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흘종

1 개요

신라 중기의 왕족. 신라 24대 왕 진흥왕 김삼맥종의 동생이자 가야 왕족 출신 김서현장인, 김유신의 외할아버지.

2 역사

아내 만호부인여동생, 그것도 같은 아버지(입종 갈문왕)와 어머니(지소태후) 사이에서 난 친동생이다(...) 고대사[1]에서는 근친상간이 적지 않게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중에서도 친남매는 단계가 좀 높다.

김만명가야 출신의 김서현과 사랑에 빠졌는데 비록 금관국 왕족 출신 김해 김씨를 신라에서 나름대로 높은 축에 드는 귀족계급인 진골로 받아들여주긴 했지만 숙흘종은 성골 경주 김씨 중에서도 왕의 동생급으로 가문의 격이 한참 달랐고 그나마 나라를 제 손으로 신라에 바쳤기 때문에 진골로 예우해 준 것 뿐이었다. 굴러들어온 돌인 가야계에 대해 은근히 깔보는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에 숙흘종은 당연히 반대하고 결국 딸을 집 안에 가두었다. 하지만 만명은 폭풍이 치는 날 탈출해 김서현과 사랑의 도피를 했고(...)[2] 이후에 손주 얼굴 보고 화가 풀렸는지 어땠는지 김서현을 사위로 인정하게 된 듯, 김서현은 나중에 큰 전공을 세우고 신라의 명장 김유신을 낳는다. 뭔가 일일 드라마에 흔히 나오는, 부잣집의 여주 아버지 같은 인물.

3 미디어

3.1 대왕의 꿈

견훤
서인석이 연기했다.

초기엔 다혈질 권신 이미지였으나 뒤로 가면서는 위기에 몰린 덕만을 보필하거나 직언을 올리는 등 나름대로 충신스러운 모습도 보여주는 인물. 다만 뒷자리로 물러난 뒤에도 권력의 향수는 여전한지 다시금 중책을 얻게 되기를 희망하는 귀여운(…) 모습을 보여준다. 초반에는 자신의 딸을 후려간 김서현과 그 사이에서 태어난 김유신을 무척 못마땅해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김유신에게 정이 듬뿍 들었는지 여러모로 챙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비담의 마수에 걸려 위기에 처한 김유신을 구해달라고 알천과 비담에게 무릎까지 꿇는데다 가산마저 서슴없이 내 줄 정도.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왕의 꿈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비단 한국사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고대에 있어 근친상간은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며 이는 자연계에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후대로 갈 수록 근친상간이 터부시 되는 흐름 역시 전세계 공통된 보편적 현상이다.
  2. 삼국유사가 아니라 삼국사기의 나온다. 그리고 대놓고 야합 즉 정상적인 결혼이 아님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