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동(광주광역시)

(송정시에서 넘어옴)

松汀洞 / Songjeong-dong
1528580_image3_1.jpg

광산구 법정동
법정동송정동도산동도호동신촌동서봉동
운수동선암동소촌동우산동황룡동
박호동비아동도천동수완동월계동
쌍암동산월동신창동신가동운남동
안청동진곡동장덕동흑석동하남동
장수동산정동월곡동등임동산막동
고룡동신룡동두정동임곡동광산동
오산동사호동하산동유계동본덕동
용봉동요기동복룡동송대동옥동
월전동장록동송촌동지죽동용동
용곡동지정동명화동동산동연산동
도덕동송산동지평동오운동삼거동
양동대산동내산동송학동신동
삼도동남산동송치동산수동선동
지산동왕동북산동명도동동호동
덕림동양산동동림동오선동
송정동
松汀洞
Songjeong-dong

광역자치단체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광산구
관할 행정동송정1동, 송정2동
인구12,370명(송정1동), 6,951명(송정2동)[1]
면적1.44㎢(송정1동), 1.13㎢(송정2동)

1 개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신흥동, 서쪽의 평동과 이웃하고, 남쪽에는 도산동동곡동, 북쪽의 어룡동과 마주한다. 광산구청의 소재지이기도하다.
좁게는 법정동 송정동만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옛 송정시 일원(도산동, 소촌동, 신흥동 등)을, 더 넓게는 송정권 지역 전체(동곡, 평동, 삼도, 본량)까지도 송정이라고 불린다. 광주광역시 안에서는 주로 두번째 의미(옛 송정시 일원)로 사용되는 편이다.

2 역사 및 명칭

송정이라는 지명은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지명이지만, 광산구의 송정은 한자가 조금 다르다. 다른 지역의 송정은 대부분 松亭을 뜻하며 이 지명은 주로 소나무 숲에 정자가 있어서 이것이 그대로 지명으로 굳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광산구 송정동의 송정은 한자로 松汀으로 물가 주변의 소나무 숲을 뜻한다. 실제로 송정동 지역은 영산강의 지류인 황룡강과 극락강이 만나는 지점이며 이 물줄기가 나주를 통과해 나주평야를 형성한다. 1914년 송정면이 처음 설치되고, 1937년에 송정면이 송정읍로 승격이 된다. 이후 1986년에는 광주가 직할시로 승격되는 같은날 송정시로 승격된다. 이때 송정시 설치와 함께 원동, 중앙동, 호남동이 신설된다. 그러나 2년 뒤 1988년에 송정시는 광산군과 함께 통째로 광주직할시에 편입된다. 이후 원동은 송정1동, 중앙동은 송정2동, 호남동은 송정3동으로 각각 개칭된다. 1998년 송정3동은 송정2동으로 통폐합됨으로써 지금의 송정동이 자리잡게 된다. 송정시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광산구 블로그 참조
광주 시내에서는 동(洞)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여전히 송정리(里)로 통칭되고 있다. 근래 광산구 내부의 신도시들이 개발되면서 OO지구와 같은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면서 신도시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송정리라는 지명을 남녀노소 구분하지 않고 쓴다. 대표적으로 현재의 신가지구, 수완지구는 신가리라고 주로 불렸고, 신창지구는 신창리라는 지명으로 불리던 곳이다. 이같은 문제점으로 인해서 이미 2010년에 광산구청이 나서서 송정리를 송정지구로 개칭하는 작업에 나섰다.기사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송정리다.

3 교통

3.1 기차

광주 유일의 KTX 정차역인 광주송정역이 있다. 원래는 송정리역으로 업무를 시작했지만 KTX 개통과 행선지의 명확성을 이유로 2009년에 광주송정역으로 개칭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이외에도 동송정역, 북송정역이 있지만 여객/화물 영업은 하지 않는다.

3.2 도시철도

광주 지하철 1호선이 송정동 관통한다. 광주송정역(도시철도), 송정공원역

3.3 버스

송정동에 직접적으로 공영차고지는 없지만 송정권으로 보면 두 개의 공영차고지가 존재한다. 도산동 공영차고지와 송산동 공영차고지가 있다. 따라서 송정지역을 관통하는 버스 노선은 매우 다양한 편에 속한다.

4 교육

5 주요 기관

광산구청, 광산구의회, 광산구보건소, 광산문화예술회관, 광주송정도서관[20], 광산경찰서[21]

6 문화 및 생활환경

  • 옛 광산군, 송정시의 시가지이며 현재도 광산구의 행정 중심지이지만 큰 도시라기보다는 지방 읍내의 모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광산구 자체적으로 신도시들이 많아지면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송정동 지역은 오히려 인구가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지금 KTX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지역 중심지로 발돋움하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더구나 기반시설 자체가 많이 부족한 편인데 영화관이나 대형마트가 전무한 상황이다. 다만 대형마트의 경우에는 송정동 지역에 있는 전통5일장으로 인해서 입점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영화는 월곡동이나 상무지구로 가서 보는 것이 대다수이다.
  • 광산구청 앞에는 떡갈비 골목이 존재한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맛집이 다수 분포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 송정동 소재지는 아니지만 바로 옆 신촌동에는 광주공항이 위치한다. 그런데 이 공항에는 제1전투비행단이 같이 있어서 군용전투기 소음피해가 심한 곳 중 하나이다. 현재 지역민들은 광주공항과 군공항의 이전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 지역에는 5일마다 열리는 정기 재래시장과 매일시장이 있다. 5일장은 3·8일 마다 열리며 광주광역시 내에서 손에 꼽히는 전통시장이다. 특히 송정동 중심지 안에서 열리기 때문에 장날만 되면 송정동 지역의 교통은 헬게이트가 열린다. 매일시장은 광주송정역 앞에 위치하며 역전시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매일시장이지만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라 장사가 잘 되는 편은 아니지만 근래에 1913송정역시장이라는 명칭과 함께 청년상인들이 활발하게 장사를 하는 곳으로 탈바꿈하였다.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면서 최근에는 유동인구가 많아진 상황이다. 다만 시장이 재개장 한지 1년이 안된 상황이기에 역전시장의 관광상품화가 성공적이다고 말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다.
  • 광주송정역 앞에는 1003번지라고 불리는 성매매 업소들이 다수 분포했었다. 그러나 성매매특별법 시행과 유흥업소 화재로 인해서 쇠퇴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암암리에 여관촌 형태로 운영중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광산구청에서 이 지역을 완전히 없애 버리고 외국인 음식 문화 거리를 만든 계획을 세우고 있다.기사
  • 송정동 주변 지역에 있는 공단지역으로 인해서 외국인 비율이 광주지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속한다. 그래서 이 동네 안에서는 외국인들을 위한 식료품 가게와 양꼬치 전문점, 동남아 음식 전문점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1. 2012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인구
  2.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신설된 노선. 개통 당시에는 도산동이 기점이었지만 나주혁신도시를 염두해두고 만든 노선이어서 지금은 나주혁신도시에서 출발한다.
  3. 도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
  4.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본래 상무지구가 기점이었는데 도산동 공영차고지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5. 송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
  6. 송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
  7. 도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
  8. 도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
  9. 도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
  10. 종점은 신촌동에 있는 광주공항이지만 송정지역을 모두 훑고 지나간다.
  11. 명칭에 송정이 들어가지만 기점은 하남동이다.
  12. 도산동 공영차고지가 기점이다.
  13. 평동이 기점이지만 송정지역을 모두 훑고 지나간다.
  14. 평동이 기점이지만 송정지역을 모두 훑고 지나간다.
  15. 신촌동 광주공항이 기점이지만 송정지역을 모두 훑고 지나간다.
  16. 실제 소재지는 도산동이다.
  17. 실제 소재지는 소촌동이다.
  18. 실제 소재지는 신촌동이다.
  19. 실제 소재지는 도산동이다.
  20. 실제 소재지는 소촌동에 속한다.
  21. 원래는 광산구청 근처에 있었으나 지금은 운수동으로 이전했다. 이전에 있던 부지에는 광신프로그레스라는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