으면서도 한 한자는 같고 나머지는 다른 것을 보면 자기 이름을 고려하여 뜻을 정한 것은 분명해보인다.

서울 가회동의 백인제 가옥[1]은 서울민속자료 제22호로 지정되어 있다. 2012년 혜화동에서 백인제 가옥으로 서울시장 공관을 옮긴다는 기사가 났으나 문화재 논란, 친일파 건축[2] 논란으로 철회하고 은평뉴타운으로 이전했다. 여담으로 백인제 박사는 엄청난 땅부자였다고 한다. 그리고,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에서 범인에 대한 심리상태를 검사한 의사로 인쇄물에 대한 검사를 한 공병우 박사와 더불어, 이러한 내용이 많이 안 알려져 있다. 장기려 평전에서는 이러한 사건 개입 때문에 납북 대상자로 선정된 이유라는 서술이 있다.

드라마 야인시대의사양반은 이 사람을 기준으로 캐릭터를 만들었다는 소문이 있다.소문이 아니라 거의 99%인데

유명한 제자로 장기려 박사가 있다. 그리고 문학평론가 백낙청이 그의 조카이다. 즉 백낙청에게 백부가 된다. 종손주가 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백영경 교수이다. 시인 백석도 친척이다.

2015년 서울 가회동의 백인제 가옥이 서울시에 의하여 역사박물관으로 바뀌었다. #
  1. 영화 암살에서 친일파 부호 강인국의 저택으로 촬영되기도 하였다.
  2. 처음 이 집을 짓고 거주한 사람이 이완용의 조카이자 본인도 친일 부역자인 한상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