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공과

賓貢科

1 개요

과거 제도의 일종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시험이다.
과거 제도의 소과를 보면, 수도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공(上貢), 지방민들을 위한 향공(鄕貢), 그리고 외국인들 대상의 빈공(賓貢)으로 나뉘고, 이 3가지를 합쳐서 삼공(三貢)이라고 부른다. 왜 바칠 '공'자를 쓰느냐면, 고대 중국에서 지방의 제후가 지역 인재를 중앙의 천자에게 천거하는 행위를 '인재를 바친다'라고 해서 '공사貢士'라고 했는데, 이것이 지역에서 소과 합격자를 뽑아서 중앙에서 치르는 대과 응시자격을 주는 것과 같은 것으로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2 한국의 경우

고려 광종대에 중국의 과거제도를 본따 시행하면서 빈공과도 시행되었다. 특이점으로 탐라국(제주도)은 외국으로 쳐서 탐라 학생은 고려 빈공과에 응시하도록 했다. 고려가 탐라국을 외국으로 봤는지 고려의 일부로 봤는지는 고려 시기별로 태도가 조금씩 다르다.

3 중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당나라의 빈공과가 잘 알려져 있는데, 당시 통일신라발해에는 과거제도가 없었고[1] 골품제에 막혀 일정 이상의 출세가 불가능했으며 국제교류도 동아시아에서 유례없이 활발했던 시대였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유학생이 황해를 건넜다. 빈공과에 급제해도 현지 중국인 전형 시험만큼 대우받지는 못했지만 본국에서보다는 나은 대우를 받을 수 있었고 본국으로 돌아가도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인기가 좋았다.

신라 출신 급제자가 가장 많았으며[2] 그 뒤를 발해, 페르시아 등이 따랐다. 최치원의 일화에서도 볼 수 있듯 발해 출신 유학생과 신라 출신 유학생간의 알력도 상당했다. 저 최치원은 신라 출신의 이동(李同)이 발해 출신의 오소도(烏炤度)에게 수석을 뺏기자 국제망신이자 나라가 망할 징조라며 깠다(...)[3]

'신라3최'로 이름을 날렸던 최치원, 최승우, 최언위는 모두 당나라에서 시행한 빈공과 급제자 출신이다.

송나라, 원나라대에도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시험은 '제과'로 이름은 바뀌었지만 계속 존재했으며 이 때도 주로 고려 사람들이 많이 응시했는데 대표적인 급제자로 이색, 이인복 등이 있다. 고립주의적인 성향의 명나라 시대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시험은 중단되어 조선시대부터는 학생들의 목표가 중국 유학보다는 국내 과거시험 위주가 된다.
  1. 신라 원성왕대에 독서삼품과라는 시험이 시행되었지만 본격적인 과거 제도는 아니었고 출세의 한계가 명확했기에 당나라 유학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합격자의 약 80%가 신라인이다.
  3. 한번은 발해에서 수석을 차지하자 신라에서 한때 맞선 국가에 수석을 내주는게 옳냐고 당나라에 따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