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성북20

서울특별시 성북구 마을버스
010203040506
070809101213
1415202122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20번
기점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고려대역)종점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성신여대입구역)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16
막차23:30막차23:41
평일배차14분주말배차14분
운수사명약수교통인가대수5대?
노선고려대역(3번 출구) - (→ 하이마트 →)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입구 - 안암학사 - 성북구의회 - 돈암풍림아파트.성신초교 - 고명경영고 - 아리랑고개.아리랑시네미디어센터 - 성신여대입구역 → 돈암시장입구 → 삼선동주민센터 → 성신여대입구역 → 이후 역순

2 개요

약수교통에서 운행하는 성북구 마을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개운산길(현 북악산로) 인근 교통 편의를 위해 2006년 3월 2일에 신설되었다.
  • 2014년 8월 말 기준, 고려대역 방향 안암학사 정류장, 정덕초등학교 정류장의 위치가 조정되었다. 안암학사 정류장의 경우 길 중간에서 안암학사 후문 쪽 움푹 패인 곳으로 조정되어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기 위해, 정덕초등학교 정류장의 경우 횡단보도 바로 앞이라 보행자 안전을 고려해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4 특징

'돈암풍림아파트 - 성신여대입구역' 구간은 과거 416번 지역순환버스가 폐선된 이후 약 10년 만에 다시 버스가 들어오게 되었다.

북악산로를 따라 운행하며, 고려대 뒷쪽, 안암동, 정릉동, 돈암동을 지난다. 성북04번이 평지인 보문역 부근을 거쳐 고려대와 성신여대를 오간다면, 이 버스는 산길을 거쳐 다닌다.

개운산 산길을 따라서 우성아파트, 쌍용아파트, 정릉 힐스테이트, 돈암 힐스테이트, 대림 브라운스톤, 풍림아파트 등 큰 단지가 줄지어있기 때문에 해당 아파트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빈도가 높다.

종점이 성신여대입구역으로 되어있지만, 사실은 역을 중심으로 삼각형을 그리며 돈암시장을 돌아온다. 성신여대입구역 5번과 6번 출구를 지나는데 두 역은 길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그래서 돈암시장 및 번화가인 성신여대앞 거리를 이용하러 가는 정릉동, 돈암동 주민들에게는 간편하면서도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버스이다. 개운산 산길은 택시도 자주 다니지 않고 걸어다니기에는 경사가 심하기 때문이다. 낮에 장을 보러 가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물론이고 출퇴근 시간에 버스를 타는 직장인 수요도 상당하다. 또한 등교시간인 오전 7-8시, 중학교 하교시간인 4-5시와 고등학교 자율학습이 끝나는 10시 경에는 개운중학교와 성신초등학교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굉장히 많다. 대부분 지하철역에서 환승하지만. 덕분에 이 버스는 아주 한가한 대낮을 빼고는 거의 늘 만원사례를 이룬다.

보통은 고려대역에서 성북구의회 정류장까지는 사람이 비교적 적은데, 이는 순전히 고려대학교 녹지캠퍼스 뒤의 산길을 따라올라가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숙사에 올라가기 귀찮은 고려대 학생들을 필두로 화정체육관을 이용하는 수요가 적잖이 있는 편이라 텅텅 비어있지도 않은 편. 원래 고려대학교의 자체 셔틀버스가 양방향으로 운행될때는 이 버스와 노선이 겹쳤기 때문에 별로 이용하는 사람이 없었지만, 2011년 교내 셔틀버스 사고 이후 단방향으로 조정되면서 비탈을 오르기싫은 학생들의 수요가 늘었다. 특히 화정체육관에서 행사라도 열리면 어마어마한 인파가 몰려 버스가 힘겹게 비탈을 오르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배차간격이 긴 편이라 한 번 놓치면 꽤 오래 기다려야한다. 고려대역에서 10분 정도 기사님들이 휴식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거기서 타는 것이 여러모로 이롭다. 일신건영아파트 및 아리랑고개 정류장과 고려대역 정류장 사이는 모두 개운산 산길이라 인적도 드물고 특히 밤에는 무척 어둡기 때문에 여성 이용자의 경우 위험 소지가 있다. 어떻게보면 23시 이후까지 운행하며 아파트 단지를 훑어 귀가를 돕는 진짜 '마을버스'의 기능에 부합하는 버스라 할 수 있다. 물론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오후 11시 반이 막차이기 때문에 그 이후 시간에는 탑승이 불가능하다.

5 연계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