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랙웨어 리눅스


'운영 체제 '목록
WindowsMicrosoft Windows(Windows 9x, Windows NT)
리눅스데비안데비안 GNU/리눅스 · 우분투 · 리눅스 민트 · 칼리 리눅스 · 크런치뱅 · 하모니카 리눅스 · 기린 · Damn Small Linux · elementary OS · 스팀 OS
레드햇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페도라 · MeeGo · 붉은별 · 센트OS · 아시아눅스 · 타이젠
슬랙웨어슬랙웨어 리눅스 · 오픈수세 · Slax
맨드리바Mandriva · Open Mandriva Lx · 마제야 · PCLinuxOS · no.1Linux
안드로이드안드로이드 · 크롬 OS · Remix OS · Polaris OS
아치 리눅스아치 리눅스 · Manjaro Linux · Antergos · ArchBang Linux
기타젠투 리눅스 · Nix OS
유닉스BSDBSD · FreeBSD · NetBSD · OpenBSD · TrueOS · GhostBSD · DragonFly BSD · TmaxOS
XNUiOS · macOS · tvOS · watchOS
기타솔라리스(SmartOS) · IBM AIX · HP-UX
DOSDR-DOS · MS-DOS · FreeDOS · K-DOS
기타ReactOS · Mac OS · OS/2(eComStation)

Slackware Linux
홈페이지

리눅스 배포판 가운데 하나. 줄여서 슬랙웨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꽤나 오래 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배포판. 리눅스가 사람들에게 배포되기 시작한 게 91년이었는데, 슬랙웨어 리눅스는 93년부터 배포가 시작되었다. 리눅스 계보를 보면 리눅스를 가르는 3가지 줄기 가운데 하나가 이 녀석이다(나머지 둘은 데비안과 레드햇).

이 배포판을 만든 사람은 패트릭 볼커딩으로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같은 패러디 종교 가운데 하나인 바보교(Church of Subgenius)의 신자이기도 하다. 이 배포판의 이름 가운데 슬랙이라는 단어가 이 바보교와 관련이 있는 단어라고 한다.

우분투, 페도라같은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이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사로잡기 위해 그래픽 환경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설치나 환경 설정 등도 더 많이 자동화하고 있는 판국에 이 배포판은 '가장 유닉스다운 리눅스 배포판'이라는 기조에 따라 설치는 텍스트 기반이고 패키지 관리자는 tar파일 풀어서 쓰시오이며 환경 설정은 텍스트 편집기로 해당 설정 파일을 직접 수정할 것을 고수하는 독야청청함을 보여 준다.

막상 써보면 그리 어렵지 않은데, 허구헌날 소스 받아서 make make install 하는 기계가 될 수도 있지만, 그냥 slackpkg를 이용해 설치, 삭제, 업데이트를 편하게 할 수도 있다. CLI 환경에 익숙하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적응할 수 있다.

아치 리눅스젠투 리눅스도 CLI 위주의 배포판이긴 하지만, 오리지널 유닉스를 지향하는 슬랙웨어와는 차이가 좀 있다. 슬랙웨어는 다른 배포판들처럼 쉬운 사용을 위해 해당 배포판 자체적으로 부가적인 툴들을 따로 제공하는것을 배제하고, 거의 모든 리눅스가 공유하는 기본적인 툴 위주로 사용을 하기때문에 원시적인것이고, 커널부터 시작해서 제공하는 패키지도 다른 배포판들에서 대부분 하고있는 배포판 특유의 패치나 브랜딩을 하지 않은채 순수 업스트림 바닐라로 제공하는게 대부분이다. 그리고, 그냥 제공하는것을 넘어서 상당히 오랜 시간을 들여 테스팅을 하기때문에 안정성측면에서도 데비안과 비견될만하다.(그리고, 데비안처럼 최신패키지가 업데이트 되는 시기도 늦다.) 말그대로, 매우 안정적임과 동시에 표준 패키지를 제공하는 표준 배포판이라 볼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슬랙웨어의 커다란 특징이다.[1] 특징이 없는게 특징인 배포판

반면, 젠투같은 배포판은 CLI 를 주로 이용하긴 하지만, 오히려 젠투만의 부가적인 패치나 툴들을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배포판이기때문에 표준과는 거리가 상당히 멀다. 소스 컴파일 방식이라 패키지 업데이트도 빠를것같지만, 부가적인 패치등을 적용하기때문에 이에 대한 테스팅등을 하는 시간이 꽤 필요하고, 이때문에 최신 패키지에 stable 딱지가 붙어 제공되기까지는 시간이 상당히 걸리는편이다.

젠투 리눅스와 달리, 아치 리눅스의 경우에는, 배포판차원에서의 부가적인 툴을 따로 만들어 제공하는것이 별로 없는데다가 BSD 스타일의 init scripts 를 사용하는것, 그리고 배포판 특유의 부가적인 패치를 거의 더하지 않는다는점까지 슬랙웨어와 공유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차이점을 꼽자면 pacman 이라는 패키지매니저가 의존성 해결을 자동으로 해주고, 무엇보다 안정성 우선인 슬랙웨어와 달리 빠른 업데이트를 목적으로 하고있어 최신 패키지를 가장 빠르게 제공해주는 배포판이기도 한지라, 인스톨후 달랑 CLI 가 뜨는 배포판 치고는 인기가 많다.

여하튼, 실제로, 슬랙웨어를 사용하면서 배우게 되는 지식/테크닉들은 다른 유닉스/리눅스 배포판에도 적용 가능한것이 많지만, 데비안, 젠투등 다른 유명 배포판들을 사용하며 알게 되는 지식/테크닉들은 해당 배포판 전용인 경우가 많다.(해당 배포판에서도 자신들이 제공하는 툴과 세팅방식을 이용할것을 권장한다.) 덕분에 다른 리눅스 배포판을 공부하면 그 리눅스 배포판을 알게되고, 슬랙웨어를 공부하면 리눅스 자체를 알게된다는 소리도 넷상에 자주 떠돌아다닌다. 거기 더해서 설명도 매우 자세하게 해주기때문에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있어 교육용으로는 최고의 배포판이라 볼 수 있다.[2]

리눅스가 처음이라면 우분투나 CentOS를 쓰는게 낫다. 슬랙웨어 추천하는 사람은 IDE환경이 아니라 메모장에다 코딩하는게 낫다고 할 사람들이다. [3]

최근에는 AMD64 기종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2년 9월에 ARM 슬랙웨어 14버전을 내놓았다!오오 슬랙웨어 오오 근데 우분투 ARM버전이 곧 나오잖아? 안될꺼야 아마
  1. 무미건조한 매우 일반적인 배포판같이 보이지만, 예를들어 한국인의 키를 통계내어 평균을 잡고 그 평균키와 같은 신장의 인간을 거리에서 찾아보면 오히려 찾기 힘든것과 마찬가지로, 리눅스 배포판들도 각자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과 테크닉등을 무기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때문에 실제 이런 표준적인 배포판은 매우(!) 찾아보기 힘들고, 그래서 특징이 된다.
  2. 사실 리눅스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나중에 우분투같이 편한 배포판을 쓰더라도 시작은 슬랙웨어같은 배포판으로 하는것이 좋다. 오픈소스 특성상 아무리 배포판에서 관리를 잘한다 해도 여러가지 자잘한 문제들이 튀어나올 가능성이 높고, 게중에는 리눅스에 대해 조금만 알고있으면 간단히 해결가능한것들이 다수 존재하기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히 호기심에서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 슬랙웨어로 시작하게 되면 일주일도 안돼서 질려 도망갈 확률이 90%는 넘을 거라는 게 문제
  3. 물론 슬랙웨어도 이를 기반해 설치/사용 편의성을 높인 배포판들이 있다. 벡터 리눅스나, 앱솔루트 리눅스나, 살릭스, 슬랙켈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역시 편의성이나 사용법에서는 데비안,우분투,페도라 등등을 따라가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