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

중국의 정사서
흠정 24사
순서이름저자권수
1사기\[[[전한]]\] 사마천130
2한서\[[[후한]]\] 반고100
3후한서\[[[유송]]\] 범엽120
4삼국지\[[[서진]]\] 진수65
5진서\[[[당나라|당]]\] 방현령130
6송서\[[[양나라|양]]\] 심약100
7남제서\[[[양나라|양]]\] 소자현59
8양서\[[[당나라|당]]\] 요사렴56
9진서\[[[당나라|당]]\] 요사렴36
10위서\[[[북제]]\] 위수114
11북제서\[[[당나라|당]]\] 이백약 등50
12주서\[[[당나라|당]]\] 영호덕분 등50
13수서\[[[당나라|당]]\] 위징85
14남사\[[[당나라|당]]\] 이연수80
15북사\[[[당나라|당]]\] 이연수100
16구당서\[[[후진]]\] 장소원 등200
17신당서\[[[북송]]\] 구양수225
18구오대사\[[[북송]]\] 설거정 등150
19신오대사\[[[북송]]\] 구양수74
20송사\[[[원나라|원]]\] 탈탈496
21요사\[[[원나라|원]]\] 탈탈116
22금사\[[[원나라|원]]\] 탈탈135
23원사\[[[명나라|명]]\] 이선장210
24명사\[[[청나라|청]]\] 장정옥 등332
기타 정사서
-동관한기\[[[후한]]\] 유진 등22
-신원사\[[[중화민국]]\] 커사오민 등257
-청사고\[[[중화민국]]\] 자오얼쉰 등536

隋書

1 개요

중국의 25사 중 하나이며, 정관오사(貞觀五史) 중 하나이기도 하다. 622년, 영호덕분(令狐德?)이 남북조시대의 역사와 수나라의 역사서 편찬을 주청하였다. 이러한 국책사업은 정관 연간에 결실을 맺게되는데 양서(梁書), 진서(陳書), 북제서(北齊書), 주서(周書) 등과 함께 동시에 수서가 편찬되었다. 수서는 636년, 장손무기(長孫無忌)와 위징(魏徵) 등이 완성한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으로 구성된 것과 656년. 우지녕(于志寧) 등이 완성한 다섯 왕조의 지(志) 30권으로 구성된 것을 합간하여 부른다.

2 구성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0권으로 총 8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의의와 평가

당나라는 당시 통일제국으로 발돋음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전 역사를 정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그 과정 속에서 수서가 편찬된 것이다. 수서는 제기와 열전 그리고 지까지 편입시켜서 오대사지(五代史志)라고도 불린다. 수서는 분명 이념적인 성격이 강한 역사서이며 그래서 수나라의 멸망을 당고조 이연이 수공제 양유에게 선양받은 618년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당나라의 정통임을 어필하기 위한 서술임이 분명하다. 어쨌거나 동일한 시기에 만들어진 북사를 제외한 나머지보다는 그 내용이 풍부하다. 따라서 수서의 사료적 가치는 상당하다.

다만 한국 고대사와 관련해서는 잘 안 알려진 떡밥의 요람. 신라를 고구려 패잔병이 세웠다느니, 신라 왕이 백제 출신이라느니, 신라가 백제에 복속되어 있었다느니, 백제와 신라가 왜를 대국으로 섬겼다느니 하는 기록이 있다. 다만 이 부분은 한국의 사서들이나 금석문과 상충하는 면이 없지 않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