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과

학과
(학과 이름순 목록 보기)
인문사회자연공학의학교육예술기타
학과 - 사회과학
일반사회계열국제학과문헌정보학과사회복지학과사회학과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학과(신문방송학과/광고홍보학과)경찰행정학과소방행정학과
법학과북한학과행정학과정치외교학과지리학과
상경계열경제학과(농업경제학과/금융보험학과)통계학과관광학과
경영학과(경영정보학과)무역학과세무학과회계학과
* 교육계열 학과 목록은 링크를 참조할 것
"나도 공산당이 싫어요."

- 유머 <각 학과들의 불평불만> 中[1]

북한학과 교수들은 북한이 멸망하면 일자리를 잃는다 카더라
통일을 연구하면서도 세상에서 가장 통일이 오기를 싫어하는 사람들

1 개요

북한학을 다루는 학과. 기본적으로 북한이라는 지역을 다루는 지역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북한이라는 지역이특이해도 워낙 특이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북한 정치와 체제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게 된다.
국내에서 주체사상을 공식적으로 배울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이며, 탈북자 특강, 북한 영상 등 상대적으로 접하기 힘든 북한의 실상을 가장 밀접하게 느낄 수 있는 학과. 로동신문을 보며 장군님 축지법 쓰신다를 들어도 국가보안법으로 잡혀가지 않는 학과[2]
학교 축제 때 북한학과에서 주점을 내면 교수님들이 중국 가서 구해 오신 대동강맥주나 철쭉주 같은 북한 술이 나온다. 1990년대북한과의 교류가 좀더 활발했을 때는 정식 수입된 개성소주나 룡성소주 같은 북한제 소주가 나오기도 했다. 흠좀무...
이름에 북한이 들어가다보니 북한학과 학생들은 별 질문을 다 받게 된다.(...) 그래도 북한 관련 키배에서는 확실히 먹고 들어가는 듯.

2 학부 개설 현황

대학설립년도현황
동국대학교1994년2007년 입학 정원 축소(40명→20명)
2013년 입학 정원 축소(20명→15명) 홈페이지
명지대학교1995년2010년 정치외교학과로 통폐합
관동대학교1996년2006년 폐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1997년지속홈페이지
조선대학교1998년1999년 폐지
선문대학교1998년2008년 동북아학과로 개편

2015년 현재 북한학과를 개설한 대학은 동국대학교와 __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육군3사관학교] 등 전국에 세 곳이다.

동국대 역시 2013년 연계전공화를 시도하였으나, 학생들의 강한 반발[3]에 부딪혔으며, 덩달아서 고려대 세종캠퍼스 북한학과와 북한학과 대학원생들까지 반대[4]하였으며, 뽀그리우스 김정일이 죽어서현재 대북관계 전망, 학과의 위상(대한민국 최초인 데다가 당장 북한 관련 뉴스에서 섭외 1, 2순위를 차지하는 사람들이 동국대 교수들이다.)[5] 등을 감안했을 때 연계전공화를 포기한다고 선언했다.

2016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안좋은 평가를 받은 영향으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있었는데 학과가 없어진단 좋지 않은 소식이 들리더니 결국 사회학과와 통합하기로 결정이 났다. 이에 북한학과 소속 학생들이 강력히 반발하여 대책위원회를 설립한 상황.

3 교육과정

3.1 고려대 세종캠

  • 국제관계이론 :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행태주의, 자유주의, 구조주의 및 외교정책결정이론 등 주요 국제관계 이론을 다룬다.
  • 북한의 주체사상과 계급혁명론 : 주체사상과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해 배우고 이를 북한 사회의 현재 작동 메커니즘과 비교한다.
  • 북한사회문화론 : 사회, 문화
  • 비교정치개론 : 비교정치학
  • 비교사회주의개론 :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정치, 경제, 사회 비교.
  • 북한정치론 : 북한의 중앙집권적 정치제도, 행정체계에 대해 다루고 남한과 비교한다.
  • 북한언어론 : 문화어 언어정책, 언어생활의 실태, 남북한 간에 다른 어휘와 문법을 다룬다.
  • 북한교육론 : 북한의 학교 교육에 대해 남한과 비교한다.
  • 북한의 지리 : 남북분단 이후에 나타난 인문 지리적 정책의 변화과정을 다룬다.
  • 북한 문학 예술론 : 주체문학, 예술에 관한 이론, 작품내용, 변화과정을 다룬다.
  • 북한의 사회생활 : 일상적인 주민들의 사회생활을 다룬다. 특히 남북한 간의 이질화된 가치관이 통일 후에는 어떻게 동질화될 수 있는가를 연구한다.
  • 북한체육론 : 북한의 체육정책을 다루고, 특히 국방정책과의 연계에 주목한다.
  • 북한경제론 : '주체경제론'에 따른 생산양식, 분배방법, 소비 형태를 다루고 주류 경제학과 비교한다.
  • 북한의 대외경제 : 무역거래, 외자 유치, 남한과의 경제협력 등 대외경제 정책을 다룬다.
  • 북한 청소년 연구 : 북한의 청소년 정책을 다루고 남한과 비교한다.
  • 북한 언론 :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북한의 언론정책과 실태를 다루고 남한과 비교한다.
  • 북한외교론 : 북한의 외교정책을 다룬다. 특히 북한은 제 3세계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외교를 강화해왔는데 이에 주목한다.
  • 북한의 행정과 정책 : 행정 구조, 체제의 효율성, 변화 가능성.
  • 국가정보학 개론 : 국가정보의 수집/분석/사용에 대해 다루는 등 정보론에 대한 학문적 분석을 한다. 또 각국의 정보기관의 실상을 다룬다.
  • 북한 연구 조사방법론 : 연구방법론에 대해 다루고, 탈북자를 대상으로 조사 실습을 진행한다.
  • 남북문제연구 : 현안과 개선방안 모색
  • 북한 선전선동론
  • 북한의 협상 전략론
  • 북한 리더십 연구 :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 대해 다룬다. 성장과정, 권력획득 과정, 정책, 리더십 스타일 등을 다룬다.
  • 남북한 통일 정책론 : 남북한 역대 지도자들의 통일론을 비교 평가한다.
  • 남북한 교류 협력론 : 북한은 남한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경제/사회/체육 및 이산가족 상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협력에 나서고 있다.
  • 북한군사론 : 군사 정책과 실태를 다룬다.
  • 한반도 평화체제 : 한반도 정세를 다루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할 전략을 다룬다.
  • 북한 엘리트 연구 : 북한 엘리트 계층에 대해 다루고, 김일성 정권 이후의 당/군/내각/대중단체의 주요 엘리트를 다룬다.
  • 북한법연구
  • 북한이탈주민 연구
  • 북한의 해외동포정책론 : 재일동포, 재만주동포 정책에 대해 다룬다.
  • 조선로동당사 : 노동당의 창설역사, 발전과정, 노동당 규약을 다룬다.
  • 북한여성가족론
  • 북한의 농업과 식량문제 : 북한의 식량생산 및 소비 구조와 식량 부족을 다룬다.
  • 북한 관광 연구 : 관광학적인 접근으로 평양, 묘향산, 개성, 칠보산 및 백두산 등 6대 관광권에 대해 다룬다.
  • 북한인권문제
  • 대북심리전연구
  • 한반도 주변정세론 : 주변 강국들의 한반도 통일 정책을 다룬다.
  • 현장연구(Field study) : 역사 현장을 답사한다.
  • 북한의 산업구조와 기업론 : 농업, 광공업, 서비스업 등을 다룬다.
  • 체제전환연구 :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을 다룬다.
  • 남북통합연구 : EU, 베트남, 독일, 중국 등의 통합방식을 다룬다.

4 대학원

그 외에 연세대학교1995년에 대학원에 통일학 협동과정을 설치하여 북한학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이화여자대학교도 북한학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경남대학교1998년 서울에 북한대학원을 설치한 데 이어 2005년 이를 북한대학원대학교로 독립시켰다.[6] 서울대학교는 학과는 없지만 북한학개론이라는 과목은 1학년 일반교양과목으로 매 학기 개설하고 있다. 우스갯소리로 남학생들이 군대에 가기 직전 학기에 들어놓으면 정신교육 시간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들 한다.

5 관련 기사

  1. 왜 "나도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하는지는 북한학 항목 참고.
  2. 물론 학업을 위해 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또한 로동신문은 일반자료로 분류되기 때문에 보는 것만으로는 국가보안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애초에 국립중앙도서관의 북한자료센터에서도 일반자료로 누구든지 볼 수 있게 해놓고 있다.
  3. 동국대에서 북한학과는 굉장히 특이하게도 학부 재학생 수보다 대학원 재학생 수가 훨씬 많다. 사회적인 연구환경 때문에 그런 듯.
  4.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북한학과에서 직접 동국대를 찾아 플랜카드를 달며 항의했다...
  5.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북한학과는 세종시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거리적으로 섭외가 좀 힘들다.
  6. 대학원대학교란 간단히 말해 석사 과정만 운영하는 대학이다.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