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적의 딸 로냐

1 소설

말괄량이 삐삐로 유명한 스웨덴의 여류 아동문학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1907~2002)이 1981년에 쓴 소설. 원제는 Ronja rövardotter

한국에서도 번역 출판되었다.

1984년에 영화와 뮤지컬로 1993년과 2004년에는 연극 무대화 된 적이 있다.

줄거리는, 중세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무대로 라이벌 관계인 두 산적 무리가 있었다. 같은 날 태어난 산적 두목의 딸 로냐와 다른 산적 두목의 아들 소년 비르크는 벼락을 맞아 두 쪽으로 갈라진 성에서 우연히 만나 서로 사이가 좋아진다. 그리고 서로 대립하고 있는 산적 무리를 화해시키려고 노력한다.

2 위 원작을 애니화한 NHK 애니메이션

山賊のむすめローニャ

NHK 홈페이지
예고편 영상 반대수가 추천수보다 많은것같은건 기분탓이다; 그 이유가 미야자키 고로가 게드전기감독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 것도 당신의 기분탓;
2014년 10월부터 방영 예정인 미야자키 하야오의 장남 미야자키 고로의 첫 TV 애니메이션 연출 작품. 시도니아의 기사 제작사였던 폴리곤 픽쳐스가 원청 제작하며 스튜디오 지브리가 협력으로 가세한다. 시도니아의 기사처럼 3D 애니메이션이다.

1,2화는 1주에 묶어서 편성했다.

1년이 지났는데 별 내용이 없어...(2015/10/24)

2.1 등장인물

파일:Attachment/chara001.jpg

이 작품의 주인공. 이름은 어머니가 지어줬다. 맨발 속성[1]. 호기심이 많으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강한 정신력을 소유하고 있다.

160px

이 작품의 또 다른 주인공. 로냐와 같은 연배며 보르카 산적단장의 아들. 총명하여 비르크 산적들이 정착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파일:Attachment/chara002.jpg

로냐의 아버지[2]. 딸내미바보. 다혈질. 어렸을 때는 보르카와 친했던 듯 하며, 성은 대대로 이쪽에서 소유하고 있었다. 보르카 산적을 자신들의 영역을 침범하는 해충 취급하고 있었다. 그 감정의 골은 깊어져 동료의 습격으로 인해 완전히 척을 지게 되었고 결국 비르크를 인질로 삼아 그 대치상황을 격렬하게 만들려 한다. 하지만 이것이 로냐에 근 반감을 사 로냐가 직접 보르카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결과가 되었고, 서로의 인질 교환을 통해 대치 상황은 일시적으로 진화되었다. 이로 인해 마티스는 큰 충격을 받게 되고 로냐에게 의절 선언을 하게 되었다. 이 이후 로냐의 이름을 입에 올린 적은 없었다고 하며 성은 웃음을 잃은 채 계속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 와중에도 계속 반성을 하고 있으며 딸에 대한 걱정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 로비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로냐와 화해한 이후, 그에게도 성장해 나가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다. 숲의 고지대에 별장을 소유하고 있어 로냐와 비르크가 그곳을 자신들의 독립장소로 삼게 된다.

파일:Attachment/chara003.jpg

로냐의 어머니. 여장부 스타일. 노래로 태교를 해왔으며, 그것이 태어날 아이의 성격을 밝게 해준다고 믿고 있다. 마티스를 휘어잡을 수 있는 유일한 인물. 딸이 성을 나간 후에도 그녀를 걱정하면서 클리펜을 통해 먹을 것을 챙겨주었다.

파일:Attachment/chara004.jpg

마티스 산적단에서 제일 나이가 많은 산적. 현 시점에서는 원정 이벤트에 참여하지 못하고 집보기역을 하는 경향이 많아져 신세한탄을 하기도 한다. 지하실에 있는 보르카 산적단의 막혀진 루트, 숲에 사는 생물들에 대한 것을 다양하게 파악하고 있는 듯 하다. 마티스가 풀이 죽어있을 때에도 산적들의 중심을 잡아줄 정도로 카리스마는 건재하다.
사실 마티스에게 막역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마티스의 아버지때부터 활동해왔던 산적이며 마티스가 태어났을 때 직접 마티스를 받았다. 그렇기에 마티스에게는 좋든 싫든 의지가 되지 않을 수 없었던 존재. 이야기의 후반부 숙환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면서 마티스 산적단이 모두 슬퍼하게 된다. 과거 원정 당시 땅달보 난장이 한 명의 목숨을 토리온나로부터 구해준 보상으로 흥미로운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었는데, 이를 로냐와 비르크에게 알려주게 된다.

파일:Attachment/chara005.jpg

산적단의 실세. 마티스의 오른팔.

파일:Attachment/chara006.jpg

중견. 도끼를 사용한다. 초소 담당.

파일:Attachment/chara007.jpg

수다쟁이 속성. 초소 담당.

파일:Attachment/chara008.jpg

산적 활동에서 주요 전투를 담당하는 산적. 보르카 산적단의 일원에 의해 화살을 맞게 되면서 냉전 상태였던 두 산적단의 분위기는 일대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파일:Attachment/chara009.jpg

괴력 담당. 하지만 성격은 난폭하지 않다. 고글을 항상 쓰고 있다.

파일:Attachment/chara010.jpg

나이가 제일 어린 산적. 분위기 파악을 잘 못한다. 21화에서 정부군에 체포되어 감옥에 유폐되어 있다.

파일:Attachment/chara011.jpg

궁수 속성. 20화 후반부에서 가출 상태인 로냐를 찾아온다. 참고로 로냐가 있던 곳은 마티스의 별장이었기때문에 마티스 산적멤버들도 여기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었다.
낯가림이 심한 산적.
  • 요엔
북을 담당하는 산적. 문지기. 종종 등장은 하고 있지만 대사는 없다.
  • 랏파스
크노타스와 마찬가지로 고글을 항상 쓰고 있으며 풍류주의자.
  • 투레
피리가 취미인 산적.

파일:Attachment/chara016.jpg

보르카 산적단장. 마티스와는 어렸을 때부터 친했지만 마티스의 아버지에 큰 꾸중을 당해 지금도 좋지 않은 기억으로 남아 있는 모양. 산적의 화해과정에서 마티스와 일생일대의 싸움을 하게 되고 여기에서 마티스의 강함을 인정한다.
보르카의 부인. 비르크의 어머니.

파일:Attachment/chara017.jpg

두 산적단 사이를 이간질시키려는 계략을 꾸미는 악역. 그녀 외에도 개체수가 다수 있어 서로 가족관계가 된다. 사진에 있는 토리온나는 주로 모습을 나타내는 캐릭터지만, 이 개체의 리더는 머리카락 색깔이 백발이라고 한다.
덤불 밑의 공간에서 자신들만의 무리를 이루어 활동하는 난장이들.
  • 마티스의 아버지
성을 산적의 아지트로 개조해 지금에 까지 이른 굴지의 인물. 마티스가 보르카와 어울리는 것을 좋게 보지 않았다.
  1. 겨울에는 당연히 장갑이라던가 장화로 중무장을 한다.
  2. 태어났을 때의 모습을 보면 로냐가 아버지를 닮는 것이 당연할 정도의 모습이었다. 때문에 스칼레 페르도 로냐가 태어났을 때 심경이 꽤나 복잡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