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

13572862904_b15df13b81_b_d.jpg
내부 모습.
stade-olympique-montrc3a9al.jpg
크고 아름답다. UFO같다

마개조의 끝판왕
여러분 돌려막기가 이렇게 무서운겁니다

1 개요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
Stade Olympique de Montréal
Montreal Olympic Stiadium
애칭Big O
소재지캐나다 퀘벡몬트리올 4545 Pierre-de-Coubertin Avenue
개장1976년 7월 17일
건축비용7억 7천만 달러
(2006년 기준 14억 7000만 달러)
크기좌측 99m, 좌중간 114m, 중앙 123m
우중간 114m, 우측 99m, 백네트 16m
표면엑스트림터프(인조잔디)
수용인원야구 : 45,757석
축구 : 61,004석
풋볼(CFL) : 66,308석
콘서트 : 78,322석
홈구단몬트리올 엑스포스(MLB,1977~2004)
몬트리올 알루에츠(CFL,1976~1986 1996~1997 1998~현재)
몬트리올 임팩트(일부경기)[1](MLS, 2012~)

1976 몬트리올 올림픽을 위해 지어진 개폐식 돔경기장이다. 1977년부터 2004년까지 몬트리올 엑스포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메이저 리그 사커 몬트리올 임팩트의 일부경기가 이 곳에서 개최되고 있다.

선개통 후완공의 극치를 달리는데, 원래 계획보다 공사가 늦어지면서 일단 최소한의 경기장 부분만 먼저 완공해놓고, 올림픽을 개최하였다. 이 때문에 올림픽 기간에도 경기장을 짓는 공사가 한창이었는데 특히나 개막식에는 뒤로 타워크레인이 움직이는게 보일정도였다(...)흠좀무 올림픽 폐막 이후에도 각종 안전사고로 인하여 공사가 지체되었고, 타워와 지붕까지 완전히 건설하는데 무려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이미 그땐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이 이미 완공되고도 남은 시기다.

애칭으로는 Big-O가 있다.

2 몬트리올 엑스포스

엑스포스는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인 스타드 올랭피크를 28년간 사용했다. 그러나 원체 문제 투성이인 구장이 제대로 될 리가 만무. 애초에 올림픽 개막을 며칠 앞두고 겨우겨우 완공한 데다 여기저기 보수를 해야 할 정도로 상태가 영 좋지 않았다. 게다가 원래 종합경기장으로 지어졌던 경기장이다보니 야구를 관람하기에는 관중석 구조가 뭐같기로 악명을 떨치던 구장이었다.[2]

캐나다의 거의 전 지역이 그렇듯 몬트리올도 기후가 냉대기후권이라 천연잔디를 제대로 관리하기에는 애로사항이 꽃피는 곳이다. 또한 봄과 가을에는 덕아웃에 LP 가스통을 들여놓고 난로를 땠던지라(...)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장에 있는 타워에 케이블을 걸어서 지붕을 여닫는 식으로 서늘한 공기를 차단하고, 관리하기 까다로운 천연잔디 대신 인조잔디로 시공하는 등 경기장을 마개조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이 지붕과 인조잔디가 선수단을 괴롭히기 시작할 줄은 아무도 예상 못했다.

결국 1990년 후반 즈음되어 인조잔디가 닳아 선수들의 하체 관절에 무리를 주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안드레 도슨, 블라디미르 게레로 등 툴플레이어가 몬트리올을 벗어난 이후 주루능력을 포기하게 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3] 거기에 지붕을 덮고 걷어내는 케이블의 고장이 잦는데, 1991년 시즌 후반부에 지붕 구조물이 그라운드 쪽으로 주저앉는 사고로 어쩔수 없이 일정을 조정하여 한신 타이거스 뺨치는 '죽음의 원정'을 다니는가 하면, 급기야 1999년 시즌 전 겨울철의 폭설로 지붕 구조에 문제가 생기고 마감재가 떨어지는 사고가 벌어져 불가피하게 몇몇 경기의 일정을 조정해야 했다. 구단은 그 정도로 노후화 되던 스타드 올랭피크를 대체할 만한 신축구장을 몬트리올 시에 요청했지만 몬트리올 시 정부는 1976년 올림픽 이후 심각한 재정적자 크리 때문에 굉장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물론 2002년 개장을 목표로 새 구장 계획을 세웠긴 했지만 이 계획은 결국 백지화돼버리고 말았다.

외야가 나름 넓은 구장인지라 장타자보다는 중거리 교타자들에게 유리한 구장이었다. 실제로 엑스포스는 발빠른 교타자를 선호했던 구단이었다.

3 기타

경기장 북쪽에 크고 아름다운 몬트리올 타워가 있는데 경사형 타워로는 175미터로 세계에서 제일 높다.

한때 한국의 모 구단도 이걸 모티브로 하여 모 종합경기장돔경기장으로 개조하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리고 일본에도 돔구장버프는 커녕 너프를 받아 결국 같은 해에 운명한 팀이 있다 카더라.

몬트리올 엑스포스가 워싱턴 D.C.로 이전한 이후 야구보다는 주로 축구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각주에서 언급됐듯 2007 FIFA U-20 월드컵의 경기장으로 사용했고, 이후 MLS 몬트리올 임팩트와 CFL 몬트리올 알루에트의 홈구장으로 시즌 중 일부 경기가 치러지고 있다. 2014 FIFA 여자 U-20 월드컵과 2015 FIFA 여자 월드컵도 유치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몬트리올 엑스포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대부분의 경기는 사푸토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2. 서울 올림픽 주경기장인 잠실운동장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잠실운동장도 축구 관람에는 최악의 구조로 악명이 나 있다. 그래서 2015 시즌에 새로 K리그에 입성하는 서울 이랜드 FC가 가변좌석을 설치하는 고육지책을 폈을 정도. 이와는 반대인 경기장이 애초에 야구장으로 사용할 걸 생각하고 지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터너 필드.
  3.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2007년 FIFA U-20 월드컵에서는 FIFA가 인조잔디 피치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스타드 올랭피크 구장을 사용하게 됐다(대표적으로 한국-브라질 전이 이 구장에서 열렸다.) 야구에서는 인조잔디를 기피하는데 축구는 오히려 인조잔디를 사용하려 하니 아이러니하다. 물론 이때의 인조잔디는 대회를 위해 새로 시공한 인조잔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