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동

은평구법정동
법정동녹번동역촌동응암동신사동구산동증산동수색동대조동갈현동불광동진관동

1 개요

은평구법정동. 행정동은 구기터널부터 시작하여 독바위역 근처까지를 관할하는 불광1동과 연신내역부터 시작하여 박석고개까지를 관할하는 불광2동으로 나뉘어져 있다.

2 동명 유래와 역사

불광동이라는 명칭은 관내에 사찰인 불광사에서 유래했다. 불광이라는 명칭이 직접 등장한 것은 1914년 행정구역 대개편 때 경기도 고양군 불광리가 설치되면서부터였다.

불광동 지역은 조선시대의 한성부 성저십리의 상평방 지역이며, 연은방 지역 일부도 현재 불광동에 해당한다. 이 연방과 상방이 현재 은평구라는 지명의 기원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 초기인 1911년 행정구역 개편 때 경성부에 포함되어 있었다가 1914년 행저구역 대개편 때 성저십리 지역을 모두 경기도로 개편하면서 이 때 고양군 은평면 불광리가 설치되었는데, 이때부터 불광이라는 지명이 행정구역 명칭으로 직접 사용되기 시작했다.

1949년 서대문구 불광동이 되었으며, 1973년 1·2동으로 분리되고, 1979년 서대문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은평구에 포함되었다. 1985년 불광2동이 불광2동과 불광3동으로 각각 분동되었다가, 2008년 6월 다시 불광1·2동으로 합쳐져 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불광동에는 오래전부터 옛날의 역참이 있었고 불광동에서부터 녹번동과 대조동의 사이를 따라 역촌동으로 흐르고 있는 연천(불광천 상류)이란 조그만 시내가 흐르고 있다.
여기에 지금도 불광동쪽의 상류에 『연서』시장이 있고 하류쪽에는 녹번동,대조동 등의 동명 대신에 연천에서 유래된 『연신내』로 통하고 있다.

3 지역

인접지역으로는 동쪽에 종로와 구계를 이루면서 구기동과 접해 있으며 1980년 진흥로가 개통되어 종로 성북방향으로 가는 교통편이 좋아졌고, 한편 도심지로 집중하는 많은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있으며, 남쪽에는 녹번동과 홍은동이 각각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서쪽에는 대조동과 갈현동이 통일로를 사이에 두고 길을 따라 길게 이웃해 있다. 여기의 길 동편은 불광동이고 길 서편은 대조,갈현동이다. 길을 경계로 지역이 구분된 것이며, 북쪽에 진관동이있다.

불광동 관내 옛 지명을 알아보면 독바위골, 수리봉, 돈노리, 연신내, 어수물터 (어수정), 이감수, 밥할머니묘소, 관터고개, 세뿔간, 새장골(사정동), 박석고개 등이 있다. 도시기반 시설취약으로 인한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 불량주택 개량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지역이며 대단위 아파트단지, 단독주택과 독박골등 고지대 주민은 근로자등 저소득 계층의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려한 주변환경으로 국립보건원,국립환경 연구원,한국보건사회 연구원등 국가기관이 산재해 있고 불광시장은 인근 대조시장과 더불어 불광전철역에 인접하여 은평구의 큰 상권을 이루고 있다.

4 관내 주요 시설

4.1 학교

4.1.1 초등학교

  • 서울불광초등학교
  • 서울수리초등학교
  • 서울연광초등학교
  • 서울연신초등학교
  • 서울연천초등학교
  • 은혜초등학교 [1]

4.1.2 중학교

  • 불광중학교
  • 서울연천중학교
  • 연신중학교

4.1.3 고등학교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2]

4.2 철도역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4.3 관공서

  • 은평구립도서관
  • 은평경찰서
  1. 사립
  2. 사립 전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