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복

1 僧服

승려가 입는 옷.

1.1 한국의 승복

보통 한국인이 인식하고 있느 "스님 옷"은 긴 회색 한복이다.

승복의 구성은 가사, 장삼, 평상복, 행전각반, 모자 또는 관, 신과 버선, 주장자와 불자, 두루마기로 구성된다.

이 회색 한복의 이름은 일반 승려가 입는 장삼이다. 보통 팔이 네모로 길게 늘어지고 발목까지 내려와 8폭으로 접어진 회색옷을 장삼이라 하는데, 이 장삼은 아주 소중히 다뤄야 한다고 한다. 장삼의 양쪽 팔부분은 각각 네등분되어 있는데 각각 대지문수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지장보살을 의미한다고 한다.

밑자락이 8폭으로 접혀 있는것은 팔부신장을 의미,불법을 옹호하는 신장들이 입은 이를 감싸준다고 한다.

가사는 원래 붉은 색만 허용되는데 요즘에는 다른 색도 쓴다고 한다.

1.2 일본의 승복

일본의 승복은 검은색 장삼을 기본으로 하여 그 위에 노란색 계열 가사를 덧입는 경우가 많다. 가끔씩 화려한 색이나 무늬를 넣은 장삼도 찾아볼 수 있다. 일본 불교의 특성상 각 종파마다 약간씩, 혹은 현저한 차이가 있다.

1.3 중국의 승복

장삼 색깔이 노란색과 회색으로 양분되는데, 그 중 노란색이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소림사. 평상복은 대개 회색이다.

2 承服

결과에 승복하라 할 때의 승복. 패배를 인정한다는 뜻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