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라리온군

서아프리카군대
가나군가봉군감비아군기니군기니비사우군나이지리아군니제르군라이베리아군베냉군부르키나파소군카보베르데군
차드군코트디부아르군말리군모리타니군세네갈군시에라리온군토고군콩고 공화국군적도 기니군카메룬군상투메프린시페군

1 개요

180px-Coat_of_arms_of_Sierra_Leone.svg.png

시에라리온군은 총 병력이 8500~13000여명 내로 추산되어지고 있다. 196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로 그 규모를 계속 유지하여 영연방 아프리카군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육군은 1961년에 독립과 함께 탄생했지만 해공군은 그보다 10년은 늦게 창설되었다.[1] 대통령을 통수권자로 참모총장으로 최고계급은 준장이다.영국의 식민지 국가이고 영연방의 일원이다보니 영국군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은 조직이라고 할수 있다.

2 육군

RSLAF.jpg
AWA00608SRL.jpg

영국 시에라리온 식민지 대대에서 출발한 육군은 최대 14000여명까지 독립이후 확장을 했으나 시에라리온 내전과 잦은 쿠데타로 규모가 축소되었다. 한때는 1만 5000여명까지 갔었으나 현재는 대략 8500여명 규모로 축소중에 있다. 총 3개 여단으로 편성되어있으며 영국군 군사고문단이 지원을 해주고 있다.
영국제 무기로 무장했을 거라 보지만 주로 러시아제 AK-47과 독일제 G3소총등의 러시아제와 유럽제가 혼용되어서 운영하며 영국제는 거의 없다. 90년대초반에는 동유럽국가들로부터 T-72와 같은 무기들을 사들이기도 했다.

3 해군

s300_UK_military_train_Sierra_Leone_maritime_defence_force-01.jpg

순찰보트를 운영하는 정도의 규모이기에 매우 작은 편이라고 한다. 규모는 대략 500여명 수준이다.

4 공군

150px-Roundel_of_Sierra_Leone.svg.png

스웨덴의 지원을 받아서 창설되었으나 현재는 가동하는 항공기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 가동했던 연락기와 같은 경비행기들 모두 퇴역했으며 Mi-17 2대 Mi-24 2대를 겨우 운영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1. 해군은 1971년 공군은 1973년에 창설되었다.