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BEMANI 시리즈의 유저 참여형 콘테스트 시스템
사운드 볼텍스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MÚSECA
MÚSECA Compe.
팝픈뮤직
팝픈 크리에이터즈 파티
350px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e-AMUSEMENT GATE

BEMANI 시리즈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일원으로서, e-AMUSEMENT GATE를 통해 운영되고 있는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비스.

1 개요

사운드 볼텍스의 메인 시스템이라고 칭할 수 있는 컨텐츠.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는 UCG(User-Created Game)을 주제로 내건 게임으로, 게임에 수록되는 곡이나 채보, 일러스트를 전부 사용자들이 제작하도록 하는 독특한 형식을 채택[1]하였다. 이것을 위해 기존의 사운드 볼텍스 e-AMUSEMENT GATE에 새로운 코너가 추가되었는데, 이 코너의 명칭이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첫 로케테스트 이후, 첫 작의 이름인 'SOUND VOLTEX BOOTH' 이외에도 'SOUND VOLTEX FLOOR'가 동시에 등록상표로 출원했다. 초기엔 차기작 상표의 조기 출원 등으로 추측했으나, 정식적으로는 사운드 볼텍스 부스는 아케이드용 게임기의 명칭이고,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는 사용자 참가형 게임을 실현시키기 위한 웹 서비스의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본디 2012년 3월 오픈 예정이라고 하였지만 3월이 다 지나간 4월 19일에 개장하였다. 개장과 동시에 오리지널 곡, 리믹스, 재킷, 어필 카드 등의 부문에서 컨테스트 개최가 고지되었다. 일단 일본 국내에서 거주하거나 상주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당분간 국내나 서구권에서 당선작이 나오는 일은 없을 듯…했는데, 동방홍마향 리믹스 콘테스트에서 한국의 동방 어레인지 서클인 Illusion Sonic이 당선된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추후 일본 외 작곡가들의 당선작들을 기대해도 좋을 듯 했으나 앞서 언급한 기준에 맞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다음 컨테스트에서 합작곡의 일원인 Ice[2]를 탈락시키는 등 논란이 일고 말았다. (일본어 주의 번역[3]) 결국 명의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코나미의 실책.

사실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는 BEMANI 시리즈에서 활동할 코나미 전속 스태프의 확보를 위한 포석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기존의 beatnation Records에서 받던 아마추어 곡 투고 캠페인은 전부 이 서비스로 옮겨질 예정인데, 그 또한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우수한 BMS 작곡가를 스카우트할 수도 있지만, 이미 유명 BMS 아티스트는 대부분 펜타비전이나 안다미로, 어뮤즈월드 등의 타 회사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다가, 그나마 있는 아티스트들도 보컬로이드 악곡 작곡 → 니코니코 동화 업로드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수록 → 세가, 반다이 남코 게임스 등과 활동 → ??? → PROFIT!이라는 단계를 밟을 수도 있기 때문에 좀 더 공격적으로 새로운 피를 수혈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실제로 DJ Noriken처럼 플로어에는 SEED(DJ Noriken Remix)에만 참여하고 비트매니아 IIDX의 외주로 참가하는 작곡가나 Hommarju, P*Light처럼 플로어에 활발한 활동을 하는 작곡가들이 beatnation RHYZE에 새로 들어오는 등 새로운 작곡가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리고 플로어로 올라온 곡들이 대부분 좋은 반응을 이끌고 있기 때문에 발매 초기에 저급한 리믹스 등으로 혹평 받았던 것을 생각해보면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한국 홈페이지에서도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었지만, 2로 넘어오면서 삭제되는 등 사실상 한국에서는 가망이 없는 상태였지만, 2015년 4월 16일부터 한 달 동안 한국, 홍콩, 마카오, 타이완 유저들을 상대로 플로어 이벤트를 개최하기도 했다. 곡 투고와 어필카드 공모 모두 가능. 문제는 투고 기간이 끝나고 어떠한 소식이 없다는게 함정 요요몽 콘테스트 기록도 이미 갈아치웠다.[4] 이 중 한 곡옆나라 게임에 수록되었다

하지만 2016년 5월 27일 오후 5시 경 유니아나 트위터에서 아시아 콘테스트 플로어 발표가 나왔다는 소식이 떴다.
당첨자 발표는 5월 30일에 각각 당첨자들에게 이메일로 발송할 예정이라고 한다.유니아나 트위터

2 콘테스트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는 사실상 콘테스트를 위한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콘테스트를 통해 컨텐츠를 선정하여 사운드 볼텍스에 온라인 업데이트 된다. osu!캔뮤직 등 온라인 매체에서는 이미 운용되었던 방식이지만, 아케이드 리듬게임에서는 첫 사례이다. 운영이 잘 된다면 차기작의 작품 테마까지도 공모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홈페이지에 명시까지 해놓았다.

콘테스트는 오리지널, 리믹스, 보컬, 자켓, 어필카드의 다섯가지 분야[5]로 구분된다. 한 콘테스트에서 여러가지 분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콘테스트 하나는 분야 하나로 국한된다. 또한 콘테스트는 완전히 자유가 아니라, 일정한 기간동안 주최측이 제시하는 주제에 맞게 작품을 업로드해야 한다.

오리지널은 말 그대로 오리지널 악곡을 작곡하여 악곡을 업로드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주제는 특정한 BPM의 곡을 작곡하거나, 특정한 분위기나 테마 등을 가진 곡을 작곡하는 것이다. 5MB 미만, 2분 미만의 MP3 파일로 투고.

리믹스는 주최 측이 제시한 곡 중 하나를 골라서 리믹스한다. 대체로 한 곡당 리믹스 하나가 당선되지만, 괴음악, 해음악처럼 두 곡 이상이 선정되거나 아예 선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II 인피니트 인펙션 가동 후반기부터는 한 곡에 여러 리믹스가 차례로 당선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5MB 미만, 2분 미만의 MP3 파일로 투고.

보컬은 BEMANI 시리즈에 기수록된 보컬곡들 중 주최 측이 제시한 곡을 불러서 업로드한다. MR 파일과 가사가 함께 업로드된다. 5MB 미만의 MP3 파일로 투고.

자켓은 사운드 볼텍스에 기수록된 악곡의 자켓 일러스트를 새로이 뽑는다. 마찬가지로 주최 측이 제시하는 곡 중에 하나를 골라 거기에 맞는 자켓을 올려야 한다. 같은 악곡도 난이도 별로 다른 자켓을 쓰는 사운드 볼텍스의 특성상, 한 곡에서 두 개의 당선작이 나올 수 있다. 자켓 콘테스트와는 별개로 오리지널이나 리믹스 콘테스트에 악곡을 투고할 때 자켓을 세트로 투고할 수도 있다. 1280×1280pixel로 그려야 하며, 이것을 350×350pixel의 PNG 파일로 줄여 투고한다.

어필 카드는 사운드 볼텍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필 카드 일러스트를 뽑는다. 주최 측이 제시하는 곡의 자켓, 또는 거기에서 나온 캐릭터의 일러스트, 혹은 주최 측이 제시하는 주제의 일러스트를 그려야 한다. 한 곡에서 여러 개의 당선작이 나온다. 높이 250pixel × 너비 200pixel의 PNG 파일로 투고.

조건에 맞게 투고된 컨텐츠들은 다른 사용자들의 투표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고, 상위에 랭크된 작품들은 실제 게임에 수록되게 될 예정이었지만 코나미 측의 스태프들에 의해 심사되어 게임에 수록할 컨텐츠를 고르는 형태로 바뀌었다.

파일:Attachment/soundvoltex tousensha card.jpg
사운드 볼텍스 부스 버전 카드

파일:Attachment/voltex card.jpg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버전 카드

B_Yxf0UUIAAT6zN.jpg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버전 카드[6]

투고한 콘텐츠가 당선되면 투고자는 코나미 측으로부터 컨텐츠 사용비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특별 e-AMUSEMENT PASS를 받을 수 있는데, 이 카드로 카드 인계든 뭐든 해서 플레이하면 자신이 투고한 컨텐츠를 무조건 사용할 수 있다. 해금 같은 거 안 해도 된다[7]. 더불어 그 컨텐츠의 게임 내 표기도 조금 달라진다고 한다.

2.1 WE LOVE 팝픈뮤직 모두가 만든 20 ~아티스트는 너닷!~

팝픈뮤직 20 fantasia 참조.

3 개최된 콘테스트 목록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콘테스트 참조.

4 응모종료부터 사운드 볼텍스에 곡이 수록될때까지 걸리는 기간

응모종료일, 최초수록일, 기간 순으로 기재. 최단기간과 최장기간은 굵게 표시.

  • 제 1회 스피드업 콘테스트 : 2012/5/15, 2012/8/3, 81일
  • 하이텐션 four-on-the-floor 인스트로 오리지널 악곡 : 2012/5/14, 2012/8/3, 82일
  • 레이시스 테마곡 : 2012/7/10, 2012/10/5, 88일
  • dj TAKA 악곡 리믹스 : 2012/7/11, 2012/10/5, 87일
  • BEMANI Backstage 테마곡 : 2012/9/18, 2012/11/8, 52일
  • KAC 2012 오리지널 악곡 컨테스트 : 2012/9/19, 2012/11/22, 65일
  • SDVX × DTM MAGAZINE 콜라보레이션 콘테스트 : 2012/11/19, 2013/03/19, 120일
  • GUMI 한정!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 2012/09/21, 2013/01/18, 120일
  • SOUND VOLTEX II -infinite infection- 제작 결정 기념 리믹스 : 2013/3/22, 2013/6/5, 76일
  • SOUND VOLTEX II -infinite infection- 제작 결정 기념 오리지널 : 2013/3/25, 2013/6/5, 73일
  • 동방홍마향 리믹스 : 2013/6/14, 2013/8/16, 64일
  • 여름이다! 방학이다! 자유연구 오리지널 악곡 컨테스트 : 2013/8/29, 2013/10/31, 64일
  • ZOLA PROJECT 오리지널 악곡 컨테스트 : 2013/9/25, 2014/3/14, 171일
  • KAC 2013 오리지널 악곡 컨테스트 : 2013/10/7, 2013/12/13, 67일
  • SDVX×DTM Magazine 콜라보레이션 컨테스트 제2회 : 2013/11/7, 2014/4/4, 149일
  • 동방휘침성 리믹스 콘테스트 : 2013/12/10, 2014/04/25, 138일
  • kors k 곡 REMIX 콘테스트 : 2014/04/08, 2014/08/01, 116일
  • GUMI 한정!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제 2회 : 2014/04/15, 2014/06/26, 81일
  • 제 1회 사볼 캐릭터 테마곡 콘테스트 : 2014/04/16, 2014/08/14, 129일
  • SOUND VOLTEX VERSION 3 제작결정기념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 2014/08/21, 2014/11/20, 92일
  • The 4th KAC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 2015/01/06, 2015/02/27, 53일
  • 동방요요몽 리믹스 곡 콘테스트 : 2015/05/25, 2015/12/04, 192일
  • 다함께 코코나츠를 프로듀스!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 2015/07/30, 2015/12/10, 134일
  • The 5th KAC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 2015/11/16, 2016/01/30, 76일
  • 앨범 STARLiGHT발매 기념 Ryu☆ 리믹스 콘테스트 : 2016/01/25, 2016/04/28, 94일
짧게는 두달, 길면 여섯달까지라는걸 알 수 있다. 하지만 당선 유무는 미리 메일로 발표되기 때문에 낙선작은 악곡의 경우 보통은 니코니코동화, 어필카드 응모일러스트의 경우 보통은 픽시브에 업로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낙선 창작물들은 보통 해당사이트에서 FLOOR낙선공양이라는 태그로 분류된다.
  1. UCG 형태의 리듬게임은 2009년에 이미 주창된 바 있는데, 묘한 것은 이것을 주창한 사람이 BEMANI 시리즈의 아버지이며 2000년에 이미 코나미를 퇴사한 dj nagureo이다.
  2. Cytus의 수록곡인 Entrance, L의 작곡가로도 유명하다.
  3. 요약하자면, 2013년 8월에 참가한 자유연구 콘테스트에 참가한 후 10월 말에 채용 통보를 받고 계약서에 사인까지 한 상태에서 며칠만에 돌연 코나미에서 팀원 에 일본 외 거주자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채용취소 통지를 보내왔다는 것. 콘테스트 규정에는 '참가자'의 일본 거주만을 규정할 뿐 '공동 제작자'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고 있는데다 사볼 내에 한국이나 미국 아티스트의 곡이 올라와 있는 것을 보고 팀 내에서는 '등록자가 일본에 살고 있으면 되는 건가' 하는 추측도 했다고. AOU 2012에서 dj TAKA를, 또 대만에서 열린 비마니 좌담회에서 오오타P를 만나서 얘기를 듣고 해외 아티스트에게도 길이 열릴까 하는 희망을 가졌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실망했다 KONMAI라는 것이 결론. 덤으로 그 곡은 Brionac ~Lugh Lamhfhata~로 보인다.
  4. 응모종료(2015/05/15)부터 (수록이 아닌) 합격발표(2016/05/27)까지만 쳐도 378일이다(....)
  5. 당초에는 채보 작성에 관한 이야기도 있었는데, 어찌되었는지 그 부분은 빠졌다. 당선곡 컨텐츠의 조기 유출을 우려한 듯 하다.
  6. 출처
  7. 악곡의 경우 악곡 업데이트 후에 새로 추가되는 채보가 있다면 그 채보에 특별한 해금 조건이 걸려있더라도 자동으로 해금된다. 한 예로 아티스트 BlackYAA 리믹스와 Max Burning!!의 INF 패턴이 INFINITE BLASTER를 통해 업데이트 되었을 때 별도의 해금 없이 곧바로 플레이가 가능했다.
  8. 발표는 378일, 가채용 통지는 4일뒤 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