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노바 프로젝트

cm-macross-yf.jpg

마크로스 플러스에 등장하는 차세대 가변전투기 개발 계획.
준수한 성능과 뛰어난 범용성, 효율적인 운용성으로 약 10년 동안 일선에서 활약중인 통합군의 주력 가변전투기 VF-11 썬더볼트가 점차 노후화 되어감에 따라, 보다 고성능을 갖춘 차세대 가변 전투기를 개발 및 경합하여 채택하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앞으로의 전투는 과거 보돌 저 휘하의 젠트라디군과 벌였던 성간전쟁 같은 대규모 전면전이 아니라, 통합정부의 이민선단이 뿌리내린 은하계 곳곳의 광범위한 식민행성 등에서 산발적으로 벌어지는 테러와의 전쟁이 주가 될 것이라 판단한 통합군에서는 단독 침투하여 적을 섬멸할 수 있는 고성능 차세대 가변 전투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에 따른 차세대 가변전투기 핵심 요구사항은 크게 다음과 같았다.

1. 열핵 버스트 엔진[1]을 탑재할 것.
2. 별도의 추가장비 없이 자력으로 지구급 행성(1.0 중력)의 대기권 이탈이 가능할 것.[2]
3. FAST Pack(슈퍼 팩)을 장착하지 않아도 본체에 대량의 내부무장을 탑재할 수 있을 것.[3]
4. 핀 포인트 배리어 시스템을 탑재할 것.[4]
5. 단독으로 편도 20광년 거리의 폴드[5]가 가능할 것.[6]
6. VF-17 나이트메어를 능가하는 스텔스 성능. [7]

슈퍼노바 프로젝트는 식민행성인 에덴[8]에 있는 통합군 뉴 에드워드 테스트 플라이트 센터(New Edwards Test Flight Center)[9]에서 통합군 판정단의 주관하에 본 프로젝트에 입찰한 아래 두 군수업체의 시제기 시험평가가 진행되었다.


http://vignette3.wikia.nocookie.net/macross/images/e/e3/VF17T-Na_Plus-Movie.png/revision/latest?cb=20131203211500
뉴 에드워드 테스트 플라이트 센터. 에덴 행성의 인적이 없는 사막지대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다수의 VF-11이 경비용 및 실험지원용 기체로 운용되고 있다.


통합정부와 통합군의 발주 하에 최종적으로 경쟁하게 된 2기의 신형 발키리는 신세이 인더스트리[10]가 개발한 YF-19와 제너럴 갤럭시[11]가 개발한 YF-21이었는데, 이 중 YF-19는 지구인 측 기술과 충분히 검증된 설계를 바탕으로 극한까지 발달시키는 방향을 추구한 반면, YF-21은 지구인 측 기술과 젠트라디측 기술을 과감하게 융합하여 형상변형 기술 및 BDI[12]라는 신기술 바탕의 혁신성을 추구하였다.

각 기의 테스트 파일럿은 통합군 소속 현역 파일럿인 이사무 다이슨과 제너럴 갤럭시의 테스트 파일럿 겸 개발주임[13]갈드 고어 보먼인데 의도된 결과인지 아니면 우연인지 순수 지구인 혈통인 이사무가 YF-19를, 젠트라디 하프 혼혈인 갈드가 YF-21을 맡았다.

초반에는 신세이 인더스트리 측의 YF-19가 극단적인 고 기동성을 추구함에 따른 까다로운 조작성 때문에 잦은 사고가 발생하여[14] [15] YF-21에게 테스트 평가가 많이 밀렸으나, 괴수같은 파일럿 이사무가 YF-19의 새로운 테스트 파일럿으로 합류하면서 두 기체의 경합은 승부를 판가름하기 어려운 박빙으로 접어들게 된다.

하지만...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이 프로젝트는 더미 프로젝트였다. 앞으로 내세워놓고선 정작 채용한 것은 지구에서 비밀리에 개발 및 테스트 중이던 무인 전투기 고스트 X-9였던 것이었다.
이러한 사태에 열 받은 이사무는 한밤중에 몰래 격납고로 잠입하여 보초 한명을 스패너로 때려눕히고 완전무장 상태의 YF-19에 폴드 부스터를 달고 고스트의 테스트가 이루어진 지구로 날아가버리는 대형사고를 일으키고, 이를 막기 위해 갈드도 YF-21을 끌고 그 뒤를 추격하게 된다. [16]
일이 그대로 진행되었으면 초대형 스캔들이 될 뻔하였으나, 때마침 지구에서는 인공지능 아이돌 가수 샤론 애플이 각성하여 자신의 창조자인 뮨 판 론을 인질로 삼고 마크로스 시티의 인간과 군 시스템을 세뇌 및 해킹하여 장악하는 대형사고가 벌어졌고, 고스트를 격추하기 위해 탈영했던 이사무는 그 과정에서 뮨도 구출하고 샤론 애플 사건도 해결하면서 영웅이 되었다. 갈드만 불쌍
샤론 애플이 통합군의 시스템을 해킹하여 고스트를 수족으로 부려 난동을 벌인 일 때문에 고스트 X-9의 취약점이 지적되어 채용은 기각되었고, 프로젝트 초반에는 YF-19의 연이은 추락으로 YF-21이 점수에서 앞서나갔으나 이사무 다이슨이 YF-19의 테스트 파일럿이 되면서 YF-21의 점수를 따라잡아 일부 앞지르는 등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박빙의 승부가 된 상황에서 느닷없이 프로젝트 중단으로 승부의 행방이 묘연하게 되었지만 YF-21의 높은 코스트 문제와 B.D.I 시스템이 보여준 부작용을 우려해 결국 YF-19가 차세대 주력기로 채택, VF-19 엑스칼리버가 되었다.

또한 YF-21의 고성능도 버리기 아까웠는지 특수작전기인 VF-17의 후속기 VF-22로 채택되었다.

여담이지만 이 프로젝트는 현실의 ATF패러디이다.[17]
  1. VF-1 발키리, VF-11 썬더볼트 등과 같은 그 전까지의 발키리들은 열핵 터빈엔진을 사용하였는데, 특수작전기인 VF-17 나이트메어에 최초로 탑재되었던 열핵 버스트 엔진은 출력 면에서 혁신적으로 개량된 새로운 타입의 엔진이었고, 스텔스 성능을 위한 톡득한 형상과 대량의 무장탑재 능력을 중시하였음에도 VF-17은 고출력인 열핵 버스트 엔진 덕분에 겉보기와는 달리 훌륭한 기동성을 발휘함으로써 열핵 버스트 엔진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때문에 이후 개발되는 차세대 신형 발키리들은 모두 열핵 버스트 엔진을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다.
  2. 이전까지의 기종들은 자력으로 대기권 돌입은 가능했지만, 추력이 부족하여 대기권 탈출은 할 수 없었기에 스텀피드 팩 등과 같은 보조 부스터를 장착해야 가능했다.
  3. 이전까지의 기종들은 기체의 주익에 설치된 파일런에 미사일을 외장 탑재하였고, 부족한 무장 탑재량을 보충하기 위해 패스트팩 등의 옵션장비를 장착하였으나, YF-19YF-21은 추가장비 없이도 대량의 미사일과 화기를 내부무장 할 수 있다.
  4. 이전까지 함선 급에나 탑재되었던 방어막 전개 시스템인 핀 포인트 배리어를 전투기 사이즈에 적용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5. 마크로스 시리즈 세계관의 워프 항법 기술이다.
  6. 기존의 발키리들은 폴드 기능이 있는 모함(母艦)에 탑재되어 작전지역으로 폴드한 뒤 출격하는 식으로 운용되었으나, YF-19와 YF-21은 폴드 부스터라는 1회용 옵션 장비를 장착함으로써 보다 함선에 의존하지 않고 단독으로 유기적인 작전능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7. VF-17은 현재의 스텔스기와 비슷하게 적 레이더의 전파를 흡수 및 산란하기 위한 특유의 패시브 스텔스 형상설계 및 전파 흡수재를 적용하였으나, YF-19YF-21은 기체의 형상 설계에 구애받지 않고 스텔스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액티브 스텔스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작중에서 YF-21의 묘사에 따르면 적기가 아군을 탐지하기 위해 발산한 레이더 전파에 전자적으로 간섭하여 흡수 또는 산란시켜, 반사파가 적기의 레이더에 되돌아가지 않게 함으로써 은닉하는 능동적인 스텔스 기술로 추정된다.
  8. 마크로스 플러스의 주 무대가 되는 곳으로, 통합정부의 이민선단 중 하나인 메가로드-04가 발견하여 정착한 인류 최초의 식민 행성이다.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하고있다.
  9.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한 에드워드 공군기지의 미 공군 테스트 센터를 패러디한 듯 하다. 본 작품의 슈퍼노바 프로젝트 모티브가 된 미공군의 차세대 전투기ATF(Advanced Tactical Fighter) 개발사업으로 YF-22YF-23이 치열한 경합을 벌였던 곳이기도 하다.
  10. 본 프로젝트 시점까지 통합군이 주력 가변전투기로 운용하던 VF-11 썬더볼트를 개발한 경력이 있는 회사로, 훗날 YF-24 에볼루션을 바탕으로 VF-25 메시아를 개발한다. 여담으로 YF-24 에볼루션은 신세이 인더스트리와 제너럴 갤럭시가 공동개발한 기종이다.
  11. VF-14 뱀파이어와 VF-17 나이트메어를 개발했던 회사로, 훗날 YF-24 에볼루션을 바탕으로 VF-27 루시퍼를 개발한다.
  12. Brain Direct Image 시스템. 파일럿의 뇌파를 읽어들여 조종사가 생각하는 것만으로 기체를 조종할 수 있으며, 기체의 각종 센서가 파악한 외부 정보 또한 파일럿의 뇌에 직접적으로 전송되는 양방향 시스템이다.
  13. 이사무가 군인 신분으로 차출된 것에 반해 갈드는 제너럴 갤럭시라는 기업에 소속된 기술자 겸 테스트 파일럿이므로 민간인 신분이다. 해당 항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현실의 테스트 파일럿들도 군에서 차출된 베테랑 파일럿인 경우가 많지만, 군수업체의 기술자가 파일럿 훈련을 이수한 뒤 테스트 파일럿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해당 기체에 대해 기술적으로 가장 해박한 인물인 만큼 기체의 성능을 시험하고 문제점을 찾아내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14. 작중 언급에 따르면 테스트 도중 추락하여 시제기가 대파된 것만 최소 2번으로, 이사무 다이슨이 새로운 테스트 파일럿으로 착임하기 전까지 2명의 테스트 파일럿이 사고로 사상되었다.
  15. YF-19의 개발주임인 얀 노이먼의 '2계급 특진되었다'는 대사로 보건대 한 명은 사고로 사망한 것이 확실하다. (...)
  16. 당시 폴드 부스터를 탑재한 YF-19를 추격 가능한 기종은 YF-21 뿐이고, 이 때문에 뉴 에드워드 기지의 사령관 미라드 중령은 부득이하게 민간인 신분인 갈드에게 출격을 요청한다.
  17. 보다 보수적이지만 그만큼 검증된 높으신 분들이 좋아할만한 설계인 YF-22가 다소 파격적인 설계였던 YF-23를 누르고 승리한 것도 비슷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