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울 알린스키

이름Saul David Alinsky
출생1909년 1월 30일 일리노이주 시카고
사망1972년 6월 12일 캘리포니아주 카멀바이더시

1 소개

미국의 사회운동가이자, 지역조직가.

2 생애

2.1 유년과 학창시절

1909년 미국 시카고 남부의 빈민촌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반항아적이고, 유대인 아이들의 골목대장 노릇도 한 바 있다. 그가 18세가 되었을때, 부모가 이혼하였다. 이로 인해 알린스키는 캘리포니아로 떠난 아버지와 시카고에 거주하는 어머니 사이를 왕래하며 고등학교를 다녔다.[1] 이후 시카고 대학교에 입학하고 고고학을 전공했다. 고고학을 전공하면서도 사회학 강의를 많이 들었다. 그러면서 사회학이 접근하는 빈곤이 현실과 동떨져 있는 것에 불만을 가진다.

알린스키가 대학교를 졸업할 당시 대공황이 미국사회를 강타했다. 마치 문송2010년대의 대한민국처럼알린스키의 전공은 쓸모가 없어진다. 이러한 와중에 알린스키는 시카고 대학의 대학원에 진학한다.[2] 그는 범죄학을 전공했으며 연구대상으로 알 카포네의 갱단을 연구한다. 그는 학문적 접근에서 그치지 않고서, 직접 체험하기로 결심한다. 그래서 갱단에 가입하고, 우두머리 급의 사람들과 어울리게 된다.

2.2 빈민사회의 조직가

대학을 마칠무렵 그는 일리노이주 남부의 탄광 노동자들과 만나게 된다. 이후 노동조합인 CIO를 지휘하던 존 루이스와 친분관계를 쌓고 휘하에서 일하기도 했다. 1939년 알린스키는 경제공황으로 고통받는 시카고 증권가의 뒤에 위치한 달동네로 들어간다. 알린스키는 그 달동네에서 다양한 민족으로 매일같이 싸우던 사람들을 조직한다. 알린스키는 지역사회를 조직하면서 자산은 돈이 아닌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을 구하는 것은 자신에 있다는 이야기를 그 주민들에 다가가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조직된 빈민가 주민들은 시카고의 시장과 대화를 통해 자신들의 권익을 얻어내고 보호한다.

이러한 알린스키의 방법에 재산가인 마샬 필드 2세가 기금을 제공하였고, 이를 바탕으로서 산업사회재단을 시카고에 설립한다. 산업사회재단은 지역사회의 조직가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역할을 해냈으며 이들은 미국 각지로 나아가 사람들을 조직한다.[3] 알린스키도 50년대에는 시카고의 흑인 게토라던지, 캘리포니아주로 옮겨가면서 각 지역 조직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해낸다.

2.3 1960년대 그리고 말년

이러한 과정에서 알린스키는 중산층의 조직을 주목하였다. 알린스키는 사회개혁이 미국 인구의 큰 비율을 차지하는 중산층의 지지로서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당시 60년대에는 68 혁명을 비롯한 수많은 학생운동이 발생했다.이러한 과정에서 알린스키는 대학생들이 점거한 대학 강당에 초청된 당시의 지식인처럼 초청되었다. 알린스키는 당시의 대학생들에게 체제의 전복이 아닌 체제내부에서의 개혁을 강조했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의 반발을 부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을 저술한다. 이 책은 당시의 학생운동가들의 교조주의화와 의사소통의 부재를 비판하면서 세상을 바꾸는 방법을 이야기 했다. 하지만 그의 책이 출판된 다음해인 1972년 그는 캘리포니아에서 길을 걷던중 쓰러지고 사망한다.

3 영향

3.1 미국

미국의 대통령인 버락 후세인 오바마은 시카고에서 그가 이끄는 조직에서 조직가로 일하였고, 힐러리 로댐 클린턴은 그를 다룬 대학 졸업논문을 집필했다.

3.2 대한민국

1970년대 알린스키의 조직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이 기독교 학생운동의 통합체인 한국사회개발단에 참여하고, 여러가지 사회문제에 대해 수록하고 노동운동을 조직하면서 70년대의 민주화운동의 한 축을 이뤘다. 이후 80년대에서는 마르크스주의가 사회운동의 주축을 이루면서 지역 주민운동의 일부영역에 그치었다. 2010년대 이후로 박상훈의 <정치의 발견>이나 강준만의 <싸가지 없는 진보>로서 정치적 측면으로 재발굴이 이뤄졌다. 2015년 정의당의 대표로 출마한 조성주가 롤모델로 삼는 인물이자, 그를 다룬 <알린스키, 변화의 정치학>을 집필한 바 있다.

4 저술

  •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1. 그래서 고등학교 네 곳의 수업증명서를 대학진학 할 당시에 제출하였다
  2. 전액의 장학금을 받을수 있었기에 진학했다.
  3. 알린스키는 조직가들에게 운동이 시작될 때 주인행세를 하지 말고, 현장에서 3년이내에 운동을 일으키고 성공적일때 그 곳을 떠나라고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