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법

영어/프랑스어: Mode, 독일어: Modus (복수형 Modi), 이탈리아어: Modo

장조/단조 개념이 생겨나기 전에 서양 음악을 지배했던 조성 체계. 크게 로마 제국 시절부터 사용되던 교회 선법과 16세기 중반 무렵 교회 선법을 기반으로 확립된 근대 선법, 그리고 현대 선법으로 나눌 수 있다.

1 개요

선법의 특징은 한 옥타브 내의 열두 음정 중에 피아노의 흰 건반에 해당하는 일곱 음정만을 사용한다는 점인데, 그 때문에 검은 건반에 해당하는 나머지 음정들을 풍부하게 사용하는 장단조와 비교하면 확실히 느낌이 다르다.[1][2]

이 때문에 장단조 조성 체계가 등장한 뒤에는 다소 구닥다리 취급을 받았지만, 20세기 초반 들어 신고전주의 사조가 유행하면서 드뷔시라벨프랑스 근대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선법의 리바이벌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클래식계 외에도 1950년대 후반 재즈계의 본좌들인 마일스 데이비스빌 에반스 등이 내놓아 대박을 친 모달 재즈(Modal jazz)도 선법에 기반한 모던 재즈의 일종이다. 덕분에 세기가 바뀐 지금도 단순히 몇백년 전의 낡아빠진 음계라고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있고, 특히 작곡 전공 학생들은 이 선법과 병행해 나오는 대위법을 배우기 시작할 때 버틸 수가 없다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클래식 작곡 전공에서 배우는 대위법 이론은 크게 16세기와 18세기로 구분되는데, 당연히 현대인 입장에서는 16세기가 정말 짜증날 수밖에 없다. 오로지 일곱 가지 음정 만으로, 그것도 그 중에서 용례가 한정되어 있는 음들 만으로 다성부 음악의 선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 덕분에 과제 풀이할 때 미친듯이 까이는 경우가 다반사다.

2 교회 선법

가톨릭을 국교로 정한 로마 제국에서는 예배의 형식과 예배에 사용할 성가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성가의 작곡자나 작곡 원리가 어떤 것이었는지는 사료의 부족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대개 고대 그리스의 음악 이론을 계승하면서 비잔틴과 유대인 음악의 영향력까지 포괄하며 시작되었다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당시 성가들의 음계는 그리스 음악의 옥토이호스(Ὀκτώηχος)라는 7음계 8선법 체계를 따랐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여덟 개까지 만들 수 있었지만, 초기에 실제로 상용되던 음계는 레-미-파-솔 네 개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네 가지 뿐이었다. 그리고 음계 별로 따로 이름도 없어서 그리스어로 1선법(프로투스)~4선법(테트라르두스)으로 불렀다.

하지만 이들 기본 선법에서 으뜸음을 4도 낮추어 만드는 변격 선법이 500년대 후반 들어 나오기 시작했는데, 정격 선법과 변격 선법 각각 네 가지 씩 해서 옥토이호스에 따른 8선법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이 때도 음계 별 명칭이 없어서 홀수 선법은 정격 선법, 짝수 선법은 변격 선법 식으로 구분할 수밖에 없었다.[3]

숫자로만 구별되던 이들 선법의 명칭이 이름을 얻기 시작한 것은 대략 9세기에서 10세기 사이로 추정된다. 정격 선법에는 그리스 각지의 이름이 붙었고, 변격 선법의 경우 정격 선법의 이름들에 그리스어 어두 히포(hypo)를 붙여 그 이전에 있던 정격 선법과 구별했다. 이들 명칭 중에는 실제 그리스 음악에 존재하던 음계와 동일한 것도 있지만, 이름만 똑같을 뿐이지 실제 구성음과 이론은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4]

각 음계에서 으뜸음과 도미넌트는 강조표시되었으며, 화성체계가 없던 시대에 으뜸음은 곡이 끝나는 음, 도미넌트는 선율이 진행될 때에 지속음이 위치하는 음이다. 즉 도미넌트는 음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도미넌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1선법: 정격 프로토스프로투스(Protus). 이후 도리아(Dorian). 그리스 남부에 살던 도리스 인들에서 따왔다.
-미-파-솔--시-도-레

제2선법: 변격 프로투스. 이후 히포도리아(Hypodorian)
라-시-도--미--솔-라

제3선법: 정격 데우테루스(Deuterus). 이후 프리기아(Phrygian). 현재 터키 중부 아나톨리아 지방에 있는 지역명에서 따왔다.
-파-솔-라-시--레-미[5]

제4선법: 변격 데우테루스. 이후 히포프리기아(Hypophrygian)
시-도-레--파-솔--시

제5선법: 정격 트리투스(Tritus). 이후 리디아(Lydian). 프리지아와 마찬가지로 현재 터키 서부 아나톨리아 지방에 있던 그리스 지역명을 따왔다.
-솔-라-시--레-미-파

제6선법: 변격 트리투스. 이후 히포리디아(Hypolydian)
도-레-미--솔--시-도

제7선법: 정격 테트라르두스(Tetrardus). 이후 믹솔리디아(Mixolydian). 리디아에서 파생되었다.
-라-시-도--미-파-솔

제8선법: 변격 테트라르두스. 이후 히포믹솔리디아(Hypomixolydian)
레-미-파--라-시--레

그리고 이 이론에 따르면 제1선법과 제8선법은 음이 모두 똑같아서 사실상 같은 음계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정격이냐 변격이냐에 따라 이름이 다르게 붙는 (현대인 기준으로) 괴이한 점도 있었다. 하지만 음계 구성음이 같다고 해서 같은 선법이라고 하기도 뭣한 것이, 제1선법과 8선법으로 작곡된 성가들에서 강조되거나 많이 쓰이는 음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가령 제1선법의 으뜸음은 레 음이지만, 제8선법의 으뜸음은 솔 음이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변격 선법들 역시 정격 선법에서 4음 내린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나열된 음들 중 네 번째 음이 으뜸음이 된다. 각 선법 별로 이렇게 강조되거나 많이 쓰이는 음들이 훗날 근대 선법의 정립에 큰 역할을 했고, 또 한참 뒤에야 나오는 장조와 단조로 대표되는 각 음계들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3 근대 선법

교회 선법을 기반으로 음계 이론을 새롭게 정립한 인물로 기록되는 이론가가 스위스의 하인리히 글라레안(Heinrich Glarean, 1488-1563. 또는 글라레아누스)이었는데, 글라레안은 자신의 이론서 '도데카코르돈(Dodecachordon. 직역하면 열두 줄 현악기)'에서 기존의 8선법에 정격 선법 이오니아(Ionian. 도 음을 으뜸음으로 함)와 에올리아(Aeolian.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함),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변격 선법인 히포이오니아(Hypoionian)와 히포에올리아(Hypoaeolian)를 더해 12선법으로 확대해 정리했다. 동시에 음계의 구성 원리도 변화되었는데, 도미넌트는 정격 변격 가리지 않고 닥치고 완전5도로 통일되었으며, 이 구조에서 서양 음악의 종지꼴인 V-I 진행이 나온다.[6]

글라레안이 추가한 이오니아와 에올리아는 이후 각각 장음계와 단음계의 시조가 되었고, 당연히 현대에 쓰이고 있는 선법에도 포함된다. 실제로 이오니아는 현대의 장음계와 음계와 구성 원리가 완전히 붕어빵이고, 에올리아는 단음계 중에서 임시표가 없는 자연 단음계(Natural minor scale) 형태[7]를 지니고 있다.[8]

이렇게 해서 도~라 여섯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여섯 개의 정격 선법과, 정격 선법에서 4도를 내려 만든 여섯 개의 변격 선법 이론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은 별로 많이 쓰이지 않았는데, 당시 가톨릭의 힘이 강대했던 유럽 사회에서 시 음은 악마의 음정이라고 해서 기피했기 때문이었다.[9]

4 현대 선법

현대의 선법, 특히 재즈에서 모드(mode)[10]로 통칭되는 선법은 변격 선법을 배제한 7선법을 기초로 하고 있다.[11]

  • 이오니아 (Ionian)

도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앞서 쓴 것처럼 장음계의 직계 선조인 선법이다.

구성음음정 관계
도(C)(완전 1도)
레(D)장 2도
미(E)장 3도
파(F)완전 4도
솔(G)완전 5도
라(A)장 6도
시(B)장 7도
도(C)(완전 8도)
  • 도리아 (Dorian)

레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D 도리아의 경우 얼핏 보기에는 D단조(라단조)의 자연단음계로 보이지만 여섯 번째 음이 Bb이 아닌 B라는 점 때문에 확연히 차이가 난다.

구성음음정 관계
레(D)(완전 1도)
미(E)장 2도
파(F)단 3도
솔(G)완전 4도
라(A)완전 5도
시(B)장 6도
도(C)단 7도
레(D)(완전 8도)
  • 프리기아 (Phrygian)

미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도리아와 마찬가지로 E 프리기아의 경우 E단조(마단조)의 자연단음계처럼 보이지만, 두 번째 음이 F#이 아닌 F라는 점이 특징이다. 음정 관계도 장음정이 완전히 배제된 완전음정과 단음정 만으로 구성된 것이 다른 선법들과 눈에 띄게 구별되는 차이점이다. 이 선법은 특히 플라멩코스페인 민속 음악에서 자주 사용된다.

구성음음정 관계
미(E)(완전 1도)
파(F)단 2도
솔(G)단 3도
라(A)완전 4도
시(B)완전 5도
도(C)단 6도
레(D)단 7도
미(E)(완전 8도)
  • 리디아 (Lydian)

파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F 리디아의 경우 얼핏 듣기에는 F장조(바장조)와 유사해 보이지만, 네 번째 음이 Bb이 아닌 B라서 느낌이 다르다. 그리고 이 음이 선법들 중 유일하게 증음정을 만들어내고 있다.

구성음음정 관계
파(F)(완전 1도)
솔(G)장 2도
라(A)장 3도
시(B)증 4도[12]
도(C)완전 5도
레(D)장 6도
미(E)장 7도
파(F)(완전 8도)
  • 믹솔리디아 (Mixolydian)

솔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역시 G 믹솔리디아의 경우 G장조(사장조) 음계와 유사하지만, 일곱 번째 음이 F#이 아니라 F다.

구성음음정 관계
솔(G)(완전 1도)
라(A)장 2도
시(B)장 3도
도(C)완전 4도
레(D)완전 5도
미(E)장 6도
파(F)단 7도
솔(G)(완전 8도)
  • 에올리아 (Aeolian)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위에 쓴 대로 자연 단음계와 똑같다. 단조 조성의 직계 선조.

구성음음정 관계
라(A)(완전 1도)
시(B)장 2도
도(C)단 3도
레(D)완전 4도
미(E)완전 5도
파(F)단 6도
솔(G)단 7도
라(A)(완전 8도)
  • 로크리아 (Locrian)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위에 쓴 대로 중세 시대에는 시 음 자체가 악마의 음정이라고 해서 잘 쓰이지 않았다. 선법 음계에서도 다섯 번째 음이 감음정을 만들어내고 있어서 증음정이 나오는 리디아와 비슷한데, 다만 이 선법은 장조 느낌도 단조 느낌도 나지 않는 다소 무색무취한 스타일이라는 점에서도 잘 쓰이지 않는다. 물론 모던 재즈에서는 예외. 어디로 튈지 모르는 선법이라 드라마틱한 조바꿈이 필요할 때 종종 쓴다.

구성음음정 관계
시(B)(완전 1도)
도(C)단 2도
레(D)단 3도
미(E)완전 4도
파(F)감 5도
솔(G)단 6도
라(A)단 7도
시(B)(완전 8도)


다만 각 선법의 구성음 중에서 음이름의 경우, C-D-E-F-G-A-B-C를 기준으로 한(C 메이저 스케일 기준의[13][14]) 조의 것임에 유의. 차례로 C 이오니아, D 도리아, E 프리기아, F 리디아, G 믹솔리디아, A 에올리아, B 로크리아 순이다. 음이름과 계이름을 혼용한 것은 명백한 오류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남겨놓는다.

흔히들 계이름과 음이름을 혼용하거나 아예 같은 것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지만, 음이름은 계이름과는 다르다. 계이름(도레미파...)은 특정음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음에 붙인 이름이고, 그러므로 조에 따라 같은 음의 이름이 변한다. 예를 들어, '다(C)' 음은 다장조에서는 계이름이 '도'지만, 사장조에서는 계이름이 '파'가 된다. 이와 달리 음이름(다라마바.../ 알파벳으로는 CDEF...)은 절대적인 음높이에 따라 음에 붙인 이름이고, 그러므로 절대 변하지 않는다. 위에서 예로 든 것과 같이, 다장조에서 '도'가 되든, 사장조에서 '파'가 되든 그 음의 음이름은 '다(C)'라는 것.[15] 이전 버전에서도 음이름과 계이름을 같은 것으로 취급, "에올리아는 A단조(가단조)의 자연 단음계와 똑같다"고 기술하는 등의 실수를 저질렀지만, A단조의 자연 단음계와 같은 것은 A 에올리아(A-B-C-D-E-F-G-A)의 경우이고, E 에올리아(E-F#-G-A-B-C-D-E)는 A단조의 자연 단음계와 전혀 같지 않다[16].

현대 선법은 이전의 선법들과 달리 조옮김(전조)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로 든 에올리아 외에도, 다른 선법 역시 C 이오니아, D 도리아, E 프리기아... 외에도 F 이오니아(F-G-A-Bb-C-D-E-F), B 도리아(B-C#-D-E-F#-G#-A-B), Db 프리기아(Db-Ebb(D)-Fb(E)-Gb-Ab-Bbb(A)-Cb-Db전부 플랫을 쓰는 것도 모자라서 겹플랫까지 쓰는 패기)... 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현대 선법에 대한 쉬운 설명을 원하는 사람은 딴지일보의 '기타스토리' 시리즈 중의 일부를 보는 것도 좋을 듯. 시리즈 중 하나 단, 시리즈의 모든 내용이 선법에 대한 것은 아니다. 또 아무래도 시리즈가 시리즈인 만큼 기타 위주로 설명하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점 또한 알아 두자.

여담으로, 각각의 선법을 지칭할 때 대개는 '-아'가 아니라 '-안'으로 부른다. 이오니안, 도리안... 의 식.
  1. 단, 현대 선법은 일곱 음정만을 사용한다는 것은 맞지만, 피아노의 흰 건반에 해당하는 음정(샵이나 플랫이 붙지 않은 음이름을 가진 음정)만을 사용한다는 것은 틀리다. 현대 선법 부분의 설명 참조.
  2. 현대 선법 이전에도, 칼뱅이 16세기에 편집한 시편찬송가를 보면 근대 선법으로 작곡되었는데, 조옮김을 하고 있고, 임시표들이 나온다. 그래서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옛 100편 찬송가(개신교에서 쓰는 새찬송가 1장의 원선율이다)를 보면 샵 하나가 붙어 있고, 이오니안 선법이라고 적혀 있다. 현대식으로 하면 G이오니안이 되는 것. 물론 시편찬송가 원 악보는 음위치를 무시하고 깔끔하게 선법 이름만 적고 있는데, 이는 사실 성악에서 시작한 이 선법들이 기본적으로 상대음감이었기 때문이다. 즉 악기가 없는 상황에서 적당하게 음을 잡아서 부르면 그게 음높이가 되는 것.
  3. 으뜸음이 같은데 정격 선법과 변격 선법으로 구분하는 것은 이 시기의 음악이 성악 위주의 음악이었기 때문이다. 사람의 음역을 기준으로 하다 보니 한 옥타브를 넘기지 않는 음역을 설정하려 하였다.
  4. 예를 들어 사포가 만들었다는 고대 그리스 음악의 믹솔리디아 음계는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하고 있지만, 교회 선법의 믹솔리디아 음계는 솔 음이 으뜸음이다.
  5. 프리기아 선법과 히포프리기아 선법, 히포믹솔리디아 선법의 도미넌트는 한 음씩 올라가 있는데, 이는 시 음을 기피하던 중세의 음악 이론 때문이다. 시 음에서 5도를 쌓아 올라가면 감 5도가 나오기 때문에 시 음은 뭔가 결여된 음 취급을 받았다.
  6. 프리지아 선법과 그 변격 선법은 예외인데, 완전5도의 어울림화음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리지아 선법만은 II-I 등의 다른 진행법을 사용한다.
  7. 단음계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첫번째는 앞서 언급된 자연 단음계, 두번째는 제 7음을 반음 올린 화성 단음계, 마지막으로 올라갈 때는 제 6음과 제 7음을 반음 올리고, 내려갈 때는 자연 단음계와 같은 형태로 돌아오는 가락 단음계이다.
  8. 사실 이 시기에 작곡된 음악을 보면, 종지형이 될 때에는 임시표를 남발해서라도 현대의 V-I 진행을 방불하게 하는 화음꼴을 만들고 있다. 믹솔리디안에서 F를 반음 올린다든가, 에올리안, 도리안에서 솔, 도를 각각 반음 올린다든가 하는 식이다. 화성학을 배우면 알겠지만, V화음은 종지 시점에서는 절대적으로 장화음만이 사용될 수 있다. 단, 이 시기의 V-I진행에서 I은 도와 솔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는 아직 포함되지 않았다. I화음이 도-미-솔이 된 것은 장/단조 체계가 정립된 이후의 것이다.
  9. 전술한 것처럼 임시표 없이완전5도 자체가 나올 수 없어서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완전어울림 화음이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악마의 음정이라고 불렸다.
  10. 형용사형으로 쓰일 때는 모달(modal). '모달 스케일'이나 '모달 재즈'등의 용법으로 쓴다.
  11. 음역대가 자유로워지고 종지음만 같으면 같은 선법으로 취급되면서, 변격 선법의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12. 이 음정이 '음악의 악마(diabolus in musica)'라고 불리며 초기 고전 시대까지 금기시된 삼전음(tritone)이다.
  13. 이렇게 말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특별히 더 좋은 설명이 생각나지 않는 관계로 이렇게 기술함. 더 좋은 방법이 있으신 분은 수정바람. 애초에 선법 자체가 혼돈 파괴 망각을 부르는 놈이다
  14. 아예 처음 배울 때부터 음이름과 계이름을 구분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CDEFGABC라는 음이름은 오선보의 절대위치를 나타내는 절대음감으로, 도레미파솔라시도라는 계이름은 으뜸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음감으로 쓰는 것이다.
  15. 사실 이 내용은 초등학교 음악 시간에 배우는 내용이다!
  16. E단조의 자연 단음계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